$\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관유형이 도시사무직 근로자의 스트레스와 인지수행에 미치는 영향 -자연경관과 도시경관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Landscape Type on Urban Office Workers' Stress and Cognitive Performance - Comparison between Natural and Urban Landscape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3 no.6 = no.113, 2006년, pp.1 - 11  

이영경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  이병인 (밀양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natural landscapes in the context of work environments. The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natural landscapes on urban office workers' stress reduction and cognitive performance, using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cognitive measure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자연경관이 도시 사무직 근로자의 스트레스 해소와 인지 수행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심리, 생리, 인지적 측면에서 밝힘과 함께 근로자 복지를 위한 작업장의 휴식 공간 마련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연경관의 스트레스 해소 기능을 도시 사무직 근로자들의 일 상경 관인 도시경관과 비교하고자 하며, 연구 결과의 실 질적 활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연구 참여자를 실제 사 무직 근로자로 설정하였다.
  • 05을 이용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목 적은 스트레스 유발 후 경관을 보고 발생하는 스트레스의 변화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모든 참여자 별로 4개 경관 시간 구간에 대하여 경관 경험에 의한 생리 변화치(스트레스 4번째 구간의 생리 측정 평균값 - 각 경관 구간의 생리 즉 정평 균값)를 계산하였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 1(스트레스 해소): 스트레스를 경험한 후, 자연경관을 본 근로자들은 도시경관을 본 근로자들보다 스트레스 해소가 더 클 것이며 이러한 효과는 심리 측정과 생리측정에서 나타날 것이다.
  • 연구가설 2(인지 수행 능력의 향상): 스트레스를 경험한 후, 자연경관을 본 근로자들은 도시경관을 본 근로자들보다 인지 수행 능력이 더 향상될 것이다.
  • 020)만이 주 효과가 있으며, 교호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두 가지 경관 차원별 심박시간 변화치 평균값(표 6 참조)에 나타난 스트레스 해소의 양도 인공경관보다 자연경관에서 더 크게 나타나고 있어 심박시간에 있어서도 첫 번째 연구가설이 채택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김대환, 김휘동(2002) 남성 사무직 근로자들의 스트레스와 관련된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생활습관.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9(2): 45-55 

  2. 박경옥(2004) 작업환경 및 근무조건 특성과 제조업 근로자의 스트레스 증상 간의 관련성.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0(3): 272-282 

  3. 신원섭, 김재준, 김외정, 유리화, 이병두(2003) 도시림이 직장인의 직무만족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92(1) : 92-99 

  4. 이강숙(2000) 사업장 내에서의 근로자들의 스트레스 극복전략 수립 및 실천적 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5. 이명선(2002) 작업환경과 조건이 근로자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보건교육 . 건강증진학회지 19(3): 107-120 

  6. 이영경(2003) 심리적 . 생리적 측정에 근거한 산림경관의 스트레스 완화 효과. 한국조경학회지 31(2): 70-82 

  7. 이영경(2004) 자연경관의 특질분석: 자연성에 대한 조경전문가와 일반인의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1(6): 1-14 

  8. 최수찬(2003) 직장인 스트레스 감소전략의 모색 : 근로자 원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연세사회복지연구 19: 155-178 

  9. Cozby, P. C. (1989) Methods in Behavioral Research. California: Mayfield Publishing 

  10. Dawson, M. E. A. M. Schell, and D. L. Fillon(1990) The electrodermal system. In J. Cacioppo and L. F. Tassinary, eds., Principles of Psychophysiolog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95-324 

  11. Hartig, T. A. (1993) Testing Restorative Environments Theo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12. Hartig, T. A., M. Mang, and G. W. Evans(1991) Restorative effects of natural environment experience. Environment and Behavior 23: 3-26 

  13. Heerwagen, J. and G. H. Orians(1986) Adaptations to windowlessness: a study of the use of visual decor in windowed and windowless offices. Environment and Behavior 18: 623-639 

  14. Horsbrough, P.(1972) Human-plant proxirnities. Indiana Nursery News 33: 1-4 

  15. Hull, R. B. and S. E. Michael (1995) Nature-based recreation, mood change, and stress restoration. Leisure Science 17 : 1-14 

  16. Isen, A. M., K. A. Daubman, G. P. Nowicki, and P. Gary (1987) Positive affect facilitates creative problem solv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6): 1122-1131 

  17. Kaplan, R.(1983) The role of nature in the urban context. In I. Altman and F. J. Wohlwill, eds., Behavior and the Natural Environment. New York: Plenum Press. pp. 127-161 

  18. Kaplan, R. and S. Kaplan(1989) The Experience of Natur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Lacey. J. I. and B. C. Lacey(1970) Some autonomic-central nervous system interrelationships. In P. Black, ed., Physiological Correlates of Emotion. New York: Academic Press. pp. 205-227 

  20. Lewis, C. A.(1972) Public Housing Garden. USDA Yearbook of Agriculture. Washington, D.C 

  21. Parsons, R. (1991) Recovery from Stress during Exposure to Videotaped Outdoor Environm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rizona. Tucson 

  22. Parsons, R., L. G. Tassinary, R. S. Ulrich, M. R. Hebl, and M. Grossman-Alexander(1998) The view from the road: implication for stress recovery and immuniz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8: 113-140 

  23. Pulakos, E. D., N. Schmitt, and D. Chan(1996). Models of job performance ratings: an examination of rater race, rater gender, and rater level effects. Human Performance 9(2): 103-119 

  24. Roman, D. D., G. E. Edwall, R. J. Buchanan, and J. H. Patton (1991) Extended norms for the paced auditory serial addition task. The Clinical Neuropsychologist 5: 33-40 

  25. Tennessen, C. and G. Cimprich(1995) Views to nature: effects on atten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5: 77-85 

  26. Ulrich, R. S.(1979) Visual landscap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Landscape Research 4(1): 17-23 

  27. Ulrich, R. S.(1981) Natural versus urban scenes: some psychophysiological effects. Environment and Behavior 13: 523-556 

  28. Ulrich, R. S.( 1983) Aesthetic and affective response to natural environment. In I. Altman and J. F. Wohlwill, eds., Behavior and the Natural Environment. New York: Plenum Press. pp, 85-125 

  29. Ulrich, R. S. and R. Parsons(1992) Influences of passive experiences with plants in individual well-being and health. In P. Relt, ed., The Role of Horticulture in Human Well-being and Social Development. Portland: Timber Press. pp. 93-105 

  30. Ulrich, R. S., R. F. Simons, B. D. Losito, E. Fiorito, M. A. Miles, and M. Zelson (1991) Stress recovery during exposure to natural and urban environm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1: 201-230 

  31. Zucherman, M.(1977) Development of a situation-specific trait-state test for the prediction and measurement of affective response. Anxiety Measurements 45: 513-52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