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년기 우울증상과 빈곤 -빈곤과 비공식 사회관계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The Depressive Symptom and Poverty in Later Lif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overty and Informal Social Relationship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12, 2015년, pp.401 - 411  

김영범 (한림대 고령사회연구소) ,  이승희 (울산대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빈곤과 우울증상의 관계와 함께 빈곤과 비공식 사회관계(informal social relationship)가 우울증상에 대해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는 2014년에 춘천 지역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로 표본은 2,034명이며 분석에 포함된 사례는 무응답인 표본을 제외한 1,934명이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우울증상은 CES-D 단축형(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Short Depression Scale)을 활용해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 상태인 노인은 비빈곤 상태인 노인에 비해 우울증상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빈곤이 우울증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녀와의 접촉수준, 친구와의 지원교환 수준만이 우울증상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나 모든 비공식 사회관계가 우울증상 감소에 기여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도 확인하였다. 셋째, 4개의 비공식 사회관계 변수 중 자녀와의 접촉수준만 유일하게 빈곤과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object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 and poverty and to analyze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overty and informal social relationship on depressive symptom. The data for the study is survey data on Life of elderly in Chuncheon Area in 2014.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빈곤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중 우울증상을 대상으로 빈곤의 영향을 살펴볼 것이다. 정신건강을 설명하는 사회학적 접근의 대표적인 이론 중 하나인 스트레스 과정이론(stress process theory)에 의하면 빈곤은 장기적인 스트레스 요인(chronic stressor)이 될 뿐만 아니라 다른 스트레스 요인을 낳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 본 연구는 대표적인 스트레스 요인인 빈곤을 대상으로 빈곤의 우울증상에 대한 영향이 비공식 사회관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국 노인을 대상으로 한 경우 우울증상에 대한 빈곤의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가 많지 않은 편이다[8, 9, 10].
  • 본 연구는 빈곤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 중 우울증상을 대상으로 빈곤의 영향을 살펴볼 것이다.
  • 본 연구는 스트레스-과정이론(stress-process theory)[5, 6]에 기반 해 우울증상에 대해 빈곤과 비공식 사회관계가 상호작용효과를 보이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분석 과제는 다음과 같다.
  • 급속하게 고령인구가 증가하는 한국의 현실에서 자살 등 우울증상에 의한 부정적 결과를 고려해 볼 때 빈곤의 정신건강에 대한 영향을 축소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학문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책적 측면에서도 매우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본 연구는 춘천 지역 노인에 대한 자료를 대상으로 빈곤의 우울증상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과 더불어 빈곤과 비공식 사회관계의 우울증상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비공식 사회관계는 그 대상과 내용에 따라 몇 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공식 사회관계를 그 대상과 내용으로 구분하여 비공식 사회관계의 어떤 측면이 빈곤과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빈곤과 우울증상의 관계와 더불어 빈곤의 우울증상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빈곤의 우울증상에 대한 감소요인으로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비공식 사회관계(informal social relationship)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완충 효과가 나타나는 메커니즘을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면 무엇인가? 완충 효과가 나타나는 메커니즘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우선 스트레스 요인이 발생하였을 때 비공식 사회관계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직접적인 도움을 주게 되는데 이를 통해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업에 따른 경제적 어려움을 주변 지인이 도와주는 것, 또는 배우자 사망에 따른 어려움을 주변 지인의 도움으로 극복하는 것 등이 이에 해당한다. 다른 한편으로 비공식 사회관계와의 접촉은 상대방에 대한 이해와 신뢰를 강화하는데, 이로 인해 스트레스 요인이 발생하였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질 수 있다. 비공식 사회관계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믿음은 스트레스 요인이 발생하였을 때 그로 인한 스트레스를 덜 받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예를 들면 자녀나 친구와의 접촉을 통해 개인은 위기의 순간 의지할 수 있는 대상이 있다는 믿음을 갖게 되고, 이로 인해 스트레스 요인에 직면하게 되는 경우 그 정도를 크게 느끼지 않게 되어 정신건강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완화될 수 있다.
한국 노인의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인가? 한국 노인의 가장 큰 문제가 빈곤이라는 점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상대적 빈곤률[1]은 49.
경제협력개발기구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상대적 빈곤률은 어떠한가? 한국 노인의 가장 큰 문제가 빈곤이라는 점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상대적 빈곤률[1]은 49.5%로 경제 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12.6%의 4배 가까운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노년기 빈곤은 삶에 여러 가지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데, 경제적 어려움 외에 신체건강 뿐만 아니라 정신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OECD, In It together: Why Less Inequality Benefits All, Paris: OECD, 2015 

  2. M. M. Glymour, M. Avendano, and I. Kawach,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L. F. Berkman, I. Kawachi, and M. M. Glymour(eds.), Social Epidemiology(2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3. H. K. Woo, and Y. T. Cho, Poverty dynamics and suiideation, Health and Social Science, Vol. 34, No. 12, pp. 5-35, 2013. 

  4. J. Kahn, and L. I. Pearlin, Financial strains over the life course and health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 47(march), pp. 17-31, 2006. 

  5. L. I. Pearlin, and A. Bierman, Current issues and future directions in research into the stress process, c. S. Aneshensel, J. C. Phelan and A. Bierman(eds.), Handbook of the Sociology of Mental Health(2nd), Springer, 2013. 

  6. L. I. Pearlin, and C. Schooler, The structure of cop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 19, No. 1, pp. 2-21. 

  7. Baeg-Eui, Hong, Factors influencing the 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57, No. 4, pp. 275-290, 2005. 

  8. Tae-wan, Kim and Ju-mi, Lee, A study of elderly poverty and depression: focusing on the multidimensional concept of poverty,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5, No. 3, pp. 71-102. 

  9. J. Y. Kim, The effects of poverty of the elderly on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ment condition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4, No. 4, pp. 717-735, 2014. 

  10. Dong Bae Kim, Byung Sun Yoo and Soo Min Shin, The effects of housing poverty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ervic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32, No. 4, pp. 1041-1061. 

  11. B. W. Lemon, V. L. Bengtson, and J. A. Peterson, An exploration of the activity theory of aging: activity type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in movers to a retirement community, Journal of Gerontology, Vol. 27, No. 4, pp. 511-523, 1972. 

  12. P. A. Thoits, Mechanisms linking social ties and support to physical mental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 52, No. 2, pp. 145-161, 2011. 

  13. Dong-Bae Kim, and Eui-Seong Sohn, 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depression i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5, No. 4, pp. 167-187, 2005. 

  14. Y. B. Kim,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tivities and depressive symptom: focusing on difference between young-old and old-old, Regional Sociology, Vol. 16, No. 1, pp. 213-237, 2015. 

  15. Y. B. Kim, The factor affecting depressive symptom of elderly in Chuncheon area: focusing on the effect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exchange, Regional Sociology, Vol. 15, No. 1, pp. 223-244, 2013. 

  16. S. H. Lee, and Y. B. Kim, Which type of social activities decrease depression in the elderly? an analysis of a population-based study in South Korea, Irani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43, No. 7, pp. 903-912, 2014. 

  17. Eun-Jeong Kim and Shin-Young Lee, The informal social support patterns and depression in rural elders: compared to urban elders,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Vol. 28, No. 2, pp. 149-176. 

  18. R. J. Turner, B. Wheaton, and D. A. Lloyd, The epidemiology of social stres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60, No. 1, pp. 104-125, 1995. 

  19. N. Muramatsu, Country-level income inequality and depression among older americans, Health Services Research, Vol. 38, No. 6, pp. 1863-1883, 2003. 

  20. L. S. Radloff,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 1, pp. 385-401, 1977.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3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22. K. L. Fiori, J. M. Mcllvane, E. E. Brown, and T. Antonucci, Social relations and depressive symptomatology: self-efficacy as a mediator, Aging & Mental Health, Vol. 10, No. 3, pp. 227-239, 2006 

  23. T. A. Glass, De Leon C. F. Mendes, S. S. Bassuk, and L. F. Berkman, Social engagement and depressive symptoms in later life: longitudinal finding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Vol. 18, No. 4, pp. 604-628, 2006. 

  24. K. Fiori, T. C. Antonucci, and K. S. Cortina, Social network typologies and mental health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Vol. 61B, pp. 25-32, 2006. 

  25. J. B. Turner, and R. J. Turner, Social relations, social integration, and social support, in C. S. Aneshensel, Jo C. PHelan, and A. Bierman(eds.), Handbook of the Sociology of Mental Health(2nd edition), Springer, 2015. 

  26. B. N. Uchino, Understanding the links between social support and physical health: a life-span perspective with emphasis on the separability of perceived and received support,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Vol. 4, pp. 236-255, 2009. 

  27. D. Umberson, and J. K. Montez, Social relationships and health: a flashpoint for health policy,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 51, pp. S54-S66, 2010. 

  28. S. Cohen, and S. L. Syme, Social Support and Health, New York: Academic Press, 1985. 

  29. L. I. Pearlin, The sociological study of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 30, No. 3, pp. 241-256, 1989. 

  30. Sung-Woo Bae, and Won-Shik Shin, The factor structure of the CES-D scale(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an application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Health and Social Science, Vol. 18, pp. 165-190, 2005. 

  31. F. Pichler, and C. Wallace, Patterns of formal and informal social capital in europe,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Vol. 32, No. 4, pp. 423-435, 2007. 

  32. J. S. House, Social support and social structure, Sociological Forum, Vol. 2, No. 1, pp. 135-146, 1987. 

  33. P. V. Marsden, Survey methods for network data, in J. Scott and P. J. Carrington, Sage Handbook of Social Network Analysis, pp. 370-389, 2011. 

  34. D. N. Gujarati, and D. C. Porter, Basic Econometrics(5th edition), McGraw-Hill, 2009. 

  35. M. S. Lee, Chronic diseases, depressive symptoms and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s in Korean elderly population, Health and Social Science, Vol. 27, pp. 5-26,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