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거환경의 삶의 질 향상을 고려하는 사회적 지속가능성 평가 지표 제안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Indicator of Social Sustainability Considering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in Residential Environment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4 no.6 = no.113, 2015년, pp.47 - 57  

장수정 (한양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  남경숙 (한양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research, an attempt was made to approach social sustainabi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s that have been studied thus far in community-oriented research in a broader perspective, with the aim to induce evaluation indicators for social sustainability of a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is o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해당 평가지표의 5가지 원칙은 기존의 선행연구의 주요 쟁점인 커뮤니티의 활성화와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고차원적 욕구 충족을 통한 삶의 질의 향상, 그리고 Habitat II에서 제시된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실천방향을 전반적으로 어우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거주자 삶의 질 향상을 고려하는 사회적 지속가능성 평가지표의 평가체계로써 WACOSS(2000)의 평가지표의 5가지 원칙을 기본 틀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때, 어휘의 모호성을 배제하고 범위를 명확히 하고자, ‘삶의 질’은 주거환경 내 다양한 욕구의 해소에 관련된 내용임에 따라 ‘다양한 니즈(needs)의 충족’으로, ‘사회적 결속’은 주거환경 내·외부의 소통 및 커뮤니티에 관한 ‘사회적 교류’로, ‘민주주의와 공공경영’은 주거지 계획 및 주거환경 내 민주주의적 의사결정과정과 참여에 관한 내용으로써 ‘참여와 의사결정’으로 어휘를 수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삶의 질의 측정이 객관적 환경에 관한 물리적 요소와, 삶의 여건에 대한 주관적 평가 및 인지상태인 비 물리적 요소에 영향을 받는 것을 고려하여, 객관적 평가와 주관적 평가를 병행한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평가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은 거주자의 삶과 이를 뒷받침 하는 물리적 환경에 관한 개념임에 따라, 평가범위를 완성된 물리적 환경 및 객관적 지표로써의 주거환경 차원, 거주자의 만족도 및 의식, 평가 등의 주관적 지표인 거주자 차원, 주거환경 계획단계에서부터 주거환경의 관리 및 계획이념과 관리자 의식의 영역을 포함하는 관리차원으로 구분하여 객관적 평가와 주관적 평가를 혼용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거주자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평가지표의 개념적 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삶의 질 평가 척도로써 주거환경 차원, 거주자 차원, 관리 차원으로 평가범위를 분류, 객관적 지표와 주관적 지표가 혼합된 평가체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기존의 커뮤니티 활성화를 중심으로 다루어지는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새롭게 조명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라 거주자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평가지표의 개념적 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지역성’, ‘다양성’, ‘형평성’, ‘다양한 니즈의 충족’, ‘사회적 교류’, ‘참여와 의사결정’으로 나뉘는 6가지의 평가체계 중, ‘참여와 의사결정의 영역’의 경우 일부의 선행연구에서 투자비용 대비 적은 효율성이 나타날 것이라는 전문가 의견이 있었으나, 계획단계에서부터 고려된 지역 원주민과 거주 예정자들의 의견 반영은 지속적인 거주를 위한 주거환경 구축에 큰 의의가 있으며, 사회적 참여를 통한 고차원적 욕구의 충족은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중요한 축으로 작용하므로 이를 간과해서는 아니 될 것이다.
  • 두 지표 모두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다양한 관점에서 조망하고 있으며, 평가대상 또한 주거환경의 물리적 요소와 관리체계 및 이념과 같은 비 물리적 요소까지 포함하는 종합적인 검토체계를 가진다. 본 연구는 종합적인 접근의 일환으로써 두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평가체계의 하위 분류체계인 평가속성을 작성하고자 하였다. 평가속성의 작성을 위하여 <표 4>에서 제시된 두 지표의 세부 평가항목을 유사 항목끼리 분류 및 통합하여 본 연구의 평가체계인 6가지 영역의 하위속성으로 구체화하였다.
  • 본 연구는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재설정하고,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평가지표의 개념적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연구로써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또한 사회적 지속가능성은 사회적 평등과 조화를 중심으로 주거환경 내·외부의 커뮤니티 활성화와 사회적 교류를 가능하게 하며, 이는 나아가 사회 복지적 차원에서 거주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주거환경의 삶의 질의 향상이 생존과 삶에 관한 기본적인 욕구를 해소하며, 나아가 교육, 여가, 사회적 관계, 자기 충족감의 형성에 관련된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킴에 따라 성취되는 것임을 가정할 때, 본 연구는 커뮤니티 형성에 국한되지 않은 광의적인 관점에서 주거환경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새롭게 조명하고자 하였다.
  •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핵심 지표로 다룬 기존의 연구들은 커뮤니티의 개념과 역할을 비단 거주자들의 소통뿐이 아닌 자생적이고 유기적인 매개체의 역할을 하는 광의적인 접근을 취해왔다. 하지만 커뮤니티 형성을 통한 사회적 소통의 본질은 거주자들의 삶의 질 확보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삶의 질은 물리적 차원만이 아닌 정신적인 차원을 포괄하는 광대한 개념9)임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연구되어온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보다 광의적으로 접근하고자 하였으며, 주거환경 내 다양한 욕구의 충족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거주자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평가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속가능한 개발의 세가지 영역은? 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개발의 성취를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지속가능한 개발은 환경, 사회, 경제의 세 영역으로 구분되며, 이중 사회적 지속가능성은 사회적 자본의 지속가능을 논의하는 개념으로써, 다양한 사회경제적 배경의 사람들의 공동체 의식의 향상과 지역고유의 역사문화성을 고려하는 연계체계의 구성, 나아가 사회 복지적 차원에서의 배려를 바탕으로 사회 구성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에 목적을 둔다.
지속가능성 사회의 목적은? 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한 개발의 성취를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지속가능한 개발은 환경, 사회, 경제의 세 영역으로 구분되며, 이중 사회적 지속가능성은 사회적 자본의 지속가능을 논의하는 개념으로써, 다양한 사회경제적 배경의 사람들의 공동체 의식의 향상과 지역고유의 역사문화성을 고려하는 연계체계의 구성, 나아가 사회 복지적 차원에서의 배려를 바탕으로 사회 구성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에 목적을 둔다.
공동체를 위한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요구되는 것은?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은 안정적인 사회적 개발, 역사 및 문화유산의 보존 및 복구의 개념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참여와 나눔, 문화 및 역사적 정체성을 기반으로 거주자가 함께 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중심으로하며,1) 커뮤니티 구축을 통한 사회적 소통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물리적 환경의 구축이 요구된다.2) 즉,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은 거주자의 사회적 통합과 커뮤니티를 통해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공동체적 삶, 즉 작은 문화를 유지하는 것으로써,3) 지속가능성의 개념 중 가장 중요하고 의미 있게 접근해야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arper, Charles L., 정대연 역,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한) 환경 사회학, 파주, 한울, 2010 

  2. 국토해양부, 지속가능한 신도시 계획기준, 2010 

  3. 권상우. 재정비촉진 사업의 지속가능성 평가항목 및 지표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논문, 2008 

  4. 김묘정, 지속가능성의 함의를 고려한 주거지 계획특성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9, 4, 2008 

  5. 김인순?진정, 지속가능한 개발로서 주거환경개선지구 내 주거 지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8, 3, 2007 

  6. 김인순,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도시주거환경개선계획에 관한 연구: 전주시 주거환경개선사업 지구를 중심으로, 전북대 박사논문, 2008 

  7. 서기영?임상인, 전통주거지에 내재된 지속가능한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0, 9, 2004 

  8. 송은아, 헤르만 헤르츠버거의 교육공간에 나타난 사회적 지속 가능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 박사논문, 2013 

  9. 송은아?김문덕, 헤르만 헤르츠버거의 건축에 나타난 사회적 지속가능한 디자인 관점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 3, 2011 

  10. 신화경?조인숙,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중요성과 평가 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4, 2, 2013 

  11. 오준호, 주거지의 사회적 지속성을 위한 커뮤니티 활성화 계획 요소: 광주광역시 택지개발지구를 중심으로, 전남대 석사논문, 2013 

  12. 이강희?황은경, 건물의 지속가능성 평가항목 선정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 4, 2002 

  13. 이규인, 지속가능한 정주지 실현을 위한 계획목표 설정연구, 국토계획, 36, 6, 2001 

  14. 임연수?최재필, '사회적 소통'을 위한 아파트단지 공용공간의 계획목표 및 전략 도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2, 3, 2011 

  15. 임연수, 사회적 소통을 위한 국내 아파트 단지 옥외 공용공간 계획 방향, 서울대 박사논문, 2010 

  16. 장아름, 주거지 재생사업에서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모니터링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논문, 2014 

  17. 조성희?강나나, 공동주택의 건강성능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2, 1, 2011. 

  18. 조인숙?신화경, 공동주택 계획을 위한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평가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1, 1, 2010 

  19. 조인숙.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평가에 관한 연구, 상명대 박사논문, 2014 

  20. Littig, Beate,?Erich Griessler, Social Sustainability: a catchword between political pragmatism and social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le Development, 8, 1, 2005 

  21. Hodgson, Nicole, Social Sustainability Assessment Framework, Sustainability, Assessment Symposium: Progressing Practice in Western Australia, 2008 

  22. Weingaertner, Carina?Asa Moberg, Exploring Social Sustainability: learning from perspectives on urban development and companies and products, Sustainable Development, 22, 2, 2014 

  23. http://integral-sustainability.net/wp-content/uploads/sas4-2-hodgson.pdf 

  24. http://www.wacoss.org.au/Libraries/State_Election_2013_Documents/WACOSS_Model_of_Social_Sustainability.sflb.ashx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