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중요성과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ortance and Indicator of the Social Sustainability in the Housing Environment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4 no.2, 2013년, pp.11 - 24  

신화경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  조인숙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praised as important new planning paradigm. The concept is being increasingly used in planning processes to address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sustainable development. The social sustainability is important as community in modern life. The purpose of this s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티 요소 측면에서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평가지표를 도출하여, 사회적 지속가능 측면에서 주거정책, 주거지 개발 및 계획 방향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커뮤니티 의식 및 활성화를 높이는 것이 바로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것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티를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중요한 중심축으로 설정하고,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중심축인 커뮤니티의 구성 요소를 통해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주거환경에서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중요성 및 사회적 지속가능성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평가지표를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평가지표와 분류체계 및 기준의 적절성에 대해 전문가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주거지를 만들기 위한 요소 중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의미와 그 중요성을 살펴보고,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연구목적을 실행하기 위해 크게 내용분석방법과 전문가조사방법 등의 연구방법을 실행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방법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Figure 1].
  • 지속가능한 발전은 환경, 사회, 경제 이 세 가지 요소가 모두 중요하나, 본 연구에서는 그간 선행연구에서 미비하게 다루어진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중심을 진행하고,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향후 거주자의 삶의 질 및 복지에 기반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지속가능성이란 무엇인가요? 한편, 개인이나 집단을 지탱해주는 일련의 믿음 체계인 사회적 지속가능성은 사회적 변화가 가져오는 충격의 완충장치로서 역할을 할 수 있어(Kim, 2008), 환경적 지속가능성과 경제적 지속가능성보다 선행될 때(Park, 2009),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일련의 믿음 체계는 우리가 흔히 말하고 있는 커뮤니티를 의미하는 것으로 커뮤니티는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사회적 지속가능성은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나요? 한편, 개인이나 집단을 지탱해주는 일련의 믿음 체계인 사회적 지속가능성은 사회적 변화가 가져오는 충격의 완충장치로서 역할을 할 수 있어(Kim, 2008), 환경적 지속가능성과 경제적 지속가능성보다 선행될 때(Park, 2009),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일련의 믿음 체계는 우리가 흔히 말하고 있는 커뮤니티를 의미하는 것으로 커뮤니티는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지속가능한 주거지를 위해서는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지속가능성 측면에서의 발전이 필요한데 각각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이와 같이 지속가능한 주거지를 위해서는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지속가능성 측면에서의 발전이 필요하다. 환경적 지속가능성은 환경용량 안에서 개발하여 환경의 악화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경제적 지속가능성은 지역경제발전 및 투자와 효과의 균형을 의미하는 것이고, 사회적 지속가능성은 참여와 나눔, 문화 및 역사적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거주자가 함께 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건설교통부 (2007). 지속가능한 신도시 계획기준. 과천: 건설교통부. 

  2. 대한주택공사 (1999). 커뮤니티 개념을 도입한 도시정비 활성화 방안 연구. 대전: 대한주택공사. 

  3. 문태훈 (2007). 국토 및 환경관리기능의 조정방안. 바람직한 국토.환경관리체계 구축방향 공청회. 서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 淺見泰司 (2003). 주거환경 평가방법과 이론. 서울: 시공문화사. 

  5. 채서일 (2001). 사회과학조사방법론. 파주: 학현사. 

  6. 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질적연구의 자료수집방법에 대한 이해. 서울: 청소년정책연구원. 

  7. Ahn, J., & Kim, D. (2011). A Study on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Directions for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Journal of Residention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9(2), 117-128. 

  8. Choi, Y., & Choe, B. (2004). A Study of Community Formation Plan in Apartment Area. Collection of dissertations of Academic Conference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55-465. 

  9. Chun, H.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and the community to promote livability of community. Housing Studies Review, 9(1), 143-172. 

  10. Habitat II (1996). The Habitat Agenda Goals and Principles, Commitments and tne Global Plan of Action. UN-HABITAT. www.unhabitat.org. 

  11. Im, Y. (2009). A Study on Sustainability and Relevance to Elements of Ecological Housing Complex.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5(8), 313-320. 

  12. Kim, I. (2008). A Study on the Project for Improving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 Cnsidering Sustainability.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Chonnam, Chonnam. 

  13. Kim, J. (2012).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Planning Elements of Residential Space. Master's thesis. University Sangmyung, Seoul. 

  14. Kim, L. (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mpact city and urban sustainability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Chungang, Seoul. 

  15. Kim, M. (2008). A Study on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Housing Area. Journal of Korean Housing Association, 19(4), 107-119. 

  16. Kim, M., & Jeong, J. (2011). A Study on the Planning Consideration for the Realization of Sustainable Housing. Journal of Korean Housing Association, 22(4), 103-112. 

  17. Kim, Y. (2001). A Study on the Sustainable Neighborhood Regeneration in the U.K.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36(1), 151-167. 

  18. Kwon, S. (2008). A study on the Evaluating Sustainable Clause and Indicator in the Redevelopment Promotion Area. Master's thesis. University Hanyang, Seoul. 

  19. Lee, K., & Hwang, E. (2003).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Assessment Items of the Sustainability in the Multifamily Housing. Journal of Korean Housing Association, 14(6), 69-77. 

  20. Lee, K. (2004). A Study on the Planning elements of Housing estate focused on social sustainability. Master's thesis. University Chonnam, Chonnam. 

  21. Lee, K., & Yeom, D. (2008).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Weight for Sustainability Assessment Indicators and Test Scoring for Super High-rise Residential Complexe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3), 23-32. 

  22. Park, G. (2011). Sustainability Evaluation of Old Housing Estate Regeneration Project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Master's thesis. University Chungnam, Chungnam. 

  23. Park, J. (2012). A Study on Sustainability of Eco-Friendly Residential Complex.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Inha, Inchon. 

  24. Park, K. (2009). A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criteria of multi-family housing. Master's thesis. University Hanyang, Seoul. 

  25. Park, Y. (2011). A Study on the Evaluation for Sustainable Residential Environment.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Chosun, Gwangju. 

  26. Park, W., Lee, K., Oh, S., Lee, J., & Chang, S. (1998). A Study on the Planning Guidelin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in Human Settlements by Case Study.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33(3), 115-131. 

  27. Park, W. (1998).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lanning model for a sustainable housing estat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Seoul, Seoul. 

  28. Rim, Y., & Choi, J. (2011). Deduction of the Design Objectives and Strategies of Communal Spaces in Apartment Complexes for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Journal of Korean Housing Association, 22(3), 1-14. 

  29. Seok, H. (2011). Development of Housing Management Assessment Tools for Sustainable Residential Environment. Master's thesis. University Kyunghee, Seoul. 

  30. Song, K. (2006). A Study on the Planning Strategies of Housing focussed on the Sustainable Community. Master's thesis. University Chungnam, Chungnam. 

  31. Song, K., & Oh, D. (2006). A Study on the Community Design Factors for Sustainable housing complex. Conference of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0, 127-134. 

  32. Suh, E. (2004). A Study on the History of Sustainability Indicator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8(3), 73-78. 

  33. Suh, K., & Yim, S. (2004). The Study on Sustainable Planning Elements in Traditional Residenc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9), 49-57. 

  34. Uhm, J. (2010). A study on the weight evaluation of urban planning factors for the sustainable compact city. Master's thesis. University Korea, Seoul. 

  35. Yang, B. (1993). Direction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rchitec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7(2). 82-87. 

  36. Yeom, D. (2008).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Weight for Sustainability Assessment Indicators and Test Scoring for Super High-rise Residential Complexes. Master's thesis. University Ajou, Suwon. 

  37. Yoo, S., & Park, C. (2011). A Study on the Concept and Elements for Sustainable Conversion in Housing Estat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7(11), 33-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