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평가항목 체계와 가중치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System and Weight about Evaluation Indicators of Social Sustainability in Residential Environment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8 no.2, 2017년, pp.47 - 56  

조인숙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  신화경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stainable development is one of the important concept of the 21st century. Especially, Social sustainabil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today's society with the weakened community, and is needed exploring social sustainability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s a container of human life. The purpo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정된 1차 평가항목의 분류기준, 분류체계, 평가항목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 1, 2차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1차 전문가 델파이 조사의 목적은 선정된 1차 평가항목의 분류기준 및 분류체계의 적절성과 영역별 항목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2차 조사는 1차 조사의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 및 보완된 평가항목에 대한 적절성을 검증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 1차 전문가 델파이 조사의 목적은 선정된 1차 평가항목의 분류기준 및 분류체계의 적절성과 영역별 항목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2차 조사는 1차 조사의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 및 보완된 평가항목에 대한 적절성을 검증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거환경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변화에 대응하고, 거주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평가항목 체계의 적절성을 평가하고, 평가항목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현재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항목을 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항목 체계와 가중치를 설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항목 체계와 평가항목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Shin and Jo(2013)연구에서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된 평가항목1)을 1차 평가항목으로 하여 평가항목 체계의 적절성과 가중치를 부여하여 최종 평가항목으로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평가항목체계와 가중치를 부여하여 최종 평가항목의 도출을 목적으로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주거환경의 지속가능성 요소 중 그동안 상대적으로 적게 다루어졌던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가중치조사를 통해 평가항목을 선정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1차로 선정된 평가항목에 대해 분류기준,체계, 항목의 적절성에 대해 1, 2차 전문가 델파이조사를 진행 후 평가항목의 가중치를 부여하기 위한 전문가 가중치 조사를 진행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평가항목을 선정한 것이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이라 하겠다
  • 이와 같이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개념을 살펴보면,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은 주거환경 내 집단 활동인 공동생활을 할 수 있는 교류 및 소통환경을 조성하여 사람간의 상호작용을 향상시켜 커뮤니티 의식 형성에 기여한다. 이를 통해 사회적 배제를 줄이고 사회적 형평성을 높이고 사회통합과 사회적 자본을 형성에 기여하여 개인을 넘어 사회 전체의 행복 및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
  • 전문가 델파이 조사의 조사대상자는 평균 10년 이상 학계, 연구소 등에 종사하는사회적 지속가능성 및 커뮤니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여, 건축 관련 전문가 2인, 주거 관련 전문가 2인, 정책 관련 전문가 1인 총 5인2)의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조사하였다. 전문가 델파이 조사의 목적은 평가항목 분류 기준의 적절성, 분류 체계의 적절성, 평가항목의 적절성 등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1차 조사에서 평가기준과 분류체계의 적절성, 평가항목의 적절성에 대해 매우 적절하다 5점에서 매우 적절하지 않다 1점으로 한 5점 척도를 이용하여 적절성을 평가하였고,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추가, 삭제, 통합, 이동해야 하는 평가항목에 대한 의견을 받아 2차 조사에 그 의견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거정책은 어떻게 달라졌는가? 1992년 Rio Summit의 Agenda 21과 1996년 유엔인간정주회의의 HabitatⅡ 발표이후 주거정책에서 지속가능성고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주거정책은 과거 주택의 양적공급 정책에서 거주자의 삶의 질과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질적 성장 정책으로 변화하고 있으며,이런 변화 속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지속가능한 발전은 환경적 지속가능성, 경제적 지속가능성,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환경적 지속가능성과 경제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은 반면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은 다소 저조하였다(Jang, 2014).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주거정책 및 계획의 방향 설정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와 같이, 계층 간 갈등, 빈부격차, 소통의 부재 등 많은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현대사회의 주거환경에서는 다양한 계층 간의 통합과 소통 및 교류를 증진시킬 수 있고, 사회적 가치규범의 설정을 위해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또한 주거환경에서사회적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것은 거주자의 삶의 질 및 행복감 증진에 기여하게 된다. 이에 거주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주거환경 사회적 지속가능성 측면을 고려한 주거정책 및 계획의 방향 설정이 필요할 것이다.
지속가능한 발전은 어떤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가? 현재 주거정책은 과거 주택의 양적공급 정책에서 거주자의 삶의 질과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질적 성장 정책으로 변화하고 있으며,이런 변화 속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지속가능한 발전은 환경적 지속가능성, 경제적 지속가능성,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환경적 지속가능성과 경제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은 반면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은 다소 저조하였다(Jang, 2014). 현대사회의 빈부격차, 가족파괴,자원배분 불평 등 다양한 병리현상 나타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거환경에서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하였다(Park,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3)

  1. Asami, A. (2003). Housing environment. Seoul: Sigongsa. 

  2. Asami, Y. (2003). Evaluation method and theory of residential environment. Seoul: Sigongsa. 

  3. An, J. G., & Kim, D. Y. (2011). A study on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directions for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Housing Environment, 9(2), 117-128. 

  4. An, J. S. (2011).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a for historic gardens preservation condition by applying delphi technique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Unpubulished doctoral disserta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5. Bramley, G., Dempsey, N., & Powe, S. (2009). Social sustainability and urban form: Evidence from five British cities. Environment and Planning A, 41, 2125-2142. 

  6. Bramley, G., & Power, S. (2009). Urban form and social sustainability: The role of density and housing type.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36, 30-48. 

  7. Cha, S. M. (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aws for apartment house community facilities for activation of the local community. Unpubulished master's thesis, Jungang Univ, Ansung, Korea. 

  8. Chun, H. S.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and the community to promote livability of community. Journal of the Housing Policy Studies, 9(1), 143-172. 

  9. Colantoino, A. (2009). Urban social sustainability themes and assenssment method. Proceedings of the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Urban Design and Planning. 163, 79-88. 

  10. Cuthill, M. (2010). Strengthening the ‘social’ in sustainable development: Developing a conceptual framework for social sustainability in a rapid urban growth region in Australia. Sustainable Development, 18, 362-373 

  11. Dave, S. (2011). Neighbourhood density and social sustainability in cities of developing countries. Sustainable Development, 19, 189-205 

  12. Davis, W., & Herbert, D. (1993). Communities within Cities: An Urban Social Geography. Belhaven Press: Newyork. 

  13. Dempsey, N., Bramly, G., & Power, S. (2011). The social dimens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Defining urban social sustainability. Sustainable Development, 19, 289-300 

  14. Dempsey, N., Brown, C., & Bramley, G. (2012). The key to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in UK cities? The influence of density on social sustainability. Progress in Planning, 77, 89-141 

  15. Eum, J. H. (2010). A study on the weight evaluation of urban planning factors for the sustainable compact city. Unpubu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16. Ghahramanpouri, A., Lamit, H., & Sedaghatnia, S. (2013). Urban social sustainability trends in research literature. Asian Social Science, 9, 185-193. 

  17. Han, J. H. (2011). The environmental design for crime prevention in co-residential complexes to promote sense of community. Unpubulished doctoral dissertaion, Younsei University, Seoul, Korea 

  18. Ham, J. I. (2011). Impact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for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on Residence Satisfaction. Unpubulished doctoral Dissertaion, Geong-gi university, Suwon, Korea. 

  19. Hong, I. S., & Jung, J. Y. (2004). A study on the formation of Communities by Locality in the Urban Housing Complex. Proceeding of Autumn Annual Conference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2), 27-30 

  20. Jang, A. R. (2014). A development of social sustainability monitoring indicators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residential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1. Jang, J. H., & Lee, I. H.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e of community and resident self-help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4(2), 15-26. 

  22. Jang, T. S. (2011).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outdoor advertisements to reflect the regional ident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Geong-gi university, Suwon, Korea. 

  23. Jung, S. J. (2005). A study on rank of tourism policy using AHP. Unpublished master's thesis, Geong-gi University, Suwon, Korea. 

  24. Karuppannan, S., & Sivam, A. (2011). Social sustainability and neighbourhood design: An investigation of residents’ satisfaction in Delhi. Local Envrionment, 16(9), 849-870. 

  25. Kang, S. Y. (2009). Planning for green community. Unpubulished doctoral dissertaion, Seoul university, Seoul, Korea. 

  26. Kim, E. K. (2012). From growth to sustainable development. Seoul: Korea and future (ISSN 9788996555933). 

  27. Kim, H. J. (2010). Evalua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based on the view of community activities: Focused on the Gunsan city and Masan city. Unpubulished doctoral dissertaion,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8. Kim, I. S. (2008). A study on the project for improving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 cnsidering sustainability. Unpubulished doctoral dissertaion, Junbak University, Junju, Korea. 

  29. Kim, J. H. (2012).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planning elements of residential space. Unpubulished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Seoul, Korea. 

  30. Kim, M. J. (2008). A study on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housing area. Journal of Korean Housing Association, 19(4), 107-119. 

  31. Kim, M. J., & Jeong, J. S. (2011). A study on the planning consideration for the realization of sustainable housing. Journal of Korean Housing Association, 22(4), 103-112. 

  32. Kim, R. Y. (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mpact city and urban sustainability. Unpubulished doctoral dissertaion, Jungang University, Ansan, Korea. 

  33. Kim, Y. H. (2001). A study on the sustainable neighborhood regeneration in the U.K..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36(1), 151-167. 

  34. KRIHS. (2000). Community impovement of residential encironmenta in urba area (KRIHS 2000-22). 

  35. Kwon, T. I. (2008). Study on drawing priority of the influence factors of tourist resort remodeling business: Delphi technic & analytic hierarchy Process. Unpubulished doctoral dissertaion,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36. Lee, G. I., & Yeum, D. W. (2008).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weight for sustainability assessment indicators and test scoring for super high-rise residential complexe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4(3), 23-32. 

  37. Lee, K. H., & Hwang, E. K. (2003).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assessment items of the sustainability in the multifamily housing. Journal of Korean Housing Association, 14(6), 69-77. 

  38. Lim, S. I. (2002). Study of pattern language model for applying the sustainable concept in planning residential development. Unpubulished doctoral disserta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39. Lim, Y. B. (2009). A study on sustainability and relevance to elements of ecological housing complex.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5(8), 313-320. 

  40. Lim, Y. S. (2010). Communal space planning in korean apartment complexes for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Unpubulished doctoral dissertaion, Seoul University, Seoul, Korea. 

  41. Lim, Y. S., & Choi, J. P. (2011). Deduction of the design objectives and Strategies of Communal Spaces in Apartment Complexes for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Journal of Korean Housing Association, 22(3), 1-14. 

  42. Littig, B., & Grebler, E. (2005). Social sustainability: A catchword between political pragmatism and social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le Development, 8(1), 65-79. 

  43. Mckenzie, S. (2004). Social sustinability: Towards some definitions. Hawke Research Institute Working Paper Series, 27, 1-29 

  44. Newman, P., & Kenworthy, J. (1999). Sustainability and cities: Overcoming automobile dependence. Washington: Island Press. 

  45. Oh, J. H. (2013). Planning elements of community vitalization for social sustainability in residential area. Unpubulished master's thesis, Junnam University, Gwangju, Korea. 

  46. Oh, M. H. (2013). Inter-country tourism industry competitiveness evaluation-index development using delphi technique and AHP. Unpubulished doctoral dissertaion,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47. Park, J. R. (2012). A study on sustainability of eco-friendly residential complex. Unpubulished doctoral dissertaion,, Inha university. Inchun, Korea 

  48. Park, K. Y. (2009). A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criteria of multi-family housing. Unpubu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49. Park, W. G., Lee, G. I., Oh, S. H., Lee, J. J., & Jang, S. Y. (1998). A study on the planning guidelin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in human settlements by case study.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33(3), 115-131. 

  50. Park, W. K. (199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lanning model for a sustainable housing estate. Unpubulished doctoral dissertaion, Seoul university, Seoul, Korea. 

  51. Park, Y. S. (2011). A study on the evaluation for sustainable residential environment. Unpubulished doctoral dissertaion, Chosun university. Junju, Korea. 

  52. Polese, M., & Stren, RE. (2000). The social sustainability of cities: Diversity and the management of change.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53. Ross, M. (1958). Case Histories in Community Organizations. UK. Harper 

  54. Seo, K. Y., & Lim, S. I. (2004). The study on sustainable planning elements in traditional residenc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9), 49-57. 

  55. Sharifi, A., & Murayama, A. (2013). Changes in the traditional urban form and the social sustainability of contemporary cities: A case study of Iranian cities. Habitat International, 38, 126-134. 

  56. Shin, H. K., & Jo, I. S. (2013). A study on the importance and indicator of the social sustainability in the housing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Housing Association, 24(2), 11-24. 

  57. Shin, H. K., & Jo, I. S.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appiness and satisfaction of social sustainability in residential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Housing Association, 26(2), 57-66. 

  58. Song, G. T. (2006). A study on the planning strategies of housing focused on the sustainable community.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Chungnam University, Deajun, Korea. 

  59. Torjman, S. (2000). The social dimens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Caledon Institute of Social Policy, 1-11 

  60. Vallance, S., Perkins, HC., & Dixon, JE. (2011). What a social sustainability? A clarification of concepts. Geoforum, 42, 342-348. 

  61. Yang, B. H. (1993). Direction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rchitect, 37(2), 70-76. 

  62. Yiftachel, & Hedgcock (1993). Urban social sustainability: The planning of Australian city. Cities, 10(2), 139-157. 

  63. Yoo, S. S., & Park, C. S. (2011). A study on the concept and elements for sustainable conversion in housing estate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7(11), 33-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