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의 빗장주거단지가 근린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Assessment of the impact of gated communities on social sustainability of neighborhoods in Seoul 원문보기

地域硏究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36 no.1, 2020년, pp.3 - 16  

김희석 (한남대학교 탈메이지교양교육대학) ,  이영성 (서울대학교 환경계획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부분의 국내 아파트단지는 서비스 공급의 자족성, 자치, 폐쇄성이 특징인 빗장주거단지(gated community)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동네에 끼치는 영향은 고려하지 않은 채 기존의 아파트단지 담장에 더해 단지 내부로 외부 보행자 출입을 막는 차단문이 설치되면서, 아파트단지의 폐쇄성은 더욱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빗장주거단지의 폐쇄성 강화가 근린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끼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근린 내 주거유형을 주거지 폐쇄의 정도에 따라 저층주거지, 일반 아파트단지, 차단문이 설치된 아파트단지로 나누고 설문을 통해 각각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차단문의 설치는 사회적 지속가능성 중 삶의 질 관련 지표를 높이는 효과는 있으나, 일반 아파트단지보다 포용성 지표를 대폭 낮춤으로써 근린의 사회적 응집력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쇄성이 강화된 새로운 아파트단지는 기존 아파트단지와 저층주거지 간에 유지되어 온 공존 질서를 뒤흔들고, 근린 내 공간적·사회적 분리를 강화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of the Korean apartment complexes are considered as gated communities having characteristics such as self-sufficiency in service provision, self-governance and exclusiveness. Today the exclusionary features of apartment complexes are reinforced by a new practice of erecting gates against pedest...

주제어

표/그림 (1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차단문을 설치한 아파트단지는 아직 수적으로는 많지 않으나, 아파트단지의 고급화로 인한 단지와 비단지 간 주거환경 격차 확대 및 차단문 설치 확산 추세는 폐쇄적 주거지가 보편화되기 전에 주변에 끼치는 사회적 영향을 선제적으로 점검하고 그에 대한 대책 수립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아파트단지의 극단적 폐쇄화로 인해 분절된 주거공간이 단지 주민과 이웃 주민들 간의 근린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고, 주거지의 파편화(fragmentation)가 사회적으로 지속가능한지 분석하여 빗장주거단지 확산이 가져올 수 있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선제적 대응책 수립이 필요한지 점검하고자 한다.
  • 많은 빗장주거단지 연구가 단지와 주변 지역을 포함하는 근린 단위보다는 단지 또는 도시 단위로 이루어졌으며, 근린 단위 연구도 주변 주민 또는 전문가의 빗장주거단지에 대한 반응을 인터뷰로 정리하는 데 그쳐(Atkinson & Flint, 2004; Roitman, 2005; Salcedo & Torres, 2004) 빗장주거단지가 근린에 끼치는 영향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빗장주거단지가 근린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포괄적이며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빗장주거단지와 연관된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지표를 설정하고, 이를 주민설문을 통하여 빗장주거단지가 속한 근린에서 측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빗장주거단지의 존재가 근린의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차단단지가 속한 서울의 11개 동네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단지와 비단지 간 사적 인프라 양과 질의 차이에 따른 주거환경격차가 존재하고, 이는 주민 간 사회경제적 격차 및 주거 분리로 이어지고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빗장주거단지의 특성이 비공식적 수준에서 형성되는 이웃 간의 상호작용과 사회적 자본에 끼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고, 이를 ‘이웃과의 상호작용’ 지표로 설정하여 사회적 자본의 양이라고 할 수 있는 이웃과의 교류, 사회적 자본 발생의 기저 요인인 이웃에 대한 신뢰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 절차의 민주성은 정치제도에 좌우되고 본 연구의 범위를 넘어서기 때문에, ‘거버넌스’만을 지표로 설정하여 반상회, 아파트단지의 입주자 대표회의, 민원 등 공식적 수단과 기타 비공식적 수단을 통한 주민들의 자치 참여 의지와 근린 거버넌스 역량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거환경 격차는 어떤 현상을 만드는가? 이와 같은 주거환경 격차는 아파트단지 진입 비용을 상승시켜 두 주거지 간의 주거비용 격차로 이어지고 있으며, 두 공간이 한 동네에 공존함에도 불구하고 소득 격차와 더불어 명확한 물리적 경계에 의해 나누어지는 물리적·사회적 분리(segregation) 현상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 물리적 경계는 대개 아파트단지를 둘러싼 담장과 도로인데, 최근에는 단지 출입구에 경비 초소뿐만 아니라 카드인식시스템을 갖춘 차단문을 설치하여 외부인의 단지 내 출입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아파트단지들이 나타나고 있다.
대부분의 국내 아파트단지의 특징은? 대부분의 국내 아파트단지는 서비스 공급의 자족성, 자치, 폐쇄성이 특징인 빗장주거단지(gated community)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동네에 끼치는 영향은 고려하지 않은 채 기존의 아파트단지 담장에 더해 단지 내부로 외부 보행자 출입을 막는 차단문이 설치되면서, 아파트단지의 폐쇄성은 더욱 강화되고 있다.
민간 자본으로 양호한 기반시설을 갖춘 새 아파트단지와 공공의 기반시설투자가 정체되고 있는 동안 밀도만 높아진 저층주택지 사이의 간극이 날로 커지는 이유는? 서울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노후 저층주택지를 대상으로 한 도심 재개발·재건축이 사업성에 기반하여 산발적으로 진행되면서, 새로 지은 아파트단지와 재개발에서 제외된 저층주택지가 공존하는 곳이 늘고 있다. 이에 따라 민간 자본으로 양호한 기반시설을 갖춘 새 아파트단지와 공공의 기반시설투자가 정체되고 있는 동안 밀도만 높아진 저층주택지 사이의 간극은 날로 커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국토연구원, 2019, 2018년 주거실태조사, 국토교통부. 

  2. 김은정.이성림.이완정.김한나, 2011, 소득계층별 출산.양육 행태 분석 및 정책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 김지은.최막중, 2012, 아파트단지의 물리적 폐쇄성과 사회경제적 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3(5), pp.103-111. 

  4. 박인권.이민주, 2016, 도시 포용성 구성개념과 제표체계의 개발 - 한국의 포용도시 의제 설정을 위하여, 공간과 사회, 26(4), pp.109-158. 

  5. 박인수, 2013, 아파트 한국사회 단지 공화국에 갇힌 도시와 일상, 서울: 현암사. 

  6. 박철수, 2013, 아파트 공적 냉소와 사적 정열이 지배하는 사회, 서울: 마티. 

  7. 백혜선 외, 2011, 공동주택 보급에 따른 주거문화 진단 및 발전방향 연구, LH토지주택연구원. 

  8. 서울특별시, 2019, 서울시 건축조례, 7월 18일. 

  9. 석주헌.박기현, 2017, 주거용 건물에너지 소비 요인 분석을 통한 건물에너지 정책 방안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10. 송주연.임석회, 2015, 도시의 질적 발전을 위한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이론적 탐색, 대한지리학회지, 50(6), pp.677-694. 

  11. 염철호.하지영, 2011, 주거문화 진단 및 주택정책 방향설정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12. 천현숙.윤정숙, 2001, 아파트 주거문화의 진단과 대책, 국토연구원. 

  13. 하성규.김태섭, 2003, 한국도시재개발의 사회경제론, 서울: 박영사. 

  14. Atkinson, R. & Flint, J., 2004, Fortress UK? Gated communities, the spatial revolt of the elites & time-space trajectories of segregation, Housing Studies, 19(16), pp.875-892. 

  15. Bagaeen, S. & Uduku, O., 2020, Gated Communities: Social Sustainability in Contemporary & Historical Gated Developments, New York: Earthscan. 

  16. Barron, L. & Gauntlett, E., 2002, Housing & sustainable communities indicators project: stage 1 report-model of social sustainability, Report of housing for sustainable community: the state of housing in Australia. 

  17. Blakely, E. J. & Snyder, M. J., 1997, Fortress America: Gated Communities in the United States,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Press. 

  18. Blandy, S. & Lister, D., 2005, Gated Communities: (Ne) Gating Community Development?, Housing Studies, 20(2), pp.287-301. 

  19. Buchanan, J., 1965, An Economic Theory of Clubs, Economica, 32(125), new series, pp.1-14. 

  20. Grant, J. & Mittelsteadt, L., 2004, Types of gated communities, Environment & Planning B: Planning & Design, 31, pp.913-30. 

  21. Kim, H. S., 2018, Formation & Resident Perception of Gated Communities: the Case of Apartment Complexes in Seoul(빗장주거단지의 형성과 거주자 인식에 관한 연구: 서울의 아파트단지를 사례로), Doctoral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2. La Grange, A., 2014, Hong Kong's Gating Machine, Housing Studies, 29(2), pp.251-269. 

  23. Lemanski, C., 2006, Spaces of exclusivity or connection? Linkages between a gated community & its poorer neighbour in a cape town master plan development. Urban Studies, 43(2), pp.397-420. 

  24. Low, S., 2003, Behind the Gates: Life, Security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in Fortress America, New York: Routledge. 

  25. Pacione, M., 2009, Urban Geography: A Global Perspective, Abingdon: Routledge. 

  26. Raposo, R., 2006, Gated communities, commodification & aestheticization: The case of the Lisbon metropolitan area, GeoJournal, 66, pp.43-56. 

  27. Roitman, S., 2010, Gated communities: definitions, causes & consequences, Urban Design & Planning, 163, pp.31-38. 

  28. Salcedo, R. & Torres, A., 2004, Gated Communities in Santiago: Wall or Frontier?,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 Regional Research, 28(1), pp.27-44. 

  29. Sanchez, T. W., Lang, R. E. & Dhavale, D. M. ,2005, Security versus Status? A First Look at the Census's Gated Community Data, Journal of Planning Education & Research, 24, pp.281-291. 

  30. Tiebout, C., 1956, A Pure Theory of Local Expenditure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64(5), pp.416-24. 

  31. United Nations, 2002, Report of the world summit on sustainable development, New York: United Nations. 

  32. Vallance, S., Perkins, H. C. & Dixon, J. E., 2011, What is social sustainability? A clarification of concepts, Geoforum, 42, pp.342-348. 

  33. Wilson-Doenges, G., 2000, An Exploration of Sense of Community & Fear of Crime in Gated Communities, Environment & Behavior, 32(5), pp.597-611. 

  34.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 Development, 1987, Our common future, Oxford: Oxford Univeristy Press. 

  35. 통계청, 2015 인구주택총조사 자료, https://sgis.kostat.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