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삼각형의 넓이와 삼각뿔의 부피에 내재된 공리와 힐베르트의 세 번째 문제
Axioms underlying area of triangle and volume of triangular pyramid and Hilbert't third problem 원문보기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18 no.4, 2015년, pp.371 - 385  

도종훈 (서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행 수학과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에서는 도형의 넓이와 부피가 무엇을 의미하는 용어인지 명료하게 정의하지 않으며, 넓이와 부피 측정에 어떤 공리가 전제되어 있는지 파악하기도 어렵다. 본고에서는 도형의 넓이와 부피 개념에 전제된 공리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들 공리의 관점에서 학교수학에서의 넓이 및 부피 관련 내용 중 특히 삼각형의 넓이와 삼각뿔의 부피 공식에 대한 설명 방식의 차이점을 힐베르트의 세 번째 문제와 관련지어 논의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axioms defining area and volume so that revisit area formula for triangle, volume formula for triangular pyramid, and related contents in school mathematics from the view point of axiomatic method and Hilbert's third probl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고에서는 도형의 넓이와 부피 개념에 내재되어 있으나 학교수학에는 명시적으로 드러나 있지 않은 공리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들 공리의 관점에서 학교수학에서의 넓이 및 부피 관련 내용 중 특히 삼각형의 넓이와 삼각뿔의 부피 공식을 힐베르트의 세 번째 문제와 관련 지어 함께 살펴본다. 이와 관련하여 몇몇 선행 연구(도종훈․박윤범, 2014; 도종훈․허선희, 2013; 최영기․도종훈, 2000; 한인기, 1999)에서 이미 초등학교 수학을 포함한 학교수학에서의 넓이 지도 내용에 대한 공리적 해석이나 힐베르트의 세 번째 문제와 그 수학교육적 의미 등에 대한 논의가 일부 이루어진 바 있다.
  • 그러나 다각형의 넓이와 다면체 부피의 공통점과 차이점 및 삼각뿔의 부피 공식 설명 방식과 힐베르트의 세 번째 문제 사이의 관련성에 대한 공리의 관점에서의 세밀한 분석이나 재조명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고에서는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이루어진 논의에 더하여 특히 넓이와 부피를 각각 다각형과 다면체로 한정하여 생각할 때 다각형의 넓이와는 다른 다면체의 부피의 특징을 공리의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이것이 힐베르트의 세 번째 문제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논의한다.

가설 설정

  • 특히 다각형의 넓이 비교 및 측정과 관련하여 넓이 공리 (ii)는 좀 더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두 도형의 넓이를 비교할 때, 만약 두 도형의 모양이 같다면 즉, 닮음이라면 공리 (i)만으로도 두 도형의 넓이의 직접 비교가 가능하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두 도형 중 어느 한 도형을 넓이를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나머지 한 도형과 같은 모양이 되도록 변형하거나 두 도형 모두를 정사각형과 같이 넓이의 직접 비교가 가능한 형태의 도형으로 변형시켜야 한다.
  • (iii) 한 변의 길이가 1(단위 길이)인 정사각형 P에 대하여  ψ(P) = 1 이다.
  • (iii) 한 변의 길이가 1(단위길이)인 정육면체 P에 대하여  Φ(P)=1 이다.
  • (iii)′가로의 길이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a 와 b 인 직사각형 P 에 대하여 ψ(P)=ab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리적 방법이란? 이런이유로 수학에서의 여러 가지 개념과 내용은 특정한 공리를 기반으로 전개되는데, 이와 같은 수학의 내용 구성 및 전개 방법이 바로 공리적 방법이다(Barker, 1964; Eves, 1976). 공리적 방법이란 그 자신은 증명의 대상이 되지 않으면서 기본적인 전제로 이용되는 몇 가지 공리와 더 이상 다른 용어를 통해 정의하지 않는 몇 가지 무정의 용어를 상정한 뒤, 이로부터 다른 명제들을 차례로 연역해 나가는 수학의 전개방식을 뜻한다. 공리적 방법에서 어떤 명제의 진위 여부는 결국 그 체계의 공리로 귀결되어 판단된다.
힐베르트의 세 번째 문제는 무엇인가? 결국 힐베르트의 세 번째 문제는 평면에서 넓이가 같은 두 다각형이 서로 합동분해 가능한 것과는 달리 공간에서 부피가 같은 두 다면체는 일반적으로 합동분해가능하지 않음을 보이는 문제임을 알 수 있다. 힐베르트의 세 번째 문제는 힐베르트가 문제를 제기한 바로 다음해인 1901년에 덴(M.
학교 수학의 증명을 공리적 방법이 아닌 어떤 명제의 진위를 밝히고 정당화하는 과정으로 다루는 이유는? 학교수학에서도 어떤 명제의 진위를 밝히고 정당화하는 과정으로서 증명을 다루고 있으나 그것은 엄격한 의미에서 공리적 방법에서의 증명으로 보기는 어려운데, 이는 그 명제의 진위 여부를 어떤 공리에 의존하여 최종 판단하지는 않기 때문이다(최영기․홍갑주, 2006). 이런 현상은 학교수학이 오랜 역사를 통해 누적된 수학의 수많은 내용들 중에서 해당 연령의학생들이 꼭 학습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는 다양한 내용을 다루어야 한다는 점과 내용의 설명 방식에 있어서 학생들의 인지적 능력에 부합하는 물리적 실험이나 관찰, 조작, 직관 등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일면 당연한 것이며 오히려 바람직한 것일 수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2. 구광조.라병소 (1997). 초등학교에서의 도형의 넓이 지도. 수학 및 통계연구 21, 41-57. 

  3. 도종훈.박윤범 (2014). 초등학교 수학의 넓이 지도 내용에 대한 공리적 해석. 초등수학교육 

  4. 도종훈.최영기 (2003). 수학적 개념으로서의 등호 분석. 수학교육 42(5), 697-706. 

  5. 도종훈.허선희 (2013). 공리적 관점에서 학교수학의 넓이와 부피 개념 재조명. 교육논총 19, 133-144. 

  6. 정동권 (2001).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를 통한 수학적 사고의 신장.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 논총 13, 1-36. 

  7. 최영기.도종훈 (2000). 학교수학에서 차원 다루기. Math Festival. 수학사랑. 

  8. 최영기.홍갑주 (2006). 원의 넓이와 관련된 순환논법과 국소적 조직화. 학교수학 8(3), 291-300. 

  9. 한인기 (1999). 힐베르트의 세 번째 문제. 한국수학사학회지 12(2), 25-39. 

  10. 황혜정 (2010). 교과 내용 지식(SMK)에 초점을 둔 수학 수업평가 기준 고찰.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1), 45-67. 

  11. 황혜정 (2011). 수학 수업의 교사 지식에 관한 평가 요소 탐색 :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3), 241-263. 

  12. 허민, 김선희, 도종훈, 조혜정, 조숙영, 이경은, 양서윤, 이규희, 김소연 (2013). 중학교 수학(1). (주)대교. 

  13. Barker, S.F. (1964). 수리철학. 이종권 역(1983). 종로서적. 

  14. Boltianskii, V.G. (1978). Hilbert's third problem. V. H. Winston & Sons. 

  15. De Barra, G. (1981). Measure theory and integration. Ellis Horwood Ltd. 

  16. Even, R. & Tirosh, D. (1995). Subject-matter knowledge and knowledge about students as sources teacher presentations of the subject-matter.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9. 

  17. Eves, H.W. (1976).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mathematics, 이우영.신항균 역 (1999). 수학사. 경문사. 

  18. Heath, T.L. (1956). The Thirteen Books of Euclid's Elements Vol.1,-3. Dover Publications, Inc. 

  19. Laczkovich, M. (2001). Conjecture and proof. The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20. Roe, J. (1995). Elementary Geometry. Oxford Science Publication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