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도, 소명의식, 일의 의미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Career Attitude Maturity, Calling, and Work as Meaning Affecting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among Health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1 no.5, 2015년, pp.480 - 488  

유재용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  박주영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  우정희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among students in health colleges (Nursing, Clinical Pathology, Radiology, Dental Hygienics, Medicine).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61 students in Daejeon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학생활적응은 평가함에 있어 학업과 같은 일부분에 국한하기 보다는 다면적 영역을 아우를 수 있는 총체적이고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높은 청년실업률과 고용불안 등이 사회적 쟁점이 되고 있는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취업률이 높은 보건계열 대학생이 가지고 있는 일 또는 직업적 가치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일반적 특성 및 진로태도성숙도, 소명의식, 일의 의미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진로태도성숙도, 소명의식, 일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사회적으로 취업난이 심각한 시점에서 지원열기가 높아진 보건계열 학과의 대학생을 중심으로 소명의식과 일의 의미를 포함하여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시의적절하였다고 생각된다.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도, 소명의식과 일의 의미를 중심으로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진로태도성숙도와 소명의식은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주요 요인으로 나타난 반면, 학기 중에도 항상 아르바이트를 하는 경우나 지난 학기 성적이 중위권인 경우는 대학생활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활적응을 대학생활에 얼마나 만족하고 있으며 잘 대처해 나가고 있는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았다[19]. 대학생활의 적응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20] 대학생활적응척도(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Questionnaire)를 한국어판으로 수정한 도구[19]를 선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 시기의 중요한 발달과업은? 대학생 시기는 정체성 확립과 더불어 인생의 진로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발달과업 중 하나이다. 진로를 결정한다는 것은 넓은 의미에서 보면 자신의 삶 전반에 대한 영위문제를 결정하는 것이며, 한편으로는 직업의 방향을 구체화하는 것이기도 하다.
진로를 결정한다는 것은 넓은 의미에서 어떤 것인가? 대학생 시기는 정체성 확립과 더불어 인생의 진로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발달과업 중 하나이다. 진로를 결정한다는 것은 넓은 의미에서 보면 자신의 삶 전반에 대한 영위문제를 결정하는 것이며, 한편으로는 직업의 방향을 구체화하는 것이기도 하다. 다시 말하면 인간에게 있어, 직업은 사회 참여를 통해 자신의 삶에 대한 지향성을 추구하는 하나의 수단이며 자아실현을 위한 핵심동력이 된다.
인간은 자신의 자아개념에 부합하는 진로를 선택하고자 하며, 직업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발전시키고 자아를 실현하고자 하는 이유는? 진로를 결정한다는 것은 넓은 의미에서 보면 자신의 삶 전반에 대한 영위문제를 결정하는 것이며, 한편으로는 직업의 방향을 구체화하는 것이기도 하다. 다시 말하면 인간에게 있어, 직업은 사회 참여를 통해 자신의 삶에 대한 지향성을 추구하는 하나의 수단이며 자아실현을 위한 핵심동력이 된다. 그러므로 인간은 자신의 자아개념에 부합하는 진로를 선택하고자 하며, 직업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발전시키고 자아를 실현하고자 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Lee KH, Han JC. Study on validation of career attitude.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al Research. 1997;8:219-255. 

  2. Song HS, Hong HY.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10;11(3):1325-1350. http://dx.doi.org/ 10.15703/kjc.11.3.201009.1325 

  3. Young RA, Valach L. The construction of career through goaldirected ac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004;64:499-514. http://dx.doi.org/10.1016/j.jvb.2003.12.012 

  4. Park JH, Yoo SK. Exploring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work ho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mong college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12;13(2):543-560. http://dx.doi.org/10.15703/kjc.13.2.201204.543 

  5. Dik BJ, Duffy RD. Calling and vocation at work: Definitions and prospects for research and practice. The Counselling Psychologist. 2009;37:424-450. http://dx.doi.org/10.1177/0011000008316430 

  6. Shim Y, Yoo SK.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 (CVQ-K).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12;24(4):847-872. 

  7. Peterson C, Park N, Hall N, Seligman MEP. Zest and work.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009;30:161-172. http://dx.doi.org/10.1002/job.584 

  8. Wrzesniewski A, McCauley C, Rozin P, Schwarts B. Jobs, careers and calling: People's relations to their work.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997;31:21-33. http://dx.doi.org/10.1006/jrpe.1997.2162 

  9. Serow RC. Called to teach: A study of highly motivated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1994;27:65-72. 

  10. Elangovan AR, Pinder CC, Mclean M. Calling and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010;76:428-440. http://dx.doi.org/10.1016/j.jvb.2009.10.009 

  11. Lee JY. The change of juvenile's work valu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006;25(3):163-181. 

  12. Kim MA, Lim JY, Kim SY, Kim EJ, Lee JE, Ko YK. Influencing factors on nursing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04;13(4):383-391. 

  13. Chang KM.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their adjustment to university.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5;6(1):185-196. 

  14. Duffy RD, Manuel RS, Borges NJ, Bott EM. Calling vocational development and well being: A longitudinal study of medical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011;79:361-366. http://dx.doi.org/10.1016/j.jvb.2011.03.023 

  15. Duffy RD, Allan BA, Dik BJ. The presence of a calling and academic satisfaction: Examining potential mediator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011;79:74-80. http://dx.doi.org/10.1016/j.jvb.2010.11.001 

  16. Dik BJ, Eldridge BM, Steger MF, Duffy RD.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 (CVQ) and brief calling scale (BC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008;20:242-263. http://dx.doi.org/10.1177/1069072711434410 

  17. Steger MF, Dik BJ, Duffy RD. Measuring meaningful work: The work and meaning inventory (WAMI).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012;20:322-337. http://dx.doi.org/10.1177/1069072711436160 

  18. Lee JS, Seo YS. The relation between employees' job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Moderating effects of meaning of work and working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2014;26(4):1109-1129. 

  19. Kim HW.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ystem patterns and career decision-making and adjustment to college [master's thesis]. Seou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5. 

  20. Baker RW, Siryk B.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984;31:179-189. http://dx.doi.org/10.1037/0022-0167.31.2.179 

  21. Jang JY, Lee J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 meaning, living a calling, life meaning, and job satisfaction.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14;15(1):259-278. http://dx.doi.org/10.15703/kjc.15.1.201402.259 

  22. Jang SH, Yoo SK.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purpose/meaning, parental support and university senior job search behavior.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2014;35(1):1-17. 

  23. Lee SH, Lee EJ. The influences of gender role identity, and gender role attitude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9;10(4):2137-2151. http://dx.doi.org/10.15703/kjc.10.4.200912.2137 

  24. Koo HY, Park HS.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Its Predictors of University Student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05;6(2):373-385. 

  25. Cho IY. The relationship of career identity, major satisfaction and college adaptation of nursing freshm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4;15(5):2937-2945. http://dx.doi.org/10.5762/kais.2014.15.5.2937 

  26. Guo Y, Guan Y, Yang X, Xu J , Zhou X, She Z, et al. Career adaptability, calling and the professional competence of social work students in China: A career construction perspectiv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014;85:394-403. http://dx.doi.org/10.1016/j.jvb.2014.09.001 

  27. Yugo JE. The role of calling in emotional labor [dissertation]. Bowling Green: Bowling Green State University; 2009. 

  28. Sparks JR, Schenk JA. Explaining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higherorder motives in multilevel marketing organization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001;22:849-869. http://dx.doi.org/10.1002/job.116 

  29. Duffy RD, Dik BJ, Steger MF. Calling and work related outcomes: Commitment as a mediator.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011;78:210-218. http://dx.doi.org/10.1016/j.jvb.2010.09.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