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A Study on the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among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4 no.3, 2018년, pp.269 - 278  

유경희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183 university students in C & S cities.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the variables. In data analysis, SPSSWIN 2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정도,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차이 검정, 연구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및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확인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정보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적응이란? 적응(adjustment)이란 스트레스에 대처하려는 일련의 노력으로서 개인의 요구를 환경의 요구에 균형있게 맞추고 개인의요구가 실현가능하도록 신중하게 고려하여 대처하려는 시도이며, 대학생의 경우에 이 시기를 어떻게 보내느냐가 향후 진로선택 및 사회생활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Park & Lee,2011). Baker와 Siryk (1984)는 이러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대학생활적응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연구에서 ‘대학생활적응은 대학 내에서 학업과 관련된 생활과 대인관계나 과외활동 등의 사회생활에 적응하고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해 적절히 대처하며 자신이 다니는 대학이나 학생에 대한 전반적인 애착이나 호감, 유대감을 갖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는데, 대학생활에서의 적응은 복합적인 다양한 스트레스나 갈등을 긍정적으로 해결하여 학업성취 뿐만 아니라 졸업 후 성공적인사회진출을 하게 하므로 중요하다(Jung & Park, 2014; Kwag,2013).
대학생활스트레스란? 대학생활스트레스란 대학생활 환경에서의 혼란이 개인의 항상성 유지를 위협하고 이러한 위협에 충분히 대처하지 못할때 경험하는 것이며(Chon & Kim, 199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활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Chon, Kim과 Yi (2000)가개발한 대학생 생활스트레스 척도를 Kim (2012)이 수정하여사용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27문항 5점 척도로서, 대학생의 학업, 경제, 장래 및 가치관 등의 4개 하위 영역으로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대학생활스트레스를 많이경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기존에 대학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변수를 다룬 연구들이 지닌 한계점은 무엇인가?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볼 때 대학생들이 대학생활적응을 잘하기 위해서는 대학생활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파악하고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중재하는 것이필요한데,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변수를 다룬 연구들을 검색한 결과, 최근 15여 년 동안 관련 연구들이 약 10편 정도 있었지만 이들 연구들은 연구방법에서 일관성이 부족하였다. 즉, 연구대상자의 학년 분포가 서로 달라서 일부 학년만 포함하여 1-2학년(Park, 2011;Won, 2015)이나 3-4학년(Kim, 2011; Kim & Seo, 2015)을 대상으로 하였거나, 그 외에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 변수들의 종류가 서로 다르고 또한 변수의 구분도단순히 “유무”로만 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서로 달라서(Jung,2016) 대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변수의 영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ker, R. W., & Siryk, B. (1984).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31, 179-189. 

  2. Baker, R. W., & Siryk, B. (1989). SACQ: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mannual.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3. Chon, K. K., & Kim, K. H. (1991). Development of the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A control theory approach.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0(1), 137-158. 

  4. Chon. K. K., Kim, K. H., & Yi, J. S. (2000). De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5(2), 316-335. 

  5. Chun, I. H., & Cho, J. Y.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self-efficacy, resilience and college adjustment in nurs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ulticultural Health, 6(1), 49-60. 

  6. Hanisch, K. A. (1999). Job loss and unemployment research from 1994 to 1998: A review and recommendations for research and interven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5(2), 188-220. 

  7. Jeon, M. K., & Kim, M. S. (2013).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elf differentiation, self esteem, life stress in nursing department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4), 293-302. 

  8. Jung, E. S., & Park, H. J. (2014). Effects on stress degree, study attitude, sleeping hours by intake degree of caffeinated drink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2), 353-361. 

  9. Jung, H. Y. (2016). The convergence influence of life stress, depression and ego resiliency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7), 259-268. 

  10. Kim, E. A. (2011). Developing a prediction model regarding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to college lif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University, Kwangju. 

  11. Kim, J. H. (2012).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trol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adjustmant to college life among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2. Kim, M. K. (2011). Relationship on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of university students-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emotion and social adaptation. The Journal of Youth Studies Research, 18(12), 101-129. 

  13. Kim, Y. S., & Seo, J. Y. (2015). Construction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6), 1439-1452. 

  14. Kwag, Y. K. (2013). Effect of self-esteem,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o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5), 2178-2186. 

  15. Lee, H. J. (2017).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on college adjustment among male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Kwangju. 

  16. Lee, M. K., & Lim, S. H. (2017).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burnout, stress coping and colleg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6), 521-534. 

  17. Lee, S. J., & Park, J. Y. (2018). The effects of grit and stress o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2), 269-276. 

  18. Lee, Y. J. (2000). The non-residential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career pla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 Park, H. J., & Jang, I. S. (2010). Stress, depression, coping style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1), 14-23. 

  20. Park J. A., & Lee, E. K. (2011).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yles on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3), 267-276. 

  21. Park, J. Y. (2011). Stress, stress response and influencing factors on resilience among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nam University, Namwon. 

  22. Park, M. Y. (1994).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in health promoting lifestyles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5(1), 81-96. 

  23. Selye, H. (1976). The Stress of Life. New York: McGraw-Hill. 

  24. Son, H. K., Kwon, S. H., & Park, H. J. (2017). The influence of life stress, ego-resilience, and spiritual well-being o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5), 636-646. 

  25. Whang, S. 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tres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2(2), 205-213. 

  26. Won, H. J. (2015).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stress coping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9(1), 123-131. 

  27. Yang, H. J. (2003). Interaction effects of daily stress and self-esteem affects the college life. Yonsei Research Consultation, 19, 111-1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