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환경, 셀프리더십, 실습소속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Learning Environment, Self-leadership, and Clinical Practice Belonging on Nursing Professionalism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5 no.1, 2019년, pp.5 - 16  

김창희 (춘해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김정이 (춘해보건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exploratory study aims to identify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of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surveyed 246 senior nursing students in U city with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analyzed with SPSS 22.0. Results: The average scor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4학년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환경, 셀프리더십, 실습소속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한 탐색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 대상자인 간호학과 4학년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서 전공 만족도와 실습량 만족도가 높은 학생이 간호전문직관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환경, 셀프리더십, 실습소속감, 간호전문직관 간의 관계와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탐색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상실습교육환경, 셀프리더십, 실습소속감이 간호교육 학습성과 중 하나인 간호전문직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해 봄으로써 간호교육 및 임상실습교육에서의 개선방향을 찾아보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환경, 셀프리더십, 실습소속감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광역시에 소재하는 1개 간호학과 4학년 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본 연구에서 임상실습교육환경이란 병원에 국한된 것이므로 본 결과를 일반화하거나 보건소 등 병원 이외의 실습교육 환경에 적용할 수 없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환경, 셀프리더십, 실습소속감이 어떠한 수준인지 자세히 분석해 봄으로써 임상 실습 교육환경 개선의 중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고,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간호전문직관의 관계 및 영향 정도를 파악한 리더십 연구의 일환으로 그 의의가 있다. 특히 국내에서 잘 연구되지 않은 실습소속감 개념이 간호전문직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해 봄으로써 추후 간호교육 및 간호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 따라서 임상실습교육환경에서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잘 파악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적인 임상실습교육환경을 보장해주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환경, 셀프리더십, 실습소속감, 간호전문직관 정도를 파악하고,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해 봄으로써 간호교육 및 임상실습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환경, 셀프리더십, 실습소속감이 어떠한 수준인지 자세히 분석해 봄으로써 임상 실습 교육환경 개선의 중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고,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간호전문직관의 관계 및 영향 정도를 파악한 리더십 연구의 일환으로 그 의의가 있다. 특히 국내에서 잘 연구되지 않은 실습소속감 개념이 간호전문직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해 봄으로써 추후 간호교육 및 간호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임상실습교육환경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임상실습 시 간호사와 임상현장지도자가 학생에게 대하는 태도는 실습 기간 동안 간호학생이 긍정적이고 만족스러운 실습 경험을 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최근의 임상실습교육환경은 학생 간호사가 임상경험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대상자로부터 거절을 당하거나 직접적인 술기 실습보다는 관찰 위주의 임상실습시간이 많아져 현장 실무능력을 습득하는데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실습 환경은 간호전문직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시뮬레이션과 같은 임상실습 대체 전략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임상실습교육환경을 어떻게 학생 친화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지 현장실무자와 교육자가 함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일이 보다 더 중요한 시점이 되었다.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을 가진 간호사의 특징은 무엇인가? 긍정적인 전문직관을 가진 간호사일수록 자신의 직업에 만족하고, 간호업무 수행능력에서 성과가 높을 뿐 아니라 조직몰입도가 높다(Kang, 2017). 따라서 임상실습교육환경에서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잘 파악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적인 임상실습교육환경을 보장해주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실습소속감이란 무엇인가?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의 2017년 간호교육인증기준에 의하면우리나라 간호대학생은 1,000시간 이상의 임상실습을 이수하도록 되어 있다(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7). 실습시간 중에 학생이 느끼는 실습소속감이란 개별적이고 맥락적이며 심오하게 매개되는 경험으로, 개인이 집단구성원으로서 안전하고, 수용되고, 가치 있고, 존중을 받는다고 느끼는 정도, 집단에 연계되어 있거나 통합되어 있다고 느끼는 정도, 그리고 학생의 전문적, 개인적인 가치가 집단의 가치와 조화를 이룬다고 느끼는 정도를 의미한다(Levett-Jones, Lathlean, & Higgins, 2009). 인간이 소속되어 있다는 느낌은 인간이 추구하고, 활동하고, 사고를 유도하게 하는 기본적인 인간 동기로서 이러한 소속감 욕구를 얻지 못하면 정서적, 심리적, 행동적 그리고 신체적으로 유익하지 못한 결과를 보였다(Levett-Jones, Lathlean, Maguire, & McMillan,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radbury-Jones, C., Sambrook, S., & Irvine, F. (2007). The meaning of empowerment for nursing students: A critical incident stud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9(4), 342-351.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7.04331.x 

  2. Cho, H., Ko, Y. A., Kang, Y. S., & Lee, G. Y. (2011). Self-leadership and self-concept in the freshmen of nursing colleg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5(1), 107-117. 

  3. Dunn, S. V., & Burnett, P. (1995). The development of a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scal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2(6), 1166-1173. 

  4. Han, J. Y. (2010).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5), 2595-2607. 

  5. Han, J. Y., & Park, H. S. (2011). Effects of teaching effectiveness and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on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3), 365-372. 

  6. Han, S. H., & Yu, H. S. (2012). College women's self-leadership,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self disclosure in an Asi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131-140.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1.131 

  7. Haskvitz, L. M., & Koop, E. C. (2004). Students struggling in clinical? A new role for the patient simulator.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3(4), 181-184. 

  8. Jang, T. J., & Moon, M. (2016). Factors influencing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2(4), 344-352. http://dx.doi.org/10.11111/jkana.2016.22.4.344 

  9. Kang, H. S. (2017). Path analysis of variables to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yeongsang University, Jinju. 

  10. Kang, H. S., Kang, Y. S., & Kim, Y. M.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ego resilience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senior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4), 219-229. http://dx.doi.org/10.14257/ajmahs.2016.04.14 

  11. Kim, E. J., Lim, J. Y., & Choi, K. W. (2011). Relations among the decision making style, self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visiting nurse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1(10), 324-332. http://dx.doi.org/10.5392/JKCA.2011.11.10.324 

  12. Kim, E. Y., & Yang, S. H. (2015). Effects of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o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anxie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Administration, 21(4), 417-425. 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4.417 

  13. Kim, H. S.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teach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l University, Seoul. 

  14. Kim, J. Y., Kim, M. A., Lee, S. J., & Kim, E. J. (2015). Effects of leadership program on self-leadership and self-esteem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17(1), 575-586. 

  15. Kim M. Y., & Jung, D. Y. (2012).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belongingness scale-clinical placement experience. Asian Nursing Research, 6, 137-142. 

  16.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7, March). Certification criteria for nursing education. Retrieved March 20, 2018, from http://www.kabone.or.kr/kabon02/index04.php 

  17. Lee, E. K., & Ji, E. J. (2016).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nd attitude toward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3(2), 126-135. http://dx.doi.org/10.7739/jkafn.2016. 23.2.126 

  18. Lee, H. N., & Kim, J. H. (2016). The influencing factors of ego-resilience and empowerment on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8), 292-300. http://dx.doi.org/10.5762/KAIS.2016.17.8.292 

  19. Levett-Jones, T., & Lathlean, J. (2008). Belongingness: A prerequisite for nursing students' clinical learning. Nurse Education Today, 8(1), 103-11. 

  20. Levett-Jones, T., & Lathlean, J. (2009). The ascent to competence conceptual framework: An outcome of a study of belongingnes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8, 2870-2879. 

  21. Levett-Jones, T., Lathlean, J., & Higgins, I. (2009).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of the belongingness scale-clinical placement experience: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Collegian, 16(3), 153-162. 

  22. Levett-Jones, T., Lathlean, J., Maguire, J., & McMillan, M. (2007). Belongingness: A critique of the concept and implications for nursing education. Nurse Education Today, 27(3), 210-218. 

  23. Lim, K. M., & Jo, E. J. (2016). Influence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image of nurses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4), 556-566. http://dx.doi.org/10.5762/KAIS.2016.17.4.556 

  24. Manz, C. C. (1983). The art of self-leadership: Strategies for personal effectiveness in your life and work. Upper Saddle River: Prentice Hall Inc. 

  25. Manz, C. C., & Neck, C. P. (2004). Mastering self-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3rd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26. Moon, I. O., Lee, G. W., & Jeong, S. H. (2015). Effect of image making programs on image making efficacy, positive thinking, self-esteem, and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1(1), 122-132. 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1.122 

  27. Park, H. J. (2015). Correlations among nursing professionalism,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2), 227-236. http://dx.doi.org/10.5977/jkasna.2015.21.2.227 

  28. Pearcey, P. A., & Elliott, B. E. (2004). Student impressions of clinical nursing. Nurse Education Today, 24(5), 382-387. 

  29. Yang, N. Y., & Moon, S. Y. (2011). Relationship of self-leadership, stress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2), 216-225. 

  30. Yeun, E. J., Kwon, Y. M., & Ahn, O. H. (2005). Dev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6), 1091-110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