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실습 수퍼바이저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요구 :수퍼바이징을 경험한 현장 교사 중심으로
Kindergarten teachers' needs for educational practice supervisors :Focusing on field teachers who experienced supervis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8, 2015년, pp.5240 - 5249  

박지선 (목원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교육실습 조력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수퍼바이저를 통한 조력을 경험한 현장 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효율적인 실습 조력을 위해 필요한 수퍼바이저의 자격과 역할 그리고 조력이 실현가능하기 위해 필요한 제도적 장치에 대해 알아봄으로서 교육실습 조력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4월 13일부터 5월 23일까지 6주간 진행되었으며, 이전에 실습 조력을 경험한 현장 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전문성을 갖춘 수퍼바이저의 자격 조건으로 '5년 이상의 현장 경력'과 '박사 학위 이상의 학력'이라 하였으며, 수퍼바이저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자질은 편안함과 철저한 보안을 바탕으로 한 '관계지향적 상담자'라고 하였다. 그리고 수퍼바이징과 같이 교육 실습 조력이 실현화되기 위해서는 제도적 장치가 구축되어야 하며, 연구 참여자들은 이를 경제적인 부분과 명확한 역할 경계라 하였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필요로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upervisors' qualification and roles and to analyze the possible policy directions related to supervision for the efficient educational practice aid. 6 field teachers who experienced educational practice aid,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s from April to May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수퍼바이징을 경험하는 동안 모호한 역할의 경계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였기에 이에 대한 대안을 필요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실습교과 운영과정의 효과성과 효율성 증대를 위해 교육실습의 조력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수퍼바이저를 통한 조력을 경험한 현장 교사들과의 면담을 통해 실습 조력자로서 수퍼바이저가 갖추어야 할 자격과 자질 그리고 조력이 실현가능하기 위해 필요한 제도적 장치에 대해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연구 결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교육의 특징은? 유아교육은 실천적 학문으로써의 의미가 크며, 이를 위해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교육과정에서는 이론적 습득과 함께 실제 현장에서의 경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실천적 과목을 개설함으로써 이론과 실제의 지식을 종합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실습(educational practice)은 이와 같은 목적으로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교육과정으로서, 이론을 실제에 옮겨 실행해 보며 유아교사로서의 실제적인 준비를 도와주는 가장 핵심적인 과정이다[1,2].
교육실습이란? 유아교육은 실천적 학문으로써의 의미가 크며, 이를 위해 유아교사를 양성하는 교육과정에서는 이론적 습득과 함께 실제 현장에서의 경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실천적 과목을 개설함으로써 이론과 실제의 지식을 종합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교육실습(educational practice)은 이와 같은 목적으로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교육과정으로서, 이론을 실제에 옮겨 실행해 보며 유아교사로서의 실제적인 준비를 도와주는 가장 핵심적인 과정이다[1,2]. 실습을 통해 예비교사들은 정말 교사처럼 생각하고 행동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며, 가르친다는 것에 대해 적극적으로 생각해보고 나아가 실제 교수경험을 통해 교사로서의 자신의 자질을 평가해 보는 기회를 갖는다[3].
미국의 사례에서 찾아볼 수 있는 교육실습 지도에 대한 조력자의 역할은? 따라서 유치원 현장은 교육실습 지도에 대한 조력자의 필요성을 강조[14]하였으며, 이는 미국의 수퍼바이저 (supervisor)와 같은 존재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실습의 전반적인 과정을 관리, 감독하는 미국의 슈퍼바이저는 해당 전공의 전임교수들과 실습지도만 맡는 시간강사들이 담당하여 실습 기간 내내 실습 현장에서 현장교사와의 협력을 통해 실습생을 지도하고, 실습생과 밀착하여 실습생의 어려움을 함께 풀어나가는 역할[15]을 하며, 이는 실습현장의 어려움을 감소시키고, 실습에 참여하는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실습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성공적인 실습의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4]. 미국의 경우, 수퍼바이저가 5-6회 공식적으로 현장을 방문하여 예비교사의 수업을 관찰하고 수업 후 바로 평가협의회를 가져 수업에 대한 평가 및 조언을 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격주로 현장 방문이 이루어진다하여도 수퍼바이저는 실습의 전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대학의 교육과정이 현장으로 연계될 수있도록 한다[13]. 수퍼바이저의 조력은 대학과 현장이 유리되지 않은 실습의 경험을 제공이 근본적인 목표이며, 일정 기간 이상의 현장 경력과 석사 이상의 학위를 소지한 이들이 자격을 갖추어야만 조력을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은 수퍼바이저는 실습담당교수와 같은 단순한 실습과정만을 위한 지도가 아닌 현장의 맥락을 이해할 수있도록 조력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W. J. Cho, M. R. Son, The Analysis of student teaching program for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Young Child Studies, Vol 8, pp.181-201, 2005. 

  2. Butler, B. M., & Cuenca, A. Conceptualizing the roles of mentor teachers during student teaching. Action in teacher education. 2012. DOI: http://dx.doi.org/10.1080/01626620.2012.717012 

  3. Conderman, G. Morin, J. and Stephens, T.. Special education student teaching pratices. Preventing School Failure, Vol. 49, No.3, pp.5-10. 2005. DOI: http://dx.doi.org/10.3200/PSFL.49.3.5-10 

  4. S. K. Park, Supporting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a school-university partnership program: A teaching supervisor's action research.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30, No.5, pp.351-372, 2010. DOI: http://dx.doi.org/10.18023/kjece.2010.30.5.016 

  5. Y. S. Song, A study on the conflict situation and conflict coping ways perceived student teachers in kindergarten field training course. The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Vol. 19, No. 1, pp. 19-36, 2010. 

  6. B. K. Jo, Y. M. Go, A Study on training instruction-related stress of kindergarten cooperating teachers according to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24, No.3, pp. 47-76, 2004. 

  7. J. G. Choi, A survey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demand for developing a Web based university-kindergarten collaboration early childhood practicum training mode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7, No. 1, pp.43-62, 2008. 

  8. J. G. Choi, M. J. Kim, The Recognition and Demand on Early Childhood Practicum : Professors and Students; Prespectiv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6, No. 2, pp.23-49, 2007. 

  9. Field, B. The new role of the teacher-mentoring, In B. Fild. & T. Field(Ed.), Teacher as mentors: A pratical guide(pp. 63-78). London, Falmer Press. 1994. 

  10. Killian, J. E., & Wilkins, E. A. Characteristics of highly effective cooperating teachers: A study of their backgrounds and preparation. Action in Teacher Education, Vol. 30, No. 4, pp.67-83. 2009. DOI: http://dx.doi.org/10.1080/01626620.2009.10734453 

  11. Y. M. Go, Mihyun Sun,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kindergarten cooperating teachers' stress related to teaching practicing,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3, No. 4, pp.329-349. 2008. 

  12. O. J. Nam, Mihyun Sun, A study on training instruction-related stress of kindergarten cooperating teachers according to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 24, No 2, pp.120-136, 2008. 

  13. J. S. Lee, A study on the stress of cooperating teachers in kindergarten, MA dissertation in Duksung Women's University. 

  14. J. S. Park., D. G. Lee, Implementing long-term field practice: The difficulties facing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kindergartens, and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8, No. 4, pp.515-541, 2013. 

  15. S. Y. Bae, Clinical practice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n the U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31, No 5, pp.391-417, 2011. DOI: http://dx.doi.org/10.18023/kjece.2011.31.5.017 

  16. J. S. Park,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supervisor's support in teaching practice for a semester, PhD dissertation in Baejae University, 2014. 

  17. Y. H. Jo, The methods and cases of qualitative research, Seoul: Kyohaksa, 2005. 

  18. Lincoln, Y. S., & Guba, E. G. Naturalistic inquiry. CA: Sage, 1985. 

  19. Spradley ,J. P., Participatory observation method for culture exploration (Heebong Lee translation), Seoul: Daehan Kyogawseo Corporation. (original 1980), 1988 

  20. Y. S. Hwang, M. S. Choi, A study on student teachers' recognition of creative teachers' role relative to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and conflict,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25, No. 4, pp.261-282, 2005. 

  21. H. S. Park, The meaning of kindergarten teaching practice that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Joonang University, 2005. 

  22. J. S. Yeom, Stories of an early childhood practicum teacher: Learning to teach, teaching to lear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27, No. 4, pp.135-159, 2007. DOI: http://dx.doi.org/10.18023/kjece.2007.27.4.006 

  23. Y. S. Kim, J. Y. Park, Y. J. Choi, A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assistance processe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5, No. 1, pp.311-333, 2010. 

  24. New Jersey Department of Education. New Jersey Administrative Code 6A:9. Trenton, NJ: New Jersey Department of Education, 2011. 

  25. Burden, P. R.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s in their personal professional develop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1979. 

  26. B. K. Jo, E. J. Baek, S. Y. Seo, Inspection helping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oul: Yangseowon, 2005. 

  27. H. A. Seo, E. J. Choi, A study on student teachers' and cooperating teachers' anxiety, conflict in student teaching,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3, No. 1, pp.339-361, 2008. 

  28. Han, M. K.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utonomy in constructing personal practical theories of teaching and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Oklahoma, USA. 2006. 

  29. Y. M. Go, Analyzing the participation of an instructing professor and student teachers in an e-mentoring program conducted during student teaching,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31, No. 5, pp.61-85, 2011. DOI: http://dx.doi.org/10.18023/kjece.2011.31.5.003 

  30. S. K. Yoo, H. I. Hwang, Application of mentoring practice program and its effecti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 14, No. 6, pp.151-176, 2010. 

  31. H. J. An, Studying conflict during in a preservice teachers' practicum,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25, No. 3, pp.289-309,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