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재생 전략요인에 관한 인식과 영향 연구 -부산시 마을활동가 교육생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recognitions and effects of Urban Regeneration factors -focused on Busan's village activist traine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10, 2015년, pp.7006 - 7012  

박희정 (신라대학교 국제관광학부)

초록

본 연구는 도시재생에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마을활동가가 되기 위한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도시재생 전략요인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들이 인식하는 도시재생의 인식수준, 필요정도,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직접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시재생 전략요인으로는 사회재생, 경제재생, 문화재생, 환경재생 4가지 요인으로 나누어졌으며, 이 요인들은 도시재생에 대한 인식수준, 필요정도, 자발적 참여 및 전반적 만족도와 참여의지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행정적지원이 포함된 환경재생 요인이 모든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도시재생에 있어 행정을 포함한 환경적 지원의 중요성에 대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외에 지역공동체 중심의 사회재생 요인과 지역자원 활용 중심의 문화재생 요인들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향후 도시재생을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 전략수립 검토 및 방향성 제시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rban regeneration can be an effective tool to promote sustainability and enhance quality of village. Urban regeneration can be considered to be the process of reversing economic, social and physical decay having reached the point where market forces alone will not suffice. For this study, 154 vil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재생에서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마을활동가 및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도시재생 전략요인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들이 인식하는 도시재생의 인식수준과 필요 정도,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지역의 지속적인 자생력을 확보할 수 있는 지역여건에 맞는 도시재생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도시재생에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마을활동가 및 마을활동가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기존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변수들을 실증분석하여 정량화함으로써 도시재생의 실천방안으로서 전략요인들을 도출하기 위한 구체적 시도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마을활동가는 도시재생에 있어서 전문가 역할을 수행하는 마을의 촉진형 리더로서 마을자원을 발굴하고, 민주적 수평구조의 주민리더그룹을 구축함으로써 마을의 현황파악 및 자원과의 연계방안을 수립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전문가이다[4].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재생에서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마을활동가 및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도시재생 전략요인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들이 인식하는 도시재생의 인식수준과 필요 정도,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지역의 지속적인 자생력을 확보할 수 있는 지역여건에 맞는 도시재생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그들이 인식하는 도시재생의 인식수준과 필요 정도,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지역의 지속적인 자생력을 확보할 수 있는 지역여건에 맞는 도시재생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도시재생에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마을활동가 및 마을활동가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기존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변수들을 실증분석하여 정량화함으로써 도시재생의 실천방안으로서 전략요인들을 도출하기 위한 구체적 시도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도시재생의 지향점은 지역주민들에게 어떤 치유가 필요한지 발견하는 장을 행정이 지원해주고, 치유를 통한 가치의 공유, 이를 통한 지역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향후 이러한 도시재생을 실천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전략요인들과 영향 관계를 도출해 보았다. 좀 더 다양한 분석으로 다양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였다는 점과 연구의 일반화를 위한 다양한 연구대상의 적용과 연구방법의 활용 등에 있어서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 질적 성장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서의 도시재생의 실천적 방안 모색을 위한 실증적 구체적 시도로서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 도시재생이란 도심부의 경제적 기반을 재구축하고 물리적 환경을 개선함으로서 도심부의 인구 및 경제의 회귀를 촉진하고 도심을 활성화시켜 도심부가 도시 활성화의 촉매제 역할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산업구조변화에 따라 쇠퇴한 도시에 새로운 기능을 집어넣거나 만들어 물리, 사회, 경제적으로 부흥시키는 것으로 도시의 무분별한 외부확산을 억제하고 도심쇠퇴 현상을 방지하며 도심부의 재활성화를 도모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경제성장과 환경보전이 조화를 이루는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추진하고자 하며 해당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상태를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기존 시가지의 재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국내·외적으로 도시재생은 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 뉴어바니즘(new urbanism), 스마트 성장(smart growth) 등 새로운 도시성장관리 패러다임에서 목표로 하는 “인간존중, 자연친화를 기반으로 한 지속가능하며 스마트한 성장”과 그 뜻을 같이 하며, 건강도시, 안전도시, 슬로시티 등으로 접목하여 그 실현범위를 넓혀가고 있다[6,7].
  • 최근 보존 및 활용 경향은 물질적 가치에 의한 보존뿐만 아니라 공동체, 지역사회의 소속감, 결속력, 공통적 관심을 유도하는 커뮤니티적 가치가 주목 받고 있음에 따라 도시재생 정책수립 및 전략수립에 있어 지역주민들의 리더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마을활동가들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진 것은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재생의 실제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마을활동가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도시재생 전략요인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도시재생에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도시재생에서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마을활동가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최초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향후 이러한 도시재생을 실천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전략요인들과 영향 관계를 도출해 보았다. 좀 더 다양한 분석으로 다양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였다는 점과 연구의 일반화를 위한 다양한 연구대상의 적용과 연구방법의 활용 등에 있어서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 질적 성장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서의 도시재생의 실천적 방안 모색을 위한 실증적 구체적 시도로서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방 중소도시들에게 도시재생전략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도시에 대한 재생정책은 도시의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도시 및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 필요시된다. 특히 지방의 중소도시들은 대도시로의 집중 및 집적화에 따라 도시 전체가 성장이 정체하거나 쇠퇴하여 지역거점으로서의 중심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지방의 중소도시의 재생전략은 지역발전의 필요조건이 되며, 지역의 도시재생은 그들의 정체성(identity)을 살리면서 특화 도시로 성장하는데 밑바탕이 되고 도시재생을 통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도시공간의 질적 개선을 도모시키고 있다[3]. 현재 국내 도시들도 해외도시들과 같이 다양한 도시재생을 통해 도시의 위상을 제고하고 도시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지역사회의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도시재생이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도시재생(Urban regeneration)은 기존 도시가 가지고 있는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문제를 치유하기 위한 모든 행위를 말한다[5]. 도시재개발(Urban redevelopment, Urban renewal), 도시재생활성화(Urban revitalization), 도시쇄신(Urban renovation) 등의 복합어들을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6].
도시재생의 목적은 무엇인가? 도시재개발(Urban redevelopment, Urban renewal), 도시재생활성화(Urban revitalization), 도시쇄신(Urban renovation) 등의 복합어들을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6]. 도시재생이란 도심부의 경제적 기반을 재구축하고 물리적 환경을 개선함으로서 도심부의 인구 및 경제의 회귀를 촉진하고 도심을 활성화시켜 도심부가 도시 활성화의 촉매제 역할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산업구조변화에 따라 쇠퇴한 도시에 새로운 기능을 집어넣거나 만들어 물리, 사회, 경제적으로 부흥시키는 것으로 도시의 무분별한 외부확산을 억제하고 도심쇠퇴 현상을 방지하며 도심부의 재활성화를 도모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경제성장과 환경보전이 조화를 이루는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추진하고자 하며 해당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상태를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기존 시가지의 재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H. K. Kim et al., "Practice Urban Regeneration-Busan's experience and lesson", miseum, 2014. 

  2. D. J. Lee, "Change the center of city-Big heart Project", BusanIlbo, 2015.1.19. 

  3. N. Y. Kim, Y. Kim, and G. H. Bae, "A Study on Strategy and Impacts of Urban Regenera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Gyeongnam Province", Journal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11(2), pp.219-232. 

  4. Creative City Bureau "Main Operational Plan", Busan Metropolitan City, 2015. 

  5. B. H. Lee, B. S. Min, k. I. Wang, W. J. Lee, C. M oon and K. B. Kim,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CBD Area", KRIHS, 2008. 

  6. H. D. Kwon,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importan ce and performance for the social capital of urban regeneration : focused on an existing urban district of seognam", master at graduate of Hanyang University, 2012. 

  7. B. D. Lee and J. S. Shim, "A study on regeneration of derelict urban areas throughout resident's participation: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case studies from Japan, England and the U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adastre Information, 14(2), pp.183-206, 2012. 

  8. J. H. Yang and Y. S. Han,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Neighborhood-Making Projects supported by administration-concentrated on the Projects of Happy Neighbourhood-Making in 2012, Architectural Research, 15(3), pp.101-110, 2013. 

  9. Y. H. Kyoung, "Analysis of evaluations and determin ants on residential resettlements in accordance with urban regeneration", Ph.D Dissertation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2009. 

  10. Hubbard, P., "Urban Design and City regeneration : Social Representations of Entrepreneurial Landscapes", Urban Studies, 33(8), pp.1441-1461, 1996. DOI: http://dx.doi.org/10.1080/0042098966745 

  11. Roberts, P. and Sykes, H., "Urban Regeneration", SAGE Publication, 2000. 

  12. Colquhoun, I., "Urban Regeneration :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B. T. Batsford Ltd., 1995. 

  13. Smith, N., "New Urbanism: Gentrification as Globalism", Antipode. Blackwell Publishers, 2002. 

  14. Hudson, A. and Evans, T., "Regeneration and Sustainability: The Language of Planning", Urban Design International, 10(2), pp.87-94, 2005. DOI: http://dx.doi.org/10.1057/palgrave.udi.9000137 

  15. Y. H. Kim, T. W. Choi and D. S. Oh, "A Study o n the Strategies and Elements of Growth Management-typed City Center Regeneration",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8(3), pp.85-97, 2003. 

  16. Y. B. Yim and D. S. Oh,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Regeneration in Europe and U. S.", Architectural Research, 19(11), pp.147-154, 2003. 

  17. C. B. Park,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BD Development Strategies in Perth, Western Australia", Architectural Research, 22(2), pp.175-182, 2006. 

  18. A. B. Hwangbo, "Conservation of Hanok Houses and Urban Regeneration-a case study of Sosongdong in Taegu Ci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6), pp.3944-3949,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6.3944 

  19. B. W. Cho, "Demand Research and Strategy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ChungNam Institute Research Report. 2007. 

  20. O. H. Kim, "The Value of Cittaslow as an approach to Urban Regeneration for Sustainable Communites: A perspective of Tourism on Gamcheon Village, Busan' Ph.D Dissertation of Hanyang University,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