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행위, 회복탄력성, 웰다잉 인식이 노인 만성질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lth Behavior, Resilience, and Recognition of Well-dying on the Depression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10, 2015년, pp.7146 - 7156  

공정현 (한국국제대학교 간호학과) ,  홍현화 (경남대학교 간호학과) ,  정은영 (청암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 만성질환자의 건강행위, 회복탄력성, 웰다잉 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노인 만성질환자의 우울을 중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는 노인 만성질환자 185명을 대상으로 2015년 2월 13일부터 3월 20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SPSS 20.0 program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건강행위는 2.60점, 회복 탄력성은 3.14점, 웰다잉 인식은 3.41점, 우울은 3.29점이었다. 우울은 건강행위, 웰다잉 인식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건강행위, 주관적인 건강상태, 웰다잉인식, 동거여부, 성별 순이었으며 변인들에 의한 설명력은 44.8%이었다. 따라서 노인의 우울은 단순한 요인이 아니므로 신체적, 심리적, 성별 차이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한 맞춤형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alth behavior, resilience an recognition of well-dying on the depression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It was the survey period was from February 13 to March 20, 2015 with 185 people. For data analysis, SPSS 20.0 program was used. As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건강행위, 회복탄력성, 웰다잉 인식이 노인 만성질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고, 추후 노인 만성질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건강행위, 회복탄력성, 웰다잉 인식이 노인 만성질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고, 추후 노인 만성질환자의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도움이 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노인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건강행위, 회복탄력성, 웰다잉 인식과 우울의 관계를 확인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만성질환자의 건강행위, 회복 탄력성, 웰다잉 인식과 우울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노인 만성질환자의 안녕감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노인 만성질환자의 건강행위, 회복탄력성, 웰다잉 인식과 관련하여 우울간의 관련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노인 만성질환자의 우울을 중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행위란? 건강행위란 노인의 건강상태를 향상시켜 현재의 건강 상태를 유지하며 기능장애 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13]. 특히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에게 있어서 건강행위는 질병조절을 위한 지속적인 과정의 행위이며 본인스스로에 의해서 주도되는 과정으로 보기 때문에 무엇보다 중요하다[14].
노인인구와 관련하여 해결이 필요한 가장 시급한 문제는? 7%를 차지하고 있고 그 결과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가장 빠르게 초 고령화 시대로 진입하는 국가로 예상되고 있다[1]. 이렇게 급증하고 있는 노인인구와 관련하여 해결이 필요한 가장 시급한 문제 중 하나는 한국 노인의 건강수명은 70.74세로 기대여명과 평균 10.46년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즉 기대여명의 증가 속도에 건강수명이 미처 따라가지 못하면서 질병을 앓는 기간은 더 늘어나고 있으며, 실제로 노인 10명 중 6명이 3가지 이상 만성질환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2].
노인 만성질환자가 경험하는 죽음불안은? 노인이 경험하는 이러한 죽음불안은 노인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심각한 우울을 경험할 수 있기 때문에 죽음에 대한 양가감정을 이해하고 노인의 우울에 대한 하나의 중재요인으로 고려 할 필요가 있다[15,20]. 특히 노인 만성질환자는 누구보다 더 죽음과 직면하고 있으면서 삶을 정리하고자 하는 다양한 욕구를 경험하게 되어 쇠퇴와 발달, 과거와 미래, 죽음과 삶, 자아 등에서 모순과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27]. 그러므로 노인 만성질환자의 죽음과 관련된 다양한 감정들을 이해하고 그들이 우울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해서 좀 더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4. The elderly persons statistics. http://www.kostat.go.kr/wnsearch/search.jsp. 

  2.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Patient sample survey. https://www.kihasa.re.kr/html/jsp/kihasa/news/press/view.jsp?ano5763. 

  3. Y. J. Kim, "The effects of an education program on the knowledge of medication and prevention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at local communit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22, No.4, pp.399-408. 2011. 

  4. H. S. Jeong, O. S. Kim, "Anxiety,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Nursing Science, Vol.25, No.2, pp.35-46. 2013. 

  5. M. S. Lee, "Chronic Disease Symptoms and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s in Korean Elderly Population",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Vol.27, No.6, pp.5-30, 2010. 

  6. E. G. Yun, "Mediation Effect of Coping 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Vol.9, No.1, pp.43-61, 2012. 

  7. M. S. Lee, "Chronic Disease Symptoms and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s in Korean Elderly Population",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Vol.27, No.6, pp.5-30, 2010. 

  8. S. S. Moussavi., E. Chatterju., A. Verdes., et al, "Depression, Chronic Disease, and Decrements in Health : Results from the World Health Surveys", Lancet, Vol.370, pp.851-858, 2007. 

  9. M. T. Niti., E. H. Ng., R. C. Kua., et al, "Depression and Chronic medical Illness in Asian Older Adults : the Role of Subjective Health and Functional Statu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22, pp.1087-1094, 2007. 

  10. S. Y. Wong., H. S. Woo., J. Lynn, et al, "Risk of Depression in Patient with Chronic Respiratory Disease : Results from Two Large Cohort studies in Chinese Elderly from Hong Kong",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21, pp.233-238, 2006. 

  11. R. A. Scchoevers., A. T. Beekman, D. J. Deeg., et al, "The natural history of late-life depression results form the amsterdam study of elderly(AMSTEL).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74, No.1, pp.5-14, 2003. DOI: http://dx.doi.org/10.1016/S0165-0327(02)00060-5 

  12. J. H. Seo., H. S. Ryu, "Relations among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Vol.21, No.2, pp.169-177. 2010. 

  13. H. J. Choi, J. H. Yoo,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in Rural Area",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17, No.2, pp.149-155, 2011. 

  14. D. O. Kim, S. N. Yun, "An exploratory study of factors associated with the health behavior of working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23, No.4, pp.395-404, 2012. DOI: http://dx.doi.org/10.12799/jkachn.2012.23.4.395 

  15. K. E. Park., M. H. Kwon., Y. E. Kwon, "Correlation among Depression, Death Anxiety and Quality of Life of Aged Women", Journal of Korea Public Health Nursing, Vol.27, No.3, pp.527-538, 2013. DOI: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3.527 

  16. H. L. Seo., Y. K. Jun., H. N. Kim, "The Effects of Physical Disease on Elderly Depression and Moderate effects of the Self-Care Performanc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61, pp.57-84, 2013. 

  17. S. Y. No, "The analysis of resilience as predictive variable of exercise behavior movement of the elderly", Journal of exercise rehabilitation, Vol.8, No.1, pp.37-48, 2012. 

  18. H. Y. Lee, "The Mediative Effect of Resilience in Relationship between the Leisure Activities Participation and Well-being of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exercise rehabilitation, Vol. 8, No.2, pp.3-17. 2012. 

  19. J. S. Park., Y. K. Park., S. H. Jeong., et al, "Influence of Resilience and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4, No.2, pp.247-258, 2014. 

  20. K. E. Chang., "The effects of ego integrity on death anxiety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20, No.5, pp.917-926, 2011. DOI: http://dx.doi.org/10.5934/KJHE.2011.20.5.917 

  21. Y. H. Choi., S. Y. Kim, "Development of health behavior assessment tool of the Korea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Vol.27, No.3, pp.601-613, 2001. 

  22. W. Y. Shin., M. A. Choi., J. H. Kim, "The effects of the three resilience factors on problematic online games uses. Cyber 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Cyber 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Vol.26, No.3, pp.43-81, 2009. 

  23. C. E. Schwartz., K. Major., J. Rogers., et al, "Validation of a new measure of concept of a good death",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Vol.6, No.4, pp.575-584, 2003. DOI: http://dx.doi.org/10.1089/109662103768253687 

  24. H. S. Jeong, "Recognition towards good death among physicians and nurses in an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2009. 

  25. J. A. Yessavage., T. L. Brink., T. L. Rose.,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driatric Research, Vol.17, No.1, pp.37-49, 1983. 

  26. B. S. Kee,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35, No.2, pp.298-307, 1996. 

  27. S. N. Kim., S. B. Lee, "Spiritual Well-Being, Social Support,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19, No.2, pp.186-195, 2013. 

  28. H. J. Kim, "Effects of Group Arts Therapy on the Resilience with Older Women of Resident", The Korean Journal of Arts Therapy, Vol.1, pp.255-275, 2014. 

  29. S. Y. Lee., C. Ahn, "Effect of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on the Successful Aging of Elderly : Analysis of the Inter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49, No.4, pp.325-337, 2010. 

  30. M. R. Choi., Y. C. Lee, "The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Life stress, Depression and Buffering Effect of Resilience Among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5, No.1, pp.75-90, 2012. 

  31. E. R. Lee., J. H. Kang., J. P. Jung, "Factors Influencing the Depression of Aged People",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Vol.13, No.7, pp.290-300, 2013.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7.290 

  32. S. K. Kang., K. C. Boo, "Predictors of Elderly Depression Using the Anderson Model",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49, pp.7-30, 2010. 

  33. J. M. Kim., J. A. Lee, "Depression and Health status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0, No4, pp.1311-1327, 2010. 

  34. S. H. Lee., Y. H. Kim, "Influencing family on an economic decision-making for the elderhood preparation: focused on willingness to consider applying for reverse mortgage of the older living in mortgage of the older living in metropolitan areas",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Vol.15, No.4, pp.167-188, 2011. 

  35. Y. D. Jo., E. G. Yun, "The Impact of Interpersonal Empowerment on the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51, pp.58-90, 2011. 

  36. E. R. Lee., J. H. Kang., J. P. Jung, "Factors Influencing the Depression of Aged People",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Vol.13, No.7, pp.290-300, 2013.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7.290 

  37. H. J. Choi., J. H. Yoo,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in Rural Area",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17, No.2, pp. 149-155, 2011. 

  38. Statistics Korea.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3. Avali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