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질환으로 입원한 노인 환자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일상생활수행능력(ADL)간 관계연구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Self-esteem and ADL in the Case of the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2 no.6, 2010년, pp.676 - 686  

여연옥 (한양대학교 대학원.서울의료원) ,  유은광 (한양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has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depression reported by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by means of a self-report questionnaire or face-to-face interview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만성질환으로 입원한 노인 환자의 자아존중감, ADL 및 우울의 정도를 파악하고 자아존중감, ADL 및 우울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질환으로 병원에 입원한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일상생활 수행능력(ADL) 및 우울의 정도를 파악하고, 그 관계와 우울 영향 요인을 확인하여 병원 입원 시 간과 할 수 있는 노인의 우울을 발견하고 효과 적으로 관리 하기위한 간호중재와 우울의 예방을 위한 프로 그램 개발, 일상에서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노인건강 관련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질환으로 병원에 입원한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일상생활 수행능력(ADL) 및 우울의 정도를 파악하고, 그 관계와 우울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서 병원 입원 시 간과 할 수 있는 노인의 우울을 발견하고 효과적으로 관리 하기위한 간호 중재와 우울의 예방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노인건강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우리나라 총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10.7%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NSO], 2009) 로 2000년에 이미 고령화 사회(7% 이상)에 진입하였으며, 향후 9년 후인 2018년에는 고령사회(14% 이상)에, 2026년에는 초(超)고령사회(20% 이상)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어 지금까지 가장 빠르게 진입되었다는 일본의 경우보다 더 빠른 고령화 속도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가 초(超)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시기는? 우리나라 총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10.7%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NSO], 2009) 로 2000년에 이미 고령화 사회(7% 이상)에 진입하였으며, 향후 9년 후인 2018년에는 고령사회(14% 이상)에, 2026년에는 초(超)고령사회(20% 이상)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어 지금까지 가장 빠르게 진입되었다는 일본의 경우보다 더 빠른 고령화 속도를 보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N. G., & Kim, J. S. (2007). Age group differences i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with functional impairments. Health & Social Work, 32, 177-188. 

  2. Jeong, J. Y., Choi, H. J., Lee, G. Y., & Park, T. J. (2009). Factors associated with ADL and IADL from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30 (8), 598-609. 

  3. Jeon, B. J. (1974). Self 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1 , 107-129. 

  4. Jeon, K. Y., & Kim, J. O. (2000). A study on self-efficacy,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in the bereaved old peop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0 (2), 91-98. 

  5. Jo, E. H., Jeon, J. H., & Lee, S. W. (2000). A model for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Journal of Korean Geriatrics Society, 4 (3), 148-163. 

  6. Katz, S., Ford, A. B., Moskowitz, R. W., Jackson, B. A., & Jaffe, M. W. (1963). Studies of illness in the aged: The index of ADL: A standardized measure of biological and psychosocial functio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85, 914-919. 

  7. Ki, B. S.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5 (2), 298-307. 

  8. Kim, H. M. (2003). Influence of self-esteem and family-support on powerlessness of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9. Kim, H. S., Yoo, S. J., & Han, G. R. (2002). The relation of cognitive function, physical health,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f elderly women in the communit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4 (2), 163-175. 

  10. Kim, Y. S., Lee,. E. S., Chun, J. H., Kim, Y. H., Kim, M. G., Hwang, J. S., et al. (2004). The attention of primary physician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pati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5 (11), 818-825. 

  1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9). Statistics of aged. Seoul: Author. 

  12. Lantz, M., Evers, M. M., Samuels, S. C., Khan, K., Brickman, A. M., & Marin, D. B. (2002). The prevalence, diagnosis and treatment of depression in dementia patients in chronic care facilities in the last six months of life.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7 (5), 464-472. 

  13. Lee, H. J. (2006). The relationships among depress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institution resident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n Culture Nonchong, 18 (2), 31-38. 

  14. Lee, P. S., Lee, Y. M., Lim, J. Y., Hwang, R. I., & Park, E. Y. (2004). The relationship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3), 477-484. 

  15. Lee, S. A., & Lee, K. M. (2002). A study on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n rural are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2 (1), 209-226. 

  16. Min, S., Jang, S. H., & Park, J. K.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the old.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3 (2), 135-145. 

  17.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8). Elderly. Retrieved at November 01, 2009 from http://mw.go.kr 

  18. Ormel, J., Kempen, G. I., Penninx, B. W., Brilman, E. I., Beekman, A. T., & Van Sonderen, E. (1997). Chronic medical condition and mental health in older people: Disability and psychosocial resources mediate specific mental health effects. Psychological Medicine, 27 (5), 1065-1077. 

  19. Park, K. M. (2008). The effect of an empowerment health management program on self-esteem and the quality of life for the urban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 (2), 226-233. 

  20. Park, W. G., Lee, T. Y., Jeong, Y. J., Oh, J. G., Lee, D. B., & Jo, Y. C. (2002). A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depression and instrumental ability of daily living in the urban elderly. Chungnam Medical Journal, 29 (1), 71-87. 

  21. Pilcher, J. J. (1997). Sleep quality versus sleep quantity: Relationships between sleep and measures of health, well-being and sleepiness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42 (6), 583-596. 

  22.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 Song, M. S., Kim, S. M., Kim, J. I., & Jo, N. O. (2007). Measurement in gerontology research. Seoul: Goonja Press. 

  24. Summer, L. (1999). Chronic conditions. A challenge for the 21st century. National Academy on an Aging Society, 1 , 1-6. http://www.agingsociety.org/agingsociety/pdf/chronic. pdf 

  25. Taft, L. B. (1985). Self-esteem in later life: A nursing perspective. Advanced Nursing Science, 8 (1), 77-84. 

  26. Won, J. M., Kang, Y. G., Bae, C.Y., Lee, H. T., Lee, S. K., & Lee, Y J. (1998). Prevalence of depressive mood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 (1), 77-85. 

  27. Won, J. W., Yang, G. R., Noh, Y. G., Kim, S. Y., Lee, E. J., Yoon, J. Y., et al. (2002). Korea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and korea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Journal of Korean Geriatrics Society, 6 (2), 107-120. 

  28. Yoo, H. J., Kim, S. Y., Nam, H. W., Noh, Y. G., Shin, S. H., Yoon, J. Y., et al. (2005). Geriatric Medicine. Seoul medicine publishing company, Seoul. 

  29. Yoo, Y. S. (2009). A study on the sexual habits of urban senior citize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0. Yoon, G. B. (2009). The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of the elderly 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sin University, Bus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