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이 부하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 Leader's Behavioral Integrity on Subordinates' Intention to Leave: Cognitive and Affective Trust as Mediating Variabl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12, 2015년, pp.8210 - 8221  

문지영 (라이트 매니지먼트) ,  이정훈 (성균관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리더의 특성 중 최근에 관심을 받고 있는 행동적 성실성(behavioral integrity)의 효과를 검토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과 부하직원의 이직의도 간 관계에서 부하들이 느끼는 리더에 대한 신뢰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 때, 신뢰를 단일차원이 아닌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의 두 개 차원으로 구분하여 이를 통해 부하직원의 이직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의 다양한 기업들에 종사하는 357명의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통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이 리더에 대한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준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후 본 연구결과에 따른 이론적/실무적 시사점과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leader's behavioral integrity on subordinates' intention to leave with the mediating roles of their cognitive and affective trust in their leader. After collecting data from 357 employees in a variety of organizations, we tested hypotheses with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과 리더에 대한 신뢰를 다룬 기존 연구가 대부분 신뢰를 단일차원으로 여겼다면, 본 연구에서는 신뢰를 2개의 차원, 즉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로 구분하여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이 각각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려 한다. 둘째, 리더에 대한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가 부하직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셋째,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과 부하직원의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리더에 대한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직의도가 실제로 이직을 예측할 수 있는 좋은 변수라고 본다. 종업원들은 현재 소속된 조직에 불만이 높아지면 회사를 그만두고 이직하려는 가능성이 높아진다.
  • 86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제안모델을 최종 모델로 확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이 리더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과 리더에 대한 신뢰를 다룬 기존 연구가 대부분 신뢰를 단일차원으로 여겼다면, 본 연구에서는 신뢰를 2개의 차원, 즉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로 구분하여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이 각각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려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이 리더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과 리더에 대한 신뢰를 다룬 기존 연구가 대부분 신뢰를 단일차원으로 여겼다면, 본 연구에서는 신뢰를 2개의 차원, 즉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로 구분하여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이 각각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려 한다. 둘째, 리더에 대한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가 부하직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최근 리더십 영역에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을 주제로 하여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과 부하직원의 이직의도 간 관계에 내재하는 신뢰에 초점을 두었다. 이전의 많은 연구들이 리더십과 신뢰간 관계를 조사했지만, ‘리더에 대한 신뢰를 강화하고 이로 인한 결과를 식별한 조사가 일관성이 없음을 지적하며 리더십과 리더에 대한 신뢰 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실증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53].
  • Hair 등[52]은 모델링 전략을 개발하는 방법을 확인적 모델링 전략, 경쟁적 모델링 전략 및 모델개발 전략의 세가지 방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형개발 방법을 통해 주어진 제안모형을 토대로 이론변수들 간의 관계와 모수의 특징을 조정하여 모형의 적합도가 향상되는지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판별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평균분산추출(AVE: average variance extracted)을 통해 검토하며, 이는 잠재변수에 대해 측정문항들이 설명할 수 있는 분산의 크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0.5 이상이 되어야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본다. 각각의 측정문항들의 AVE값이 모두 0.
  • 둘째, 리더에 대한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가 부하직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셋째,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과 부하직원의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리더에 대한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각 변수들의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가설을 수립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a: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은 리더에 대한 인지적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b: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은 리더에 대한 정서적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a: 리더에 대한 인지적 신뢰는 부하직원의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b: 리더에 대한 정서적 신뢰는 부하직원의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a: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은 리더에 대한 인지적 신뢰를 매개로 부하직원의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b: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은 리더에 대한 정서적 신뢰를 매개로 부하직원의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둘째, 리더에 대한 신뢰가 있을 때 조직구성원들은 기꺼이 조직에 남아 조직의 목표 달성에 기여할 것이다. 조직 및 리더의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조직구성원의 이탈을 막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리더에 대한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가 부하직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과 부하직원의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리더에 대한 2개의 신뢰가 매개효과를 가질 것으로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이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관계에서 리더에 대한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가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이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관계에서 리더에 대한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가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국내 대기업 및 외국계 기업에 근무하는 3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그 결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 이론적 고찰과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이 리더에 대한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를 매개로 하여 부하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설을 세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뢰란? 신뢰(trust)는 상대방의 의도나 행동에 대해 긍정적인 기대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17]. 또한 신뢰는 상대방에 대한 감시나 통제 없이도 상대방이 기대에 어긋나지 않게 행동할 것이라고 믿기 때문에 그에 따른 불확실성을 감수한다[18].
Simons는 행동적 성실성을 어떻게 정의했는가? 성실성(integrity)은 정직(honesty), 공정(fairness), 신실함(sincerity), 그리고 신뢰감(trustworthiness)과 같은 개인의 특성으로[4,5] 학자에 따라 성실성을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개념으로 보기도 하고 별개로 보기도 한다. Simons[6]는 성실성의 개념을 발전시켜 행동적 성실성 (behavioral integrity)을 ‘행위자의 말과 행동의 일치를 인식하는 정도’로 정의했다. 성실성에는 도덕적인 측면이 있지만, 행동적 성실성은 원칙에 대한 도덕성은 고려하지 않고 언급한 원칙이 행동과 일치하는 정도에 초점을 두었다[7].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은 무엇의 기준이 되는가? 이러한 리더의 특성 중 중요한 요인은 리더의 행동적 성실성이다. 이것은 리더를 따라야 할지 말지 결정할 때 수반되는 불확실성을 줄이는 판단 기준이 된다[1,2]. 조직원들의 만족을 고객 만족보다 더 우선시하겠다고 하면서 정작 직원 복지나 성과에 대한 공정한 분배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또는 회사의 정보를 공유하겠다고 하면서 몇몇 사람들로만 제한한다면 조직과 구성원 간 신뢰는 쌓기 어려울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E. A. Lind, & K. Van Den Bos. When fairness works: Toward a general theory of uncertainty management, In B. M. Staw & R. M. Kramer(Ed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p. 181-223, Greenwich, CT: JAI Press, 2002. DOI: http://dx.doi.org/10.1016/s0191-3085(02)24006-x 

  2. K. Van De Bos & E. A. Lind. Uncertainty management by means of fairness judgement, In M. P. Zanna(Eds.),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60, San Diego, CA: Academic Press, 2002. 

  3. S. H. Kang. Korean companies need to employees' engagement with their soul. LG Business Insight, 2014. 

  4. R. Audi & P. E. Murphy. The many faces of integrity. Business Ethics Quarterly, 16, 3-21, 2006. DOI: http://dx.doi.org/10.5840/beq20061615 

  5. M. E. Palanski & F. J. Yammarino. Integrity and leadership: Clearing the conceptual confusion. European Management Journal, 25, 171-184, 2007. DOI: http://dx.doi.org/10.1016/j.emj.2007.04.006 

  6. T. Simons. Behavioral integrity: The perceived alignment between managers' words and deeds as a research focus. Organization Science, 13, 18-35, 2002. DOI: http://dx.doi.org/10.1287/orsc.13.1.18.543 

  7. T. Simons, E. C. Tomlinson & H. Leroy. Research on behavioral integrity: A promising construct for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In K. Cameron & G. Spreitzer(Eds.), The Oxford handbook of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325-339.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8. F. Heider.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s. Wiley, New York, 1958. DOI: http://dx.doi.org/10.1037/10628-000 

  9. K. E. Weick. Sensemaking in Organizations. Sage Publications, Thousand Oaks, CA,. 1995. 

  10. A. Bandura. Social learning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77. 

  11. S. S. Masterson. A trickle-down model of organizational justice: Relating employees' and customers' perceptions of and reactions to fairn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 594-604, 2001.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86.4.594 

  12. T. Simons & J. McLean-Parks. The sequential impact of behavioral integrity on trust, commitment, discretionary service behavior, customer satisfaction, and profitability.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cademy of Management, Toronto, Ontario, Canada, August, 2000. 

  13. M. E. Palanski & E. A. Carroll. The role of behavioral integrity as an antecedent to leader emergence. Paper presented as part of a symposium for Academy of Management annual conference, Atlanta, GA, August, 2006. 

  14. A. Davis & H. R. Rothstein. The effects of the perceived behavioral integrity of managers on employee attitudes: A meta-analysis. Journal of Business Ethics, 67, 407-419, 2006. DOI: http://dx.doi.org/10.1007/s10551-006-9034-4 

  15. J. L. Johnson & A. M. O'Leary-Kelly.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contract branch and organizational cynicism: Not all social exchange violations are created equal.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4, 627-647, 2003. DOI: http://dx.doi.org/10.1002/job.207 

  16. R. L. Greenbaum, M. B. Mawritz & R. E. Piccolo. When leaders fail to "walk the talk": Supervisor undermining and perceptions of leader hypocrisy. Journal of Management, 1-28, 2012. 

  17. D. Rousseau, S. Sitkin, R. Burt & C. Camerer. Not so different after all: A cross-discipline view of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 393-404, 1998. DOI: http://dx.doi.org/10.5465/AMR.1998.926617 

  18. R. C. Mayer, J. H. Davis & F. D. Schoorman. An integrative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0, 709-734, 1995. DOI: http://dx.doi.org/10.2307/258792 

  19. K. T. Dirks & D. L. Ferrin. Trust in leadership: Meta-analytic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7, 611-628, 2002. DOI:http://dx.doi.org/10.1037/0021-9010.87.4.611 

  20. B. J. Avolio, W. Zhu, W. Koh & B. Puja.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moderating role of structural distanc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5, 951-968, 2004. DOI: http://dx.doi.org/10.1002/job.283 

  21. F. O. Walumbwa & C. A. Hartnell. Understand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employee performance links: The role of relational identification and self-efficacy.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84(1), 153-182, 2011. DOI: http://dx.doi.org/10.1348/096317910X485818 

  22. K. T. Dirks & D. P. Skarlicki. Trust in leaders: Existing research and emerging issues. In R. M. Kramer & K. S. Cook(Eds.). Trust and distrust in organizations: Dilemmas and approaches. New York: Russel Sage Foundation, 2004. 

  23. C. Caldwell & R. D. Dixon. Love, forgiveness, and trust: Critical values of the modern leader. Journal of Business Ethics, 93, 91-101, 2010. DOI: http://dx.doi.org/10.1007/s10551-009-0184-z 

  24. R. Pillai, C. Schriesheim & E. Williams. Fairness perceptions and trust as mediators for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A two sample study. Journal of Management, 25, 897-933, 1999. DOI: http://dx.doi.org/10.1177/014920639902500606 

  25. J. Schaubroeck, S. S. K. Lam & A. C. Peng. Cognition-based and affect-based trust as mediators of leader behavior influences on team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6(4), 863-871, 2011. DOI: http://dx.doi.org/10.1037/a0022625 

  26. P. M. Blau. Exchange and power in social life. New York: John Wiley, 1964. 

  27. D. W. Orga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good soldier syndrome. Lexington, MA: Lexington Books, 1988. 

  28. P. M. Podsakoff, R. H. Moorman & R. Fetter. Transformational leader behavior and their effects on their followers' trust in lead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Leadership Quarterly, 1, 107-142, 1990. DOI: http://dx.doi.org/10.1016/1048-9843(90)90009-7 

  29. D. Jung & B. Avolio. Opening the black box: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mediating effects of trust and value congruence on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1, 949-964, 2000. DOI: http://dx.doi.org/10.1002/1099-1379(200012)21:8 3.0.CO;2-F 

  30. D. J. McAllister. Affect-and cognition-based trust as foundations for interpersonal cooperation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 24-59, 1995. DOI: http://dx.doi.org/10.2307/256727 

  31. J. Yang, K. W. Mossholder & T. K. Peng. Supervisory procedural justice effects: The mediating roles of cognitive and affective trust. The Leadership Quarterly, 20(1), 143-154, 2009. DOI: http://dx.doi.org/10.1016/j.leaqua.2009.01.009 

  32. J. K. Rempel, J. G. Holes & M. D. Zanna. Trust in close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9, 95-112, 1985.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49.1.95 

  33. R. Lewicki & B. Bunker. Developing and maintaining trust in work relationship. In R. Kramer & T. Tyler(Eds.), Trust in organizations(pp. 114-139). Thousand Oaks, CA: Sage, 1996. DOI: http://dx.doi.org/10.4135/9781452243610.n7 

  34. J. D. Lewis & A. Weigert. Trust as a social reality. Social Forces, 63, 967-985, 1985. DOI: http://dx.doi.org/10.1093/sf/63.4.967 

  35. S. T. Fiske, A. J. C. Cuddy & P. Glick. Universal dimensions of social cognition: Warmth and competence. Treads in Cognitive Science, 11(2), 77-83, 2007. DOI: http://dx.doi.org/10.1016/j.tics.2006.11.005 

  36. R. P. Tett & J. P. Meye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Path analyses based on meta-analytical findings. Personnel Psychology, 46, 259-293. DOI: http://dx.doi.org/10.1111/j.1744-6570.1993.tb00874.x 

  37. C. P. Maertz Jr. & R. W. Griffeth. Eight motivational forces and voluntary turnover: A theoretical synthesis with implications for research. Journal of Management, 30, 667-683, 2004. DOI: http://dx.doi.org/10.1016/j.jm.2004.04.001 

  38. J. L. Price & C. W. Mueller. A causal model of turnover for nurs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4, 543-565, 1981. DOI: http://dx.doi.org/10.2307/255574 

  39. A. Bedeian, E. Kemery & A. Pizzolatto. Career commitment and expected utility of present job as predictors of turnover intentions and turnover behavior.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9, 331-343, 1991. DOI: http://dx.doi.org/10.1016/0001-8791(91)90042-K 

  40. W. H. Mobley, S. O. Homer & A. T. Hollingsworth. An evaluation of precursors of hospital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3, 408-414, 1978.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63.4.408 

  41. W. H. Mobley. Intermediate linka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2, 237-240, 1977.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62.2.237 

  42. M. E. Palanski & F. J. Yammarino. Integrity and leadership: A multi-level conceptual framework. The Leadership Quarterly, 20, 405-420, 2009. DOI: http://dx.doi.org/10.1016/j.leaqua.2009.03.008 

  43. J. A. Colquitt, B. A. Scott & J. A. LePine. Trust, trustworthiness, and trust propensity: A meta-analytic test of their unique relationships with risk taking and job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2, 909-927, 2007.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92.4.909 

  44. J. H. Davis, F. Schoorman, R. C. Mayer & H. Tan. The trusted general manager and business unit performance: Empirical evidence of a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1, 563-576, 2000. DOI: http://dx.doi.org/10.1002/(SICI)1097-0266(200005) 21:5 3.0.CO;2-0 

  45. R. M. Kramer. Trust and distrust in organizations: Emerging perspectives, enduring question.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0, 569-598, 1999. DOI: http://dx.doi.org/10.1146/annurev.psych.50.1.569 

  46. S. Aryee, P. S. Budhwar & Z. X. Chen. Trust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work outcomes: test of a social exchange model.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3, 267-285, 2002. DOI: http://dx.doi.org/10.1002/job.138 

  47. R. D. Costigan, S. S. Ilter & J. J. Berman. A multi-dimensional study of trust in organizations. Journal of Managerial Issues, 10. 303-317, 1998. 

  48. H. Tan & C. S. Tan. Toward the differentiation of trust in supervisor and trust in organization. Genetic, Social, and General Psychology Monographs, 126, 241-260, 2000. 

  49. T. Simons, R. Friedman, L. A. Liu & J. McLean-Parks. Racial differences in sensitivity to behavioral integrity: Attitudinal consequences, in-group effects, and "trickle down" among black and non-black employe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2, 650-665, 2007. DOI: http://dx.doi.org/10.1037/0021-9010.92.3.650 

  50. J. E. Lewin & J. K. Sager. The influenc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oping strategies on salespersons' turnover intentions. Journal of Personal Selling & Sales Management, 30, 355-370, 2010. DOI: http://dx.doi.org/10.2753/PSS0885-3134300405 

  51. P. M. Bentler. On test and indices for evaluating structural model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2(5), 825-829, 2007. DOI: http://dx.doi.org/10.1016/j.paid.2006.09.024 

  52. J. F. Hair, W. C. Black, B. J. Babin, R. E. Anderson & R. L Tatham.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Upper Saddler River, New Jersey: Person Education, 2006. 

  53. C. S. Burke, D. E. Sims, E. H. Lazzara & E. Salas. Trust in leadership: A multi-level review and integration. The Leadership Quarterly, 18(6), 606-632, 2007. DOI: http://dx.doi.org/10.1016/j.leaqua.2007.09.006 

  54. P. F. Drucker. Management challenges for the 21st century. Burlington, MA: Elsevier Ltd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