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사의 인성에 따른 유아 인성교육의 인식 및 실태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 the actual condition for the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depend on Teacher's Personalit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12, 2015년, pp.8915 - 8926  

손은경 (중부대학교 유아교육과) ,  유지은 (중부대학교 유아교육과) ,  김숙희 (중부대학교 유아교육과) ,  손혜경 (중부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인성과 개인변인에 따른 인성의 차이를 살펴보고, 유아교사의 인성 집단에 따른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실태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충청도 D시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인성은 경력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에서는 유아교사는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공감하고 있었으나 그에 따른 실천방법에 대한 부재가 장애요인이었다. 셋째, 인성이 높은 집단은 교사의 인간관계 덕목과 생명존중 및 인간애가 중요한 덕목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실태에서는 유아 인성교육의 목적을 인간존중으로 보았으며 바른 가치관이 교육의 내용으로 전 영역을 통한 지도를 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다섯째, 인성이 낮은 집단의 교사는 직무수행이 교사의 덕목이며 유아는 예절이 필요한 덕목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인성교육의 목적과 내용을 예절교육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가정과의 연계를 통한 지도가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이에 유아에게 인성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사 자신 스스로 반성적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difference by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and individual factor. Also we wanted to find out the status, need and awareness of character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Our targets are 194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working in D c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정한 교육 프로그램이 아닌 일상생활 속에서 수시로 지도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가정과의 연계를 통한 부모교육과 다양한 방법으로 공감대를 형성하고 의사소통할 수 있는 통로도 고려해 보고자 한다. 인성교육은 일부 교과목이나 활동에서만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교과 활동, 창의적 체험 활동 가정교육 등 모두를 통해 종합적으로 함양해야 하는 자질 교육이 되어야한다.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인성과 개인변인에 따른 인성의 차이를 살펴보고, 유아교사의 인성 집단에 따른 유아 인성교육의 인식 및 실태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본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유아교사들이 갖춰야 할 인성의 덕목으로 Lee[34]은 도덕성, 정서적, 안정, 사려성, 원만한 인간관계라고 하였으며, Lee[35] 또한, 유아교사에게는 무엇보다 인간적 자질이 중요함을, Jeun[31] 유아교사 인성 자기평가 도구 개발 연구를 통해 좀 더 구체화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Jeun[31]이 제시하고 있는 인성의 범주 인간애, 긍정적 자아개념, 사회관계, 직무수행, 창의․인성 5개의 범주로 나누어 구성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인간애”는 기본적인 성향으로 이타심과 용서를 구성요인으로 하고 있으며, “긍정적 자아개념”은 유아교사로서의 삶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를 의미하고, “사회관계”에서는 집단 간의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고, “직무수행”은 집단의 일원으로써 해야 하는 역할을, 마지막으로 “창의․인성”은 21세기에 필요한 융통성 있고 개방적인 마음가짐이라 하겠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 있는 유아교사들을 중심으로 유아교사들의 인성을 알아보고 인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유아교사가 실천하는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대한 연구를 기초로 앞으로 유아교사들의 인성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교육은 어떤 목적에서 시작되었는가? 유아교사는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가족 이외의 최초의 성인이며, 유아의 잠재능력을 개발하는 자이다[32]. 유아에 대한 사회적 보호라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던 유아교육은 어린 자녀양육에서의 일차적 책임을 모성역할에 기대해 온 사회적 전통 등으로 인하여 오랫동안 유아교사에게 교육적 역할보다는 보호적 역할을 강조해 왔던 것은 사실이다[30,34]. Spodeck[32]은 유아교사는 양육, 교수, 인격함양, 의사 결정 역할을 수행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유아교사의 인성과 개인변인에 따른 인성의 차이를 살펴보고, 유아교사의 인성 집단에 따른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실태를 알아본 결과는 어떠한가? 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인성은 경력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에서는 유아교사는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공감하고 있었으나 그에 따른 실천방법에 대한 부재가 장애요인이었다. 셋째, 인성이 높은 집단은 교사의 인간관계 덕목과 생명존중 및 인간애가 중요한 덕목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실태에서는 유아 인성교육의 목적을 인간존중으로 보았으며 바른 가치관이 교육의 내용으로 전 영역을 통한 지도를 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다섯째, 인성이 낮은 집단의 교사는 직무수행이 교사의 덕목이며 유아는 예절이 필요한 덕목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인성교육의 목적과 내용을 예절교육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가정과의 연계를 통한 지도가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이에 유아에게 인성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사 자신 스스로 반성적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하다.
인성이란 무엇인가? 그렇다면 인성이란 무엇인가? ‘인성(人性)’이란 각 개인이 가지고 있는 사고와 태도 및 행동을 일컫는 말로 인간이 속한 문화와 사회에서 요구하는것과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반영하는 역동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1]. 즉,, 인성이란 선천적 특성을 의미하는 것뿐 아니라 후천적으로 형성되는 모든 것, 개인의 사고와 태도 행동을 말하는 것이라 하겠다[31]. 그러나 바람직한 인성 발달을 위해 유아교육기관에서 인성교육을 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Y. A. Gye, J. W. Kang. The Survey of Teacher's Perception about Characteristic virtue and Teaching strategy for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5(1), 55-75. 2001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year-old Nuri teacher training courses for operational support kit, 2012. 

  3. O. J Gwon. Study on Effects of the Elderly-Children Connection Program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ersonalities. Sungkyunkwan University, graduate master's degree thesis. 2004. 

  4. G. S. Gil, S. M.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homes. 42 (1). 123-136. 2004. 

  5. S. J. Kim, H. J. Kim, H. I. Park, H. J. Park. A Foundational Study III for Development of the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with a Multicultural Approach based on Korean Values. Ope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17 (1), 337-358. 2012. 

  6. S. J. Kim, H. J. Kim Park, J. S. Shim, Park, H. J, G. H. Jang. IA Study on Parents' Perception and Need for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A Foundational Study IV for Development of the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with a Multicultural Approach based on Korean Values. Education nonjip infants, 16 (2). 2012. 

  7. Y. O, Kim, H. R. Baek, M. S. Choe. Children baldalron. Seoul: community. 2009. 

  8. O. S. Kim. study is to look at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at Won Buddhist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Wonkw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001. 

  9. Y. S. Kim. Study on personality qualit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aegu University Journal. 34, 429-458. 1999. 

  10. J. H. Kim. Studies on the quality of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that parents prefer. Ajo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34, 429-458, 2007. 

  11. J. H. Kim.. Compare awareness of teachers and parents for the elementary character education. Hang-Won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7. 

  12. H. T. Kim. Qualitative research on confli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fant Education nonjip, 8(2), 5-34. 2004. 

  13. M. S. Woo. Self Concep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Catholic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degree thesis. 2004. 

  14. G. O Park. A Study on Would-be Young Child Teacher's Perception of Young Child Character Education. Joong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0. 

  15. S. H. Park, K. Y .Kim, H. S. Lee. The Relationships Between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Teaching Performa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12(4), 165-185. 2005. 

  16. S. H. Park, T. E. Kim. The Meanings of Experience through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Using Ecological Picture Books. Infant Education Korea Society, 15 (2), 341-368, 2011. 

  17. C. O. Rark. Personal Development Pla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Op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ssociation Conference Journal, 11, 581-588, 2010. 

  18. H. J. Park, S. J. Kim. Research on the Charact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 Foundational Study 2 for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with a Multicultural Approach based on Korean Values. Childhood Education, 21 (2), 5-26. 2012. 

  19. S. H. Rark. Teacher's Role Recognition for Improving Creativity and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e Korea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 55, 151-170. 2008. 

  20. K. A. Baun. A Comparison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Parents in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esirable. Kyung Hee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degree thesis. 2008. 

  21. M. O. Seo. The study of Inservice and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Moral Judgement and Level of empathy, Education and Research Journal, 28 (2), 79-98. 2007. 

  22. E. H. Seong.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General Self-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children's Journal, 26 (10), 217-228. 2005. 

  23. J. S. An. Early childhoo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buddhist tale 'Jataka'. Dongg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degree thesis. 2002 

  24. I. S. Won. Comparison of the Awareness of Teachers and Parents on Early Childhood Personality Education and Its State. Kyongg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degree thesis. 2011. 

  25. G. J. You, H. J. Jo. Introduction to Infanteducation. Seoul: community. 2009. 

  26. K. M. Lee, J. H. Lee. G. S. Lee. A Study of Teachers' Beliefs on Character Education of Young Children.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13 (1), 169-193. 2006. 

  27. K. H. Lee, E. J. Suk. The qualities of good early childhood teachers considered by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Ope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15 (5), 167-187. 2010. 

  28. N. H. Lee. (The) influences of the early child teachers' human relation with coworker, director and parents on their separ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a master's degree thesis. 2008. 

  29. H. J. Lee. I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child's humanity. Kyung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2005. 

  30. Y. S. Leem.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Catholic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degree thesis. 2001. 

  31. J. S. Jeu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ersonality(Insung) self assessment scale for preschool teachers. Sungkyunkwan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11. 

  32. S. O. Jo, K. H. Lee, I. N. Bae, J. S. Lee, J. W. Kim, H. Y. Min. Infant Social Education. Seoul: Changjisa office. 2002. 

  33. J. Y. Cha. A study on qu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quired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Joon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Development dissertation. 2007. 

  34. E. H. Lee, S. Y. Bae, B. K. Cho. EarlyChildhood Teacher Education. seoul: Yswpub. 1995 

  35. B. R. Lee, J. H. Kim, J. W. Kang. A Study of Directions for the Standard Pre-Service Education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Korea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 9(1), 53-79, 2005. 

  36. E. J. Lee.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o the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2005. 

  37. Arnon, S. & Reichel. N.(2007). Who is the idea teacher? Am I? Similarity and difference in perception of students of education regarding the gualities of a good teacher and of their own qualities as teachers. Teachers and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13(5), 441-464. 2007. DOI: http://dx.doi.org/10.1080/13540600701561653 

  38. Blishen, E. The school that I'd like. London: Harmondsworth, Penquin. 1969. 

  39. Berkowitz, M. W, & Grych, J. H. Early Character Development and Education, Early Education & Development, 11, 55-72. 2000. 

  40. Noddings, Nel, & Slote, Michael. Changing notions of the maoral and of moral education. In Nigal Blake, Paul Smeyers, Richard Smith, & Paul Standish(Eds.), The Blackwell guide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 Oxford: Malden, 341-355,2003. 

  41. Pritchard. Character eduction: Reseach prospects and problems. American. Journal of Education, 96(4), 469-495,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