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과학 교사와 학생들의 빛에 대한 인식과 이해 정도 분석
A Research on Middle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Analysis for the Light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8 no.3, 2015년, pp.267 - 280  

김민영 (고려대학교) ,  한신 (한국교원대학교) ,  박태윤 (연세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cep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about Visible-Light, Ultra-Violet(UV) and Infrared-Ray(IR). We administered questionnaire 3 teacher and 102 students(48 people of middle school 2nd students and 54 people of middle school 3rd students) w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생들의 자외선과 가시광선의 차이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학생들은 자외선과 가시광선의 차이점을 제대로 구분하고 있지 못하였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자외선은 태양으로부터 오는 것이라고 알고 있었으며, 자외선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긍정적인 측면이 아닌 부정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대중매체의 뉴스에서 본 정보와 자신의 경험에 근거하여 설명하는 모습을 보였다.
빛 개념에 대한 학습은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가? 빛 개념에 대한 학습은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 과정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초등학교 과정에서는 ‘소리의 성질’, ‘거울과 그림자’ 단원을 통해 파동의 특성과 우리 주변에 실재하고 있는 빛에 대해 인식하고 빛의 직진에 대해 학습을 한다. 중학교 과정의 ‘열과 우리 생활’, ‘빛과 파동’, ‘기권과 우리 생활’, ‘외권과 우주 개발’ 단원을 통해 빛의 특성과 원리에 대한 전반적인 기본 개념인 빛의 직진, 반사, 파동의 특성 등을 다루며, 자연현상으로서의 빛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Kim et al.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사들의 자외선에 대한 정확한 개념은 어떠한 것으로 나타나는가? 교사들의 경우에도 학생과 마찬가지로 자외선에 대한 정확한 개념 형성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외선이 인간의 눈으로 인지하지 못한다는 것과 자외선이 어디에서 유래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대부분 인지하고 있었지만 자외선이 우리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서는 단 한명의 교사만 언급하였을 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e, K. A. (2005). A Stud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ptual change on the light through the cognitive conflict instruction.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 degree thesis. 

  2. Boyes, E. & Stanisstreet, M. (1998).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How Major Global Environmental Effects Might Cause Skin Cancer.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9(31). 31-36. 

  3. Boyes, E., Stanisstreet, M., & Papantoniou, V. S. (1999). The Ideas of Greek High School Students about the 'Ozone Layer'. Science Education, 83(6). 724-737. 

  4. Choi, J. J. (2015).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misconception about ligh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Master degree thesis. 

  5. Choi, M. Y. & Han, J. Y. (2014). High School Students'Understanding about the Concept of Acid Rain, Ozone Layer, and Greenhouse Effect. Bulletin Science Education, 29(2), 59-72. 

  6. Galili, I. & Hazan, A. (2000). Learners' knowledge in optics: interpretation, structure and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1). 57-88. 

  7. Gilbert, J, K., Osborne, R, J. & Fensham P, J. (1982). Children's science and its consequences for teaching. Science Education, 66(4). 623-633. 

  8. Guesne, E. (1985). Light, In Children's Ideas in Science. Driver. R., Guesene, E., and Tiberghien. A.(Eds), Milton Keynes, Philadelphia, Open University Press. 

  9. Han, S., Pak, T. Y., & Jeong, S. (2015). Korean Secondary Students' Conceptions about Visible Light, Ultra Violet and Infrared Ra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8(1), 35-44. 

  10. Je, K. Y. & An, H. S. (1999). The analysis of students' ideas about the greenhouse effect.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9(4). 585-594. 

  11. Jeon, K. A. (2002). Development of Inquiry-based Experiments and Criteria for the Assessment of the Experiments based on 7th Junior-high curriculum : In the Chapter of 'Light' for 7th-year Middle School Students. Ewha Womans University Master degree thesis. 

  12. Jeong, H., Jeong, Y. J., & Song, J. W. (2004). An Analysis of Writing by 11th Grade Students on the Theme of Light According to the Type of Task.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5). 1008-1017. 

  13. Kim, D. R. (2012). Comparative Analysis of Science-gifted Primary and Middle Schoolers' Preconceptions and Process skills in the Science Classes for the Gifted on Transpiration.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8(2). 23-47. 

  14. Kim, Y. M., Park, S. K., & Lee, S. W. (2010). A Survey on Perception and Knowledge of Science-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Middle-school Level about High Technology Related to Science.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0(3). 901-919. 

  15. Kim, Y. S. & Paik, S. H. (2008). The Cognition Changes Related to the Teaching Methods of "Light" Chapter for 7th Grade as Experienced by Science Teachers in Abduction Thinking.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6). 507-518. 

  16. Kwak, Y. S. (2004). Korean Fifteen-Year -Olds' Alternative Conceptions on the Greenhouse Effect Revealed in PISA Test Results.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3), 668-674. 

  17. Kwon, O. J. (2013). Perception Chan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 Infrared. The Journal of Education Studies. 50(1). 101-112. 

  18. Lee, J. B., Nam, K. W., Son, J. W., & Lee, S. M. (2004). An Analysis of the Types of Teacher and Student's Concept on Ray-Tracing and Spectrum in the Middle School.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6). 1189-1205. 

  19. Lee, J. H., Jeong, J. W., & Woo, J. O. (2002).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Concept on Atmospheric Pressure.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2(3). 560-570. 

  20. Libarkin, J. C., Anila, A., Crockett, C., & Philip, S. (2011). Invisible Misconceptions: Student Understanding of Ultraviolet and Infrared Radiation. Astronomy Education Review. 10(1). 

  21. Lim, C. H. & Kim, H. J. (2010).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lternative Conceptual Types and Change After Conflict Situations on the Movement of the Moon.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8). 1110-1122. 

  22. Oh, S. I. (1992).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al Program for Correcting the Misconception on Ligh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 degree thesis. 

  23. Oh, W. K. & Kim J. W. (2002). Middle-school Students' Concepts of vision and of the Properties of Light. The origin of New Physics: Sae Mulli. 45(3). 163-170. 

  24. Paik, S. H. & Jung, Y. K. (2009). A Case Stud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Light and Image' and Change of Perception Related to Learning Contents.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8(3). 245-262. 

  25. Park, S. Y. & Lee, C. S. (2009). What is the Origin of the Wrong Perception that the Global Warming is Caused by the Ultraviolet Light Coming through the Ozone Hole?. The Korean Society for School Science. 3(2). 133-139. 

  26. Pines, A. L., & West. L. H. T. (1986).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Science Learning: An Interpretation of Research within a Sources-of-Knowledge Framework. Science Education. 70(5). 583-604. 

  27. Ramada, J, & Driver, R. (1989). Aspects of secondary students idea about light, Children's Learning in science Project: Full Report. University of Lead. 

  28. Won, J. A., Lee, E. K., & Paik, S. H. (2008) Analysis of content structure problems through the textbooks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and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n dissolution, light, and electricity units in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24(4),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4(4), 318-343. 

  29. Woo, S. Y. (2005).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Alternative Conception of the Earth Sphere Conceptions.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 degree thesi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