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들의 공간지각능력에 따른 탄소 순환 개념 연구
Conception of Carbon Cycle in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Spatial Perception Ability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0 no.3, 2017년, pp.308 - 322  

이지은 (한국교원대학교) ,  한신 (한국교원대학교) ,  박태윤 (연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지각능력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탄소 순환 개념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광역시 소재의 평준화 일반계 남녀공학 S고등학교 학생들 중 2학년 1학기에 지구과학 I을 이수한 자연계열 남학생 30명과 여학생 33명을 대상으로 공간지각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공간지각능력 상 하 두 집단의 학생들 중에서 본 연구 참여에 동의한 남학생 4명과 여학생 4명을 대상으로 탄소순환 개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공간지각능력이 높은 학생들은 공간지각능력이 낮은 학생들 보다 단어연상에서 탄소 순환 개념, 상태 변화개념, 과정 개념이 더 많았으며 그림 그리기에서 탄소 순환 개념, 상태 변화와 과정 개념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적 관점에서 사용된 연결고리는 공간지각능력이 높은 학생들의 인과지도에서 1명이 2개, 1명이 1개, 2명이 0개로 나타났고 그림 그리기에서 3명이 1개, 1명이 0개로 나타났으며 공간지각능력이 낮은 학생들의 인과지도와 그림 그리기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공간지각능력이 높은 학생들은 공간지각능력이 낮은 학생들에 비해 지구시스템의 하위영역의 상호작용으로 탄소가 이동하는 것을 이해하고 있었다. 공간지각능력이 높은 3명의 학생들은 낮은 수준의 시스템 사고 개념이 있었으며 공간지각능력이 높은 학생 1명과 공간지각능력이 낮은 학생들 4명은 시스템 사고 개념이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the purpose of the study to investigate how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 of carbon cycle according to their spatial perception ability. For this, a total of 30 male students and 33 female students, who belong to the science course of the 2nd grade at a general co-education high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스템 사고를 갖추기 위한 요소인 역동적 사고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시스템 사고를 갖추기 위해서는 역동적 사고 (dynamic thinking)와 조작적 사고(operational thinking)가 요구된다. 역동적 사고란 어느 한 시점에서 문제가 되는 행태의 요인을 찾기보다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문제 형태의 변화 추이를 찾으려는 사고를 말한다. 변화 추이는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에 쉽게 찾을 수 없다. 따라서 시스템 사고는 장기적이고 맥락적인 시각에서 특정 시점에 서의 사건보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형태 유형에 초 점을 맞추게 된다(김동환, 2004).
태풍 등에 의한 자연재해, 지구온난화, 엘니뇨 등 의 많은 현상들의 원인과 과정에 대한 분석이 가능 해졌을 뿐만 아니라 그 결과까지 예측할 수 있게 된 원인은 무엇인가? 1980년대 후반부터 급격하게 발달한 과학과 기술로 태풍 등에 의한 자연재해, 지구온난화, 엘니뇨 등 의 많은 현상들의 원인과 과정에 대한 분석이 가능 해졌을 뿐만 아니라 그 결과까지 예측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자연 현상은 다양한 요인들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복잡한 시스템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지구환경과 관련되어 발생되는 현상들은 지구의 기본 구성요소인 기권, 지권, 수권, 생물권, 인간 활동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한 산물임이 밝혀졌다.
시스템 사고란 무엇인가? 시스템 사고는 어떤 공통의 과정에서 부분으로 작용하는 힘을 파악하고 그 힘들의 상호관계성을 분석할 수 있는 모든 기법, 방법, 원칙 등을 총 망라 한 상당히 광범위한 지식체계를 말한다. 다시 말해, 시스템 사고란 모든 존재와 활동 일체를 시스템으 로 간주하는 사고이며, 시스템의 활동은 상호 유기 적으로 이루어진다고 보는 사고 또는 철학적 견해이다(문병찬 외,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강천덕, 이효녕, 윤일희, 김은주 (2008). 물의 순환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지구시스템 관련 개념과 시스템 사고의 분석.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지, 32(1), 61-72. 

  2. 김동환 (2000). 김대중 대통령의 인과지도: 1997년도 금융위기의 원인과 극복에 관한 김대중 대통령의 시스템 사고.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지, 1(1), 5-28. 

  3. 김동환 (2004). 시스템사고, 선학사. 

  4. 김범기, 이항로, 김기정 (1996). 천문 개념 성취도와 공간능력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15(2), 315-325. 

  5. 김수정, 김형범, 한신, 정진우 (2012). 초등학생의 공간능력 수준차이에 따른 지구자전에 관한 개념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1), 20-30. 

  6. 김윤지, 정진우 (2009). 지구계 교육과 소재로서 순환에 대한 이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8), 951-962. 

  7. 문병찬, 정진우, 경재복, 고영구, 윤석태, 김해경, 오강호 (2004). 예비교사들의 탄소 순환에 대한 지구시스템의 관련 개념과 시스템 사고의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5(8), 684-696. 

  8. 오영, 이준 (2004). 공간능력. 군자출판사, 서울, 124 p. 

  9. 이경훈, 임종옥 (2010). 공간능력에 따른 중학생의 지하수에 대한 개념. 한국지구과학회지, 31(3), 267-275. 

  10. 이동은, 한신 (2011).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순환 개념 이해에 대한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2), 126-133. 

  11. 이두연, 오은숙, 김형범, 정진우 (2013). 고등학생들의 지구시스템 관점에 기반한 탄소 순환 개념 분석.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지, 37(1), 157-169. 

  12. 이석희, 이용섭 (2012).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한 '태양계와 별' 수업이 과학학습 동기와 공간지각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1), 105-113. 

  13. 이성미, 방정숙 (2007). 초등학생들의 공간감각 이해능력 실태 조사. 수학교육, 46(3), 273-292. 

  14. 이용섭 (2013). 초등과학의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 초등예비교사의 지식수준과 공간지각 능력과의 관계.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3), 252-260. 

  15. 이용섭, 김순식 (2012). 과학기반 STEAM 천문학습 프로그램이 공간지각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3), 297-306. 

  16. 이창진 (2003). 지구과학의 정체성과 학문 분류. 한국지구과학회지, 24(7), 650-656. 

  17. 이호, 조현준, 이효녕 (2007). 달 크레이터 생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정신모형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8(6), 655-672. 

  18. 이효녕, 권영륜 (2008). 지구계 주제 중심의 지구과학 모듈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9(2), 175-188. 

  19. 이효녕, 권용주, 오희진, 이현동 (2011). 고등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지구온난화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32(7), 784-797. 

  20. 이효녕, 조현준, 박미란 (2012). 공간능력의 차이에 따른 10학년 학생들의 판운동 관련 개념에 대한 이해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3(4), 360-375. 

  21. 전만국, 김형범, 정진우 (2013). 초등학생의 공간능력에 따른 태양의 고도에 관한 개념.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1), 28-39. 

  22. 정진우, 김윤지, 정구송 (2007). 물의 순환에 대한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의 인식. 한국지구과학회지, 28(6), 699-706. 

  23. Ben-zvi-Assaraf, O., & Orion, N. (2005a). A Study of Junior High Students' Perception of the Water Cycle.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3(4), 366-373. 

  24. Ben-zvi-Assaraf, O., & Orion, N. (2005b). Development of System Thinking Skills in the Context of Earth System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5), 518-560. 

  25. Black, A. A. (2005). Spatial ability and Earth science conceptual understanding.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3(4), 402-414. 

  26. Burton, E. P., & Mattietti, G. K. (2011). Cognition and self-efficacy of stratigraphy and geologic time: Implications for improving undergraduate student performance in geological reasoning.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9(3), 163-173. 

  27. Maani, K. E. & Maharaj, V. (2004). Links between System Thinking and Complex Decision Making. System Dynamics Review, 20(1), 21-48. 

  28. McGee, M. G. (1979). Human spatial abilities: Psychometric studies and environmental, genetic, hormonal and neurological Influences. Psychological Bulletin, 86(5), 889-917. 

  29. Pretty, M. R., & Rule, A. C. (2008). Effective materials for increasing young children's spatial and mapping skill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6(1), 5-14. 

  30. Self, C. M., &Golledge, R. G. (1994). Sex-related differences in spatial ability: What every geography educator should know. Journal of Geography, 93(5), 234-243. 

  31. Sweeney, L. B. & Sterman, J. D. (2000). Bathtub Dynamics; Initial Results of a Systems Thinkings Inventory. System Dynamics Review, 16(4), 249-286. 

  32. Titus, S., & Horsman, E. (2009). Characterizing and improving spatial visualization skill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7(4), 242-2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