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은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ultural Programs in Small Libraries: The Case of Seoul Metropolitan City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6 no.1, 2012년, pp.289 - 309  

양병훈 (숭의여자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는 작은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서울시 소재 142기관을 대상으로 도서관 일반현황과 문화프로그램 현황을 설문조사하였다. 도서관에서 현재 수행하고 있는 기능은 공 사립 모두 자료대출반납, 문화프로그램 운영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문화프로그램 또한 공 사립 모두 과반수 이상 운영하고 있으며, 운영하지 않는 기관들은 운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기적으로 운영하는 문화프로그램 수는 공 사립 모두 1~3개이고, 그 유형은 문화교양과 독서관련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문화프로그램 운영 담당자는 공립은 행정직원, 사립은 도서관장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으며, 문화프로그램 운영 시 어려운점은 공 사립 모두 예산과 인력확보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an attempt to study the current status and ways to revitalize cultural programs in small libraries, this study surveyed 142 small libraries based in the Seoul. Two most important functions of both public and private small libraries were found to be the loan/return of materials and cultural prog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지역주민의 생활밀착형인 작은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하여 현재 작은도서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문화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설계주체별 즉, 공립과 사립으로 구분하여 조사, 분석하고자 한다. 아울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주민에게 실질적으로 다가가는 도서관 서비스를 수립하기 위한 문화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지역주민의 생활밀착형인 작은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하여 현재 작은도서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문화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설계주체별 즉, 공립과 사립으로 구분하여 조사, 분석하고자 한다. 아울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주민에게 실질적으로 다가가는 도서관 서비스를 수립하기 위한 문화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도서관이 책만 보관하는 곳이 아닌 지역주민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문화센터로서의 기능이 강조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주민의 생활밀착형인 작은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하여 현재 작은도서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문화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설립주체별로 조사, 분석하여 작은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 주요 결과와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은도서관은 무엇인가? 작은도서관은 지식정보 및 독서문화 서비스의 제공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도서관으로서 공립 공공도서관의 시설 및 도서관자료 기준에 미달하는 도서관을 지칭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작은도서관은 법에서 정한 최소규모 이상의 시설․자료․인력을 갖추고 접근성이 좋은 곳에 위치하며 지역주민에게 비영리로 정보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문화 및 정보를 만들어가는 커뮤니티 생성체이자 소규모의 생활친화적인 독서․교육․문화공간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유양근 2010).
공공도서관 이용에 관한 문제점은 무엇인가? 문화체육관광부 국가도서관 통계시스템에 의하면 국내 공공도서관은 2008년 644개, 2009년 703개, 2010년 760개1)로 매년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매년 공공도서관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모가 아이와 함께 편하게 찾아갈수 있는 도서관이 지역주민의 생활권과 근접 하지 않아 접근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농산어촌 등 문화 소외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주민은 문화․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여건이 잘 갖추어져 있지 않아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를 수행하기에는 양적․질적으로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국립중앙도서관. 2007. 작은도서관 선진형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2007. Jakeun Doseogwan Sunjinhyung Mohyung mit Program Gaebal Yeongu. Seoul: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2.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2010. 생활밀착형 사립작은도서관 연계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ibrary and Information. 2007. Sanghwal Milchakhyung Salip Jakeun Doseogwan Yeongae Hwalseonghwa Bangan Yeongu. Seoul: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ibrary and Information.) 

  3. 김미선. 2010. 작은도서관 운영모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Kim, Mi-Seon. 2011. A Study on the Operating Model of Small Library. M.A. thesis, Chung- Ang University.) 

  4. 김세훈 외. 2006. 작은도서관 분관시스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Kim, Se-Hoon, et al. 2006. Jakeun Doseogwan Bungwan System Guchuk Bangane Gwanhan Yeongu. Seoul: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5. 김승환. 2010. 작은도서관의 운동과 현황. [online]. [cited 2011.12.26]. .(Kim, Seung-Hwan. 2010. "Jakeun doseogwanui undonggwa hyeonhwang." [online]. [cited 2011.12.26]. .) 

  6. 김준. 2006. 작은도서관 개념에 대한 이해. 도서관계, 140(3): 10-15.(Kim, Jun. 2006. "Jakeun doseogwan gaenyeome daehan ihae." Newsletter of Library, 140(3): 6-11.) 

  7. 김홍렬. 2010. 전북지역 작은도서관의 현 단계와 기능 확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1): 77-98.(Kim, Hong-Ryul. 2010. "Analysis and solution of small libraries in Jeon-buk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1): 77-98.) 

  8. 문화체육관광부. 2007. 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지원방안 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07. Doseogwan Munhwa Program Giwon Bangan Yeongu.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9. 문화체육관광부. 2008. 도서관 문화프로그램 모형 및 운영매뉴얼에 관한 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08. Doseogwan Munhwa Program Mohyung mit Unyeong Manual-e Gwanhan Yeongu.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10. 유병장. 2007. 작은도서관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안성시 사례를 중심으로. 2007 작은도서관 활성화 추진 워크숍 사례발표, 77-85.(Ryu, Byeong-Jang. 2007. "Jakeun doseogwan unyeong hwalseonghwa bangan yeongu:Anseong-si saraereul jungsimeuro." 2007. Jakeun Doseogwan Hwalseonghwa Chujin Workshop Sarae Balpyo, 77-85.) 

  11. 윤명희 외. 2011. 소통과 협력으로 성장하는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 수원: 경기도사이버도서관.(Yoon, Myung-Hee, et al. 2011. Sotonggwa Hyopryogeuro Sungjanghaneun Gonggong Doseogwangwa Jakeun Doseogwan. Suwon: Gyeonggido Cyber Library.) 

  12. 이경민. 2003. 공공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및 독서활동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127-151.(Lee, Kyung-Min. 2003.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public libraries culture program and reading activity."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1): 127-151.) 

  13. 정현태. 2006. 작은도서관 조성사업 활성화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 학술발표논집, 21: 217-253.(Joung, Hyun-Tae. 2006. "Jakeun doseogwan joseong saup hwalseonghwa bangan."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Occasional Papers Series, 21: 217-253.) 

  1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2006. 작은도서관(문고포함)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Chung-Ang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2006. Jakeun Deseogwan Chungjanggi Baljeon Bangan Gwanhan Yeongu. Seoul: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15. 홍미선. 2008. 김해시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Hong, Mi-Sun. A Study for Vitalization of Small-Library in Gimhae City. M.A. thesis, Silla University.) 

  16. 황금숙, 김수경, 박미영. 2008.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현황 분석과 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219-244.(oang, Gum-Sook, Kim, Soo-Kyoung, & Park, Mi-Young. "A study o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1): 219-244.) 

  17. Champ, P. A., Bishop, R. C., Brown, T. C., & McCollum. D. W. 1997. "Using donation mechanisms to value nonuse benefits from public goods."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33(2): 151-162. 

  18. Holt, G. E., Elliott, D., & Moore, A. 1999. "Placing a value on public library services." Public Libraries, 38(2): 98-108. 

  19. Jennifer, Rowley, & Dawes, Jillian. 1999. "Customer loyalty: A relevant concept for libraries." Library Management, 20(6): 345-351. 

  20. Marry, J. Lynch. 1978. "Educational, cultural and recreational services of the public library for adults." The Library Quarterly, 48(4): 476-487. 

  21. Thrasher, Ferry A. 2000. "Branch library development in Cumberland Country, North Carolina." New Library World, 101: 309-3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