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매뉴얼 구성요소 요구도 분석
A Demand Analysis of the Main Components in the Manual on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2 no.2, 2018년, pp.245 - 262  

배경재 (동덕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강지혜 (동덕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차성종 (숭의여자대학교 문헌정보과)

초록

도서관 장애인서비스를 지역 도서관에서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매뉴얼의 효율적인 활용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도서관 현장에서 장애인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는 사서의 의견을 조사하여 기존 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매뉴얼의 이용현황 및 활용도 중요도를 파악하고, 매뉴얼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요구도 수준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매뉴얼의 구성요소의 실무활용도를 평가한 결과, '편의시설 설치'가 매우 상세하게 서술되어야 할 요소로 도출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결과로 도출한 매뉴얼 구성요소에 대한 요구도 분석은 도서관 유형별로 중요 요소에 대한 해석을 다르게 해야 할 것과 함께,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매뉴얼에 대한 낮은 인지도 및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강구할 것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critical for public libraries to use service manuals to provide library services to the disabled. This research investigated librarians' opinion and discerned their utilization and importance of the current service manuals. Also, the study identified librarians' needs and priority of each com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매뉴얼에 대해 미리 인지하고 있는 도서관에 한하여 그 인지 경로를 질문하였다. 이에 대해 ‘인터넷 검색’이나 ‘실무 매뉴얼이나 학술지’를 통해 인지한 응답이 27.
  • 독서교실의 운영은 플로우 차팅(Flow-Charting) 기법을 활용하여 기획, 세부운영 계획, 시행, 평가 단계등 4단계로, 세부 절차는 8단계로 설계하였다. 논문은 각 세부 절차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소개하였으며, 전체적인 가이드라인과 실무지침서에 대한 필요성을 개진하였다.
  • 황금숙과 김수경(2008)은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독서교실 프로그램을 보다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독서교실을 운영 중인 100개 도서관의 사서,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사서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독서교실의 운영 방향 재확립, 담당자의 전문성 제고, 지원책 마련, 교육과정 마련과 수혜자 중심의 운영이라는 요구를 분석하였다. 설문분석을 바탕으로 저자들은 독서교실 프로그램 방향을 설정하였으며 상황에 맞는 운영형태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기존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매뉴얼의 이용현황 및 활용도·중요도를 파악하 고, 매뉴얼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요구도 수준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도서관 현장에서 장애인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는 담당자의 의견을 조사하여 기존 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매뉴얼의 이용현황 및 활용도·중요도를 파악하고, 매뉴얼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요구도 수준 및 우선 순위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관 장애인서비스가 확산되기 어려운 이유는?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도서관 장애인서비스가 쉽게 확산되기 어려운 이유로 기존 장애인도서관 및 복지관 자료실 중심의 도서관서비스 운영 및 공공도서관 장애인 전담사서 등 전문인력의 부재, 공공도서관 시설의 접근성 미확보, 대체자료의 부족 등 여러가지 이유를 들 수 있겠지만, 그 중 가장 주목할 사항은 일선 도서관에서 장애인이용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점이다. 특정 도서관 서비스를 개선하고, 한정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해당 서비스에 투입하기 위해서는 목표이용자 커뮤니티의 요구사항을 면밀히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수요가 높은 서비스 요소를 강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매뉴얼의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은? 정보취약계층으로서 장애인서비스의 중요성을 일선 도서관에 확산시키고, 인식 확산이 실제적인 도서관 서비스 개발로 실체화되기 위해서는 매뉴얼 발간을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하나의 구분된 사업으로 여기기보다는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삼고 매뉴얼을 기반으로 한 후속 사업을 활발히 전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자책 발간, 해설 동영상 제공, 매뉴얼 보급 설명회 개최, 모바일 앱 제공 등 다양한 채널로 매뉴얼의 내용을 보급하고 홍보할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관련 해외 매뉴얼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기존에 부족했던 유용한 내용을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을 중심으로 한 취약계층 정보 서비스 현황은? 2012년 도서관법 개정 이래 도서관의 주요 책무로서 지식정보 취약계층에 대한 지식정보 격차해소를 도서관법 제8장에 명시하여 도서관의 사회적 책무를 강조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나, 장애인을 중심으로 한 취약계층 정보 서비스는 여전히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우리나라 등록장애인 수는 2014년말 기준 약 250만 명에 달하지만, 전국의 공공도서관에 설치된 장애인자료실(코너)은 325개관(35.8%)에 불과한 상황이다(국립중앙도서관 2017). 특히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1관당 노인 및 장애인 열람석수는 2013년에 7.33석, 2014년에 7.28석, 2015년에 7.18석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1 관당 장애인용 특수자료수는 714권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의 지역은 1,000권 미만으로 확인되어 장애인용 특수자료수가 매우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김홍렬 2016). 누구보다 지식정보 접근성이 중요한 취약계층 도서관 인프라는 매우 미약한 상황에 처해 있는 것이다(배경재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wak, Chul-Wan et al. 2009. "A Study of the Model and Program Manual of Public Library Cultural Program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1): 197-208. 

  2.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7. National Library Disability Services Survey.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3. National Library Supporting Center for the Disabled of Korea.National Library of Korea,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09. Manual for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Seoul: National Library Supporting Center for the Disabled of Korea. 

  4. Kim, Hong-Ryul. 2016. "Analysis of Indicators for Information-Poor shown in Library Statis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0(3): 193-214. 

  5. Bae, Kyung-Jae. 2015.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the Standards of the Public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4): 379-400. 

  6. Ahn, In-Ja et al. 2010. "Development of an Operating Manual on the Voluntary Activity to the Library Services with Disabled People in the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1): 131-148. 

  7. Jang, Bo Seong. 2015. "An Analysis on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nd Needs of Hearing Impaired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2(1): 297-316. 

  8. Chung, Yeon-Kyoung and Kim, Sung-Jin. 2008. "A Study on the Library Service Use and Needs of Disabled User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3): 301-323. 

  9. Chung, Jae-Young and Jeong, Hye-Mi. 2010. "Improvement Plan for Library Services Through the Disabled Users' Needs Analysis in University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2): 189-207. 

  10. Hoang, Gum-Sook and Kim, Soo-Kyoung.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anual for 'Reading Classroom' Program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1): 233-251. 

  11. Hoang, Gum-Sook and Lee, Young-Sook. 2012. "A Study on Developing a Manual for User Service of National and Public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9(4): 25-42. 

  12. Borich, G.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1): 39-42. 

  13. Mink, O. G., Shultz, J. M. and Mink, B. P. 1991.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Austin: Somerset Consulting Grou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