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약생산에 의한 기업 주도형 유기낙농단지의 형성: 전라북도 고창군을 사례로
Development of an Organic Dairy Complex by Contract Farming with an Enterprise: A Case Study of Gochang-gun, Jeollabuk-do 원문보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18 no.4, 2015년, pp.522 - 538  

장영진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대규모 유가공업체 매일유업과 전라북도 고창군 낙농가 간 유기농 원유 계약생산을 대상으로, 계약생산이 고창군에서 시작된 배경을 고찰하고, 계약생산의 실제와 계약주체 간 관계를 중심으로 계약생산의 특징을 규명하고, 이로 인해 나타나는 지역 낙농업의 변화를 설명하였다. 사례지역의 유기농 원유 계약생산은 시장개방으로 위기에 처한 기업의 제품 다각화 전략과 고창군의 청정 환경, 그리고 지방정부와 낙농가의 긍정적 태도가 맞물리면서 성립되었다. 고창군의 유기농 원유 계약생산은, 한편으로는 참여 농가의 생산규모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킴에 따라 역내 낙농가 간 생산규모의 격차를 유발하고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계약농가의 유기농가로의 전환을 통해 역내 유기농업의 확산을 가져옴에 따라 관행농업 중심의 계약생산에 대한 일반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how contract farming started in Gochang-gun and identified its characteristics among the contracting parties and the consequent changes in the region's dairy industry with regard to the contract production of organic milk in Gochang-gun, Jeollabuk-do, Kore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이상에서 논의한 내용을 토대로, 고창군 유기농 원유의 계약생산에 주목하고 계약생산의 실제와 지역 농업에 대한 계약생산의 함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을 보면, 첫째, 고창군에서 유기농 원유 계약생산이 시작된 배경을 고찰하고, 둘째, 계약생산의 실제와 계약 주체 간 관계를 중심으로 계약생산의 특징을 살펴보고, 셋째, 그로 인해 나타나는 지역 내 낙농업의 변화를 농가 간 생산규모의 차별화와 지역 농업에서 나타나는 대안적 성격의 강화 양상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 또한 지방정부는 낙농가들과 함께 선진목장(일본 모쿠모쿠 농원)을 방문하여 사전조사를 실시하는 한편, 낙농가 및 기업과 함께 해외 유기 조사료(粗飼料, roughage) 재배현장(중국 흑룡강성, 요녕성)을 방문하여 안정적 유기사료 확보에 기여하고자 했다. 나아가 지방정부는 순수 군비에 의한 재정지원과 농촌활력증진사업을 중심으로 중앙정부의 지원을 이끌어 내어 농가의 사료구입과 유기사료 제조시설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지속하고 있다.
  • 본 연구는 대규모 유가공업체 매일유업과 전라북도 고창군 낙농가 간 유기농 원유 계약생산을 대상으로, 계약생산이 고창군에서 시작된 배경을 고찰하고, 계약생산의 실제와 계약주체 간 관계를 중심으로 계약생산의 특징을 규명하고, 이로 인해 나타나는 지역 낙농업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는 산업국가에서 계약생산 방식이 농업지역에 어떻게 진입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역내 계약농가는 어떻게 새로운 우위를 부여받게 되는지, 그리고 농가의 선택적 참여가 농업지역을 어떻게 재조직해 나가는지를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이상에서 논의한 내용을 토대로, 고창군 유기농 원유의 계약생산에 주목하고 계약생산의 실제와 지역 농업에 대한 계약생산의 함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을 보면, 첫째, 고창군에서 유기농 원유 계약생산이 시작된 배경을 고찰하고, 둘째, 계약생산의 실제와 계약 주체 간 관계를 중심으로 계약생산의 특징을 살펴보고, 셋째, 그로 인해 나타나는 지역 내 낙농업의 변화를 농가 간 생산규모의 차별화와 지역 농업에서 나타나는 대안적 성격의 강화 양상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 계약생산에서는 계약한 품목의 물량과 품질, 가격 그리고 공급 시점에 대한 사전 논의가 이루어지며(Key and Runsten, 1999), 여기에 지역과 품목에 따라 계약기업은 작물 생산에 필요한 투입물을 공급하기도 하고, 생산 기술을 제공하며, 때로는 금융지원을 하기도 한다(Warning and Key, 2002; da Silva, 2005). 사례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계약생산의 실제를 이해하기 위해 계약 내용, 투입물 공급, 인증지도 및 생산관리, 금융지원 그리고 마지막으로 계약농가의 역할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업부문에서 계약생산이란 무엇인가? 농업부문에서 계약생산이란 ‘하류(downstream) 구매자가 불확실성과 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설계한 조직적 행위의 총체’라고 정의된다(Pritchard and Connell, 2011).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계약생산이란 ‘물량, 품질, 가격, 공급시점 등에 대한 상세한 거래 약정, 특정 투입물의 공급 그리고 생산에 대한 통제 등에 의해, 생산을 직접 결정하는 생산자와 구매자 사이의 수직적 조정방식’으로 정의된다(Little and Watts, 1994).
고창군에서 진행되고 있는 계약생산 방식은 무엇인가? 고창군에서 진행되고 있는 계약생산은 어떤 유형으로 자리매김 될 수 있을까? 오늘날 전세계적으로 나타나는 계약생산 방식에는, 민간 기업이 다수의 농가로부터 농산물을 구매하는 방식(contract farming)과 정부기관이나 공기업이 농민들과 계약을 맺는 방식(outgrower scheme), 계약기업이 대농장 또는 플랜테이션을 계약생산과 별도로 직영하는 방식(nucleus-outgrower scheme), 사기업, 공기업 및 해외 원조기관 등 여러 조직이 참여하는 방식(multipartite arrangements), 그리고 생산자와 계약기업 사이에서 중개인의 역할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방식(intermediary model) 등이 있다(Glover and Kusterer 1990; Eaton and Shepherd, 2001). 이 가운데 고창군의 경우에는 민간 기업인 매일유업과 여러 낙농가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전형적인 계약생산 방식으로서 첫 번째 유형에 해당된다.
대규모 농산업체에서 농민과 계약생산을 늘려가고 있는 목적은 무엇인가? 최근 농업지역의 재구조화에서 나타나는 두드러진 특징 가운데 하나는, 대규모 농산업체가 농식품 시스템(agri-food system)의 주요 행위자로 등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들 대규모 농산업체는 농축산물을 조달하기 위해 농민들과 계약생산(contract farming; contract cultivation; contract production)을 늘려나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지역 농민들은 산업적 농식품 시스템에 급속하게 통합되고 있으며, 그 정도는 지역과 품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Boyd and Watts, 1997; Whatmore,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