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기허증으로 진단된 소화불량 환자의 임상적 특징; 위전도 검사를 중심으로
Clinical Features of Electrogastrogram in Dyspeptic Patients with Stomach Qi Deficiency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41 no.3, 2020년, pp.467 - 477  

정해인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  김동윤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  백소영 (경희대학교한방병원 위장소화내과) ,  이하늘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  이현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  조윤재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  하나연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  김진성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taneous electrogastrogram (EGG) and other clinical characteristics of dyspeptic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Stomach Qi Deficiency (SQD) using the Scale for Stomach Qi Deficiency (SSQD). Methods: This study reviewed the clinical records of 38 pati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 본 연구는 위기허증의 진단도구인 위기허 변증설문지 점수와 위 운동장애를 평가하는 위전도 지표의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써 위기허증 환자가 실제로 위 운동장애성 소화불량증을 가지고 있는지, 위기허증의 정도와 위 운동장애의 정도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위기허증은 위의 숙강⋅부숙 작용, 즉 음식을 소화시키는 작용이 약화된 상태이므로, 위 운동장애를 나타내는 환자의 비율이 높을 것이며, 위기허증 점수와 위전도 지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화불량증이란 무엇인가? 소화불량증(Dyspepsia)은 전체 인구의 1년 유병률이 약 25%에 이르는 흔한 증상5으로, 대개 상복부에서 지속적으로 또는 재발성으로 느껴지는 동통이나 불편감을 말한다. 대표적인 증상으로 식후 더부룩함, 조기 포만감, 상복부 통증, 속쓰림 등이 있는데, 이러한 증상들이 3개월 이상 만성적으로 나타나며, 내시경 등의 검사에서 증상을 설명할 만한 이상 소견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를 기능성 소화불량증이라 정의한다17.
위기허 변증설문지(SSQD)의 객관성 확보에 관련한 한계는 무엇인가? 위기허 변증설문지(SSQD)는 위기허 진단에 있어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이나, 아직은 이를 뒷받침할 만한 임상 연구가 미흡한 편이다. 또, 설문지에는 대부분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 평가가 반영되며, 비록 한의사의 복진, 맥진, 설진 소견이 포함되기는 하나, 이 역시 한의사 개인의 주관이 개입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객관성 확보에 한계가 있다.
소화불량증으로 어떠한 증상들이 있나? 소화불량증(Dyspepsia)은 전체 인구의 1년 유병률이 약 25%에 이르는 흔한 증상5으로, 대개 상복부에서 지속적으로 또는 재발성으로 느껴지는 동통이나 불편감을 말한다. 대표적인 증상으로 식후 더부룩함, 조기 포만감, 상복부 통증, 속쓰림 등이 있는데, 이러한 증상들이 3개월 이상 만성적으로 나타나며, 내시경 등의 검사에서 증상을 설명할 만한 이상 소견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를 기능성 소화불량증이라 정의한다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ommittee of Digestive Diseases, National Korean Medicine College. Gastroenterology. Seoul: Koonja publisher; 2009, p. 67-9. 

  2. Lee JH, Park JW, Ko SJ, Kim J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pattern identification scale for Stomach Qi Deficiency. European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2018;17:56-63. 

  3. Haa SY, Kim MY, Park YJ, Park YB. A review on Recent Study of Electrogastrography - for Oriental Medical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2006;10(2):5-66. 

  4. Haa SY, Kim MY, Park YJ, Park YB.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gastrography according to the heat-cold patternizati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2008;12(1):131-41. 

  5. Ryu JM, Lim JH, Han SY, Jang SY, Lee HK, Lee JS, et al. The Usefulness of Electrogastrography o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Deficiency or Excess Condition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04;25(4):346-55. 

  6. Jeong HD, Kim JS, Ryu BH, Ryu KW, Yoon SH. Relationship between Gastric Motility and Health Condition Graded by Total Symptom Scores in Comprehensive Diagnosis of Qui Xue Shui in Functional Dyspeptic Patients. Korean J Orient Int Med 2004;25(4):158-66. 

  7. Kim SH, Park YB, Park YJ, Oh HW. Co-relation between Questionnaire for Buzhongyiqi-Tang and Electrogastrograph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2009;13(2):34-44. 

  8. Nam SW, Park JW, Kim J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tomach Qi Deficiency Pattern and Gastric Emptying Measured by Abdominal Ultrasonography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18;39(3):405-25. 

  9. Yin J, Chen JDZ. Electrogastrography: Methodology, Validation and Applications. J Neurogastroenterology Motility 2013;19(1):5-17. 

  10. Koch KL, Stewart WR, Stern RM. Effect of barium meals on gastric electromechanical activity in man. A fluoroscopic-electrogastrographic study. Dig Dis Sci 1987;32(11):1217-22. 

  11. Kim SW, Kim TH, Choi SC, Nah YH. Clinical Correlation between Scintigraphic Measurement of Gastric Emptying and Electrogastrography in Dysmotility Like Functional Dyspepsia.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01;37(4) :240-6. 

  12. Parkman HP, Hasler WL, Barnett JL, Eaker EY. Electrogastrography: a document prepared by the gastric section of the American Motility Society Clinical GI Motility Testing Task Force. Neurogastroenterol Motil 2003;15(2):89-102. 

  13. Department of Physiology. National Korean Medicine College. Oriental Medical Physiology. Seoul: Jipmoondang publisher; 2008, p. 258-62. 

  14. Park YI, Kang YW. The Changes of Electrogastrographic Findings and Gastric Fullness before and after Rice Soup in Patients with Dysmotility-like Functional Dyspepsia.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1998;32(6):709-16. 

  15. Choi IT, Nah YH. Effect of Meal on Electrogastrogram.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1988;43(4):527-32. 

  16. Sha W, Pasricha PJ, Chen JD. Rhythmic and spatial abnormalities of gastric slow waves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Journal of Clinical Gastroenterology 2009;43(2):123-9. 

  17. Kim YS, Rhu BH, Kim JS, Hong IA, Park YS, Jung YJ, et al. Changes in Multi-channel Electrogastrography after Acupuncture Treatment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2010;24(1):152-7. 

  18. Baek SY, Hwang MN, Ko WH, Kim DY, Lee HN, Jeong HI, et al. Comparison of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ccording to Globus Sensation.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2019;40(3) :287-94. 

  19. Lim DJ, Hwang GH, Hwang JS, Cho HS, Kim KH, Kim KS. Study of the Relation of Autonomic Nerve System and Peripheral Facial Palsy by the Heart Rate Variability.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05;22(6):51-60. 

  20. Choi WS. Heart Rate Variability and the Measurement of Stress. Korean J of Stress Research 2005;13(2):59-6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