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백두대간 할미봉과 구시봉 일대의 관속식물상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of Halmibong(Mt.) and Gusibong(Mt.) located in Baekdu trail of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9 no.6, 2015년, pp.819 - 841  

박삼봉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안종빈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박정근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김진중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하현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김봉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추갑철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백산맥 중 덕유산과 백운산의 사이에 위치한 할미봉(1,026m)과 구시봉(1,014m)을 대상으로 주요 관속식물상을 파악하여 주요식물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와 보전 및 그 일대 식물자원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현지조사는 2013년 3월부터 2014년 3월까지 계절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경로는 계곡부, 능선부, 사면부 등을 포함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할미봉과 구시봉 일대에서 출현한 관속식물은 총 95과 287속 454종 4아종 59변종 11품종 528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희귀식물은 EN등급(위기종) 1분류군(흰참꽃나무), VU등급(취약종) 2분류군(쇠채, 솔나리), LC등급(약관심종) 12분류군(구상나무, 매미꽃, 태백제비꽃 등) 총 10과 14속 13종 2변종 1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특산식물은 처녀치마 등 15분류군이 나타났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V등급은 승마 등 2분류군, IV등급은 개대황 등 6분류군, III등급은 거제수나무 등 12분류군이 각각 출현하여 I등급부터 V등급까지 총 32과 52속 58종 1아종 2변종 61분류군이 출현하였다. 귀화식물소리쟁이, 족제비싸리, 선개불알풀 등 23종이 출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growing at Halmibong(1,026m) and Gusibong(1,014m) in Baekdutrail, we surveyed from March in 2013 to March in 2014. The flora of Haimibong and Gusibong in Baekdu trail were found to be; 528 taxa; 95 families, 287 genus, 454 species, 4 subspecies, 59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연구는 주로 덕유산과 남덕유산 일대를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고, 백두대간에서 덕유산의 인근 산지인 육십령과 할미봉, 구시봉 일대를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는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백두대간의 덕유산국립공원 인근 산지인 구시봉, 할미봉, 남덕유산 지역을 대상으로 관속식물을 파악하여 식물지리학적 분포의 특성 및 귀화식물에 의한 생태계 교란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생태축인 백두대간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백두대간의 덕유산국립공원 인근 산지인 구시봉, 할미봉, 남덕유산 지역을 대상으로 관속식물을 파악하여 식물지리학적 분포의 특성 및 귀화식물에 의한 생태계 교란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생태축인 백두대간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두대간의 대간이라는 용어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사용했던 문헌은 무엇인가? 그 길이는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지리산까지 1,400㎞에 이르고, 남한의 백두대간은 향로봉에서 지리산 천왕봉까지 약 680㎞로 한반도 생태축이며, 생물다양성의 보고이다(Korea Forest Service, 2008). 백두대간의 대간이라는 용어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사용했던 문헌은 이중환의 “택리지(1751)”이고, 1770년경 신경준의 ‘산경표’를 통해 백두대간에 대한 산맥 체계 등을 체계화 하였다(Kwon, 2004). 백두대간에 관련된 연구는 1990년대부터 활발히 진행되었고, 초기에는 정부, 시민단체, 학계 등에서 우리나라 산줄기 및 지리 인식체계 확립, 백두대간의 개념형성 과정에 대한 연구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Cho et al.
백두대간의 특징은 무엇인가? 백두대간은 한반도의 큰 강을 포함한 주요 하천의 발원지이고, 유라시아 대륙의 이동통로로서 북방계 및 남방계 식물이 분포하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산림자원의 보고이다(Seo, 2012). 그 길이는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지리산까지 1,400㎞에 이르고, 남한의 백두대간은 향로봉에서 지리산 천왕봉까지 약 680㎞로 한반도 생태축이며, 생물다양성의 보고이다(Korea Forest Service, 2008).
할미봉과 구시봉이 위치하는 경남 함양군의 2013년 기준 기상개황은 어떻게 되는가? 할미봉과 구시봉은 능선을 기준으로 행정구역상 경남 함양군과 전북 장수군으로 구분되어져 있다. 2013년 기준, 능선의 남동사면인 경남 함양군의 기상개황은 평균기온 12.8℃, 평균 최고기온 19.6℃, 최고극값 36.9℃, 평균 최저기온 7℃, 최저극값 -13.9℃, 강수량 1,096.2㎜, 상대습도 74%, 평균풍속 1.4㎧이다(Hamyang-gun,2014). 능선의 북서사면인 전북 장수군의 기상개황은 평균기온 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 G.H.(2014) The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from Yuksibryeong to Gusibong in Baekdudagan. Master thesis, Univ. of Gyeongnam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pp. 14-4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 H.S., S.D.Lee and M.J. Kim(2012) Vegetation Structure of Jeolgu Valley in the Nakdong-Jeongmaek. Kor. J. Env. Eco. 26(5): 770-779(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Hamyang-gun(2014) Statistical Year Book of Hamyang. Hamyang-gun, Gyeongnam, pp. 55-56(in Korean). 

  4. Han, S.H.(2013) A study of the Flora and Forest vegetation Classification of Hyangjeukbong to Jungbong in Subalpine Zone of Deoyusan National Park. Master thesis, Univ. of Kongju, Korea. pp. 13(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Jangsu-gun(2014) 2014 Jangsu Statistical Yearbook. Jangsu-gun, Jeonbuk, pp. 24-25(in Korean). 

  6. Kim, C.H.(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I. Selection of Plant Taxa -. J. Kor. Environ. Biol. 18(1):163-198 (in Korean). 

  7. Koh, K.S., I.G. Kang, M.H. Suh, J.H. Kim, K.D. Kim, J.H. Kil, H.I. Rhu, D.S. Kong, E.B. Lee and E.S. Chun. 1995.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s(I)- Naturalized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pp. 1-74 (in Korean). 

  8. Korea Forest Service(2008) Forest Policy White Book. pp. 334(in korean). 

  9. Korea National Arboretum(2009) Rare Plants Data Book of Korea. Geobook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332 (in Korean). 

  10. Korea National Arboretum(2013)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http://www.nature.go.kr/kpni/ 

  11. Korean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Korea. p. 399 (in Korean). 

  12. Kwon, T.H., S.H. Choi and K.J. Yoo(2004) Establishing the Managerial Boundary of the Baekdu-daegan(II): In the case of Semi-mountainous Distric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Kor. J. Env. Eco. 7(1): 62-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D.H., D.P. Jin, J.H. Lee, I.S. Choi and B.H. Choi(2013) Floristic study of Mt. Namdeogyu. Korean J. Pl. Taxon. 43(1): 69-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T.B.(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yangmunsa, Seoul, pp 914, 910 (in Korean). 

  15.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 87-1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Y.N.(2006) New Flora of Korea. Vol. I,II. Gyohaksa, Seoul, pp. 975, 885 (in Korean). 

  17. Lim, D.O.(2003) Vascular Plants of Mountain Ridge from Cheonwangbong-Hyangjeokbong Section in the Baekdudaegan. Kor. J. Env. Eco. 16(4): 359-3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Melchior, H.(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Berlin, Germany. pp. 1-666. 

  19. Ministry of Environment(2015) http://www.me.go.kr/ 

  20. Oh, B.U., D.G. Cho, K.S. Kim and C.G. Jang(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p. 205 (in Korean). 

  21. Park, K.W., Y.H. Kwon, K. Choi, S.H Oh, D.K. Kim, J.H. Tho, K.H. Tae and J.H. Kim(2005) A Floristic Study on the Economic Plants of Deogyusan National Park Area. Korean J. Plants Res. 18(1): 32-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Park, S.H.(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pp 559 (in Korean). 

  23. Seo, D.J.(2012) A study on Phenology and Growth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the Baekdudaegan Area. Ph. D. thesis, Univ. of Gyeongsang, Korea. pp. 1(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Yim, K.B., Y.S. Kim, S.H. Chun and J.I. Jeon(1994) Floristic Study on Tokyu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7(2): 91-103(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Yim, Y.J. and E.S. Jeon.(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J. Plant Biol. 23: 69-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