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2 no.4, 2008년, pp.356 - 395
이혜정 (강원대학교 생물학과) , 한준수 (강원대학교 생물학과) , 이우철 (강원대학교 생물학과) , 유기억 (강원대학교 생물학과)
The flora and vegatation of the Southwest Chuncheon area were investigated from March, 2006 to September, 2007.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914 taxa; 111 families, 448 genera, 766 species, 2 subspecies, 119 varieties, and 27 forma. Among the investigated 914 taxa, 33 Korean endemic, four ...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처음으로 춘천지역에 대한 식물의 조사가 이루어진 것은? | 춘천지역은 양평군, 가평군, 화천군, 인제군, 홍천군과 인접해 있으며, 춘천의 봉의산을 중심으로 북쪽으로는 오봉산(779m)과 용화산(878m), 동쪽으로는 대룡산(899m)과 가리산(1051m), 남쪽으로는 금병산(652m)과 팔봉산(302m), 그리고 서쪽으로는 삼악산(654m), 북배산(867m), 화악산(1469m) 등의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를 말한다(이우철과 이기의, 1979). 춘천지역에 대한 식물의 조사는 1923~1926년에 화악산에 분포하는 수목의 수직분포가 밝혀진 것이 처음(정태현과 이우철, 1965)이며, 그 뒤 대룡산(이우철과 전상근, 1975), 삼악산과 중도(이우철과 정현배, 1976), 가리산(이우철, 1977), 화악산(이우철 등, 1991)의 관속식물상이 밝혀졌다. 춘천지역 전체에 대한 식물조사 연구는 이우철과 이기의(1979)에 의해 춘천인근지역 10개 지역에 대한 관속식물과 식생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진바 있다. | |
(이우철과 이기의, 1979)에 따르면 춘천지역은 정확히 어느 지역을 말하는가? | 춘천지역은 양평군, 가평군, 화천군, 인제군, 홍천군과 인접해 있으며, 춘천의 봉의산을 중심으로 북쪽으로는 오봉산(779m)과 용화산(878m), 동쪽으로는 대룡산(899m)과 가리산(1051m), 남쪽으로는 금병산(652m)과 팔봉산(302m), 그리고 서쪽으로는 삼악산(654m), 북배산(867m), 화악산(1469m) 등의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를 말한다(이우철과 이기의, 1979). 춘천지역에 대한 식물의 조사는 1923~1926년에 화악산에 분포하는 수목의 수직분포가 밝혀진 것이 처음(정태현과 이우철, 1965)이며, 그 뒤 대룡산(이우철과 전상근, 1975), 삼악산과 중도(이우철과 정현배, 1976), 가리산(이우철, 1977), 화악산(이우철 등, 1991)의 관속식물상이 밝혀졌다. | |
춘천 남서부지역의 식물상과 식생을 2006년 3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조사한 본 연구의 결과는? | 춘천 남서부지역의 식물상과 식생을 2006년 3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111과 448속 766종 2아종 119변종 27품종으로 총 914분류군이 자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914분류군 중 특산식물은 33분류군이며, 희귀식물과 멸종위기 식물은 각각 26분류군과 4분류군이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152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귀화식물은 46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생활형 조성은 H-R5-D1-e type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914종류의 용도는 식용이 308종류(33.7%)로 가장 높았고 약용 276종류(30.2%), 목초용 148종류(16.2%), 관상용 127종류(13.9%), 목재용 36종류(3.9%), 섬유용 25종류(2.7%), 그리고 공업용이 4종류(0.4%)로 나타났다. 식생분석결과 춘천 남서부 지역의 식생은 5개의 군집, 즉 거제수나무-고로쇠나무 군집, 신갈나무 군집, 신갈나무-굴참나무 군집, 신갈나무-떡갈나무 군집, 그리고 소나무 군집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강원도(1997) 강원도 환경종합계획. 강원도, 436쪽
고강석, 강연구, 서민환, 김정현, 김기대, 길지현, 유형일, 공동수, 이은복, 전의식(1995) 귀화생물에 의한 생태계 영향 조사(I)-귀화식물분야. 국립환경연구원, 215쪽.
김영동, 이진형(1998) 화악산(가평.춘천)과 인근산지의 식물상(환경부,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73-146), 환경부
백원기(1994) 한국특산식물의 실체와 분포조사. 한국자연보존협회 연구보고서 13: 5-84
산림청(1996) http://www.nature.go.kr/
산림청(2005) http://www.nature.go.kr/
송종석(1997) 식물상(국립공원관리공단, '주왕산 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보고서' 57-135), 국립공원관리공단
유기억, 장수길, 김미나(2004) 식물상(국립공원관리공단, '오대산 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보고서' 151-192), 국립공원관리공단
유기억, 장수길, 이혜정(2006) 식물상(국립공원관리공단, '치악산 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보고서' 81-94), 국립공원관리공단
이영노(2006a) 새로운 한국식물도감 I. 교학사, 서울, 975쪽
이영노(2006b) 새로운 한국식물도감 II. 교학사, 서울, 885쪽
이우철(1977) 가리산의 식물상. 강원대학교 논문집 11(자연과학편): 227-241
이우철(1996a)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서울, 1688쪽
이우철(1996b)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624쪽
이우철(2005) 한국 식물명의 유래. 일조각, 서울, 726쪽
이우철, 백원기, 장근정(1991) 경기도 동북부지방의 식물상. 임양재 교수 정년기념 논문집 1: 37-79
이우철, 이기의(1979) 한국식물자원의 분류학적 연구 -춘천지역 식물상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논문집 13: 193-239
이우철, 임양재(2002) 식물지리. 강원대학교 출판부, 춘천, 412쪽
이우철, 전상근(1975) 대룡산의 식생. 강원대학교 연구논문집 9: 309-324
이우철, 정현배(1976) 삼악산 및 중도의 식물상. 식물분류학회지 7(1): 1-20
이창복(1976) 한국의 관속식물과 유용도. 서울대 관악수목원 연구보고(1), 서울, 137쪽
이창복(2003a) 원색대한식물도감 (상). 향문사, 서울, 901쪽
이창복(2003b) 원색대한식물도감 (하). 향문사, 서울, 914쪽
임양재, 전의식(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식물학회지 23(3):69-83
정연숙, 노찬호(1998) 가평.춘천지역의 식생(환경부, '전국자연환경조사보고서' 147-178), 환경부
정태현(1956) 한국식물도감 (하). 신지사, 서울, 589쪽
정태현(1957) 한국식물도감 (상). 신지사, 서울, 1154쪽
정태현, 이우철(1965) 한국산림식물대 및 적지적수론. 성균관대 논문집 10: 329-435
한국양치식물연구회(2005) 한국양치식물도감. 지오북, 서울, 399쪽
환경부(2005) http://alienplant.nier.go.kr/
환경부(2006) 제3차 전국 자연환경 조사지침 -특정식물종을 포함한식물상. 76쪽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3. Aufl. Springer, Wien, New York, 865pp
Huang, C., Zhang, Y., and B. Bartholomew(1999) Fagaceae. In Flora of China. Vol. 4. Cycadaceae through Fagaceae. Wu, Z-Y. and P. H. Raven (eds.), Science Press, Beijing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St. Louis. pp. 314-400
Kubitzki, K.(1993) Fagaceae. In The Families and Genera of Vascular Plants. Vol. II. Flowering Plant. Dicotyledons: Mongoliid, Hamamelid and Caryophyllid Families
Melchior, H.(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Gebruder Borntraeger. Berlin. II Band, 666pp
Melchior, H. and E. Werderman(195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Gebruder Borntraeger. Berlin. I Band, 367pp
McCune and Grace(2002) Analysis of Ecological communities. PC-Ord version 5
Nixon, K. C. (1997) Fagaceae. In Flora of North America. Vol. 3. Magnoliophyta: Magnoliidae and Hamamelidae. Flora of North America Editorial Committe (ed.),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436-506
Numata, M. (1970) Illustrated plant ecology (in Japanese). Ashakura Book Co. Tokyo, pp. 33-43
Raunkiaer, C.(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Univ. Press, London, 623pp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