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문턱값과 추세분석을 이용한 지하수 수질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
Suggestion of a Groundwater Quality Management Framework Using Threshold Values and Trend Analysis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20 no.7, 2015년, pp.112 - 120  

안현실 (전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진성욱 (전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이수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현윤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윤희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김락현 (한국환경공단 토양지하수처)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atistical trend analysis using the data from the National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NGQMN) of Korea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new groundwater quality management framework. Sen’s test, a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for trend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linear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기존의 단순한 지하수 수질 기준의 초과여부에 따른 규제 관리제 형태의 지하수 수질 관리체계와는 별도로 환경기준과 같이 목표 관리제 측면의 새로운 지하수 수질 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수질전용측정망 자료를 적용하여 제시한 방법론을 토대로 새로운 지하수 수질 관리체계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Fig.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하수수질전용측정망 자료를 활용하여 추세분석을 실시하였고 추세분석 결과와 국내 지하수 수질의 배경농도를 반영한 문턱값을 토대로 새로운 지하수 수질의 평가 및 관리 체계를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따라서 국내 지하수의 배경농도를 반영한 문턱값과 통계적인 기법을 통한 추세분석을 함께 반영하는 지하수 수질평가체계에 대한 연구 및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하수수질측정망 자료에 추세분석을 적용하여 새로운 수질 평가체계의 방법론을 제시하고 국내 지하수 수질의 문턱값과 추세분석의 개념을 토대로 한 지하수 수질관리체계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 평가된 추세는 문턱값을 기준으로 초과와 미초과로 분류하고 ‘증가 추세’의 경우에는 문턱값의 75%을 기준으로 재분류하여 오염 진행의 정도를 구분한다. 위의 절차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수질의 등급체계 및 조치사항을 제안하고자 하였다(Fig. 5). 지하수수질은 일차적으로 문턱 값을 기준으로 ‘나쁨(Poor)’과 ‘좋음(Good)’으로 나뉘고 지하수 수질의 추세에 따라 등급화되어 각각 ‘사용자 (User)’와 ‘국가(Government)’ 차원의 조치사항을 갖는다.

가설 설정

  • 먼저 시간에 따른 농도의 변화추세를 식 (1) 과같은 선형의 방정식으로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n, Y.-J., Nam, S.-H., and Jeong, S.-W., 2014, Establishment of non-drinking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general contamination substances, J. Soil Groundw. Environ., 19(6), 24-29. 

  2. EC, 2000, Directive 2000/60/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3 October 2000 establishing a framework for community action in the field of water policy. 

  3. EC, 2006, Directive 2006/118/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2 December 2006 on the protection of groundwater against pollution and deterioration. 

  4. EC, 2008, Directive 2008/32/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1 March 2008 amending Directive 2000/ 60/EC establishing a framework for community action in the field of water policy, as regards the implementing powers conferred on the commission. 

  5. EC, 2009, Common implementation strategy for the water framework directive (2000/60/EC) Guidance document No. 18 Guidance on groundwater status and trend assessment. 

  6. EPA, Ireland, 2010, Methodology for Establishing Groundwater Threshold Values and the Assessment of Chemical and Quantitative Status of Groundwater, Including an Assessment of Pollution Trends and Trend Reversal. 

  7.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3,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Background Levels in Groundwater and Improvement of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I). 

  8. Kim, K.H., Yun, S.T., Kim, H.K., and Kim, J.W., 2015, Determination of natural backgrounds and thresholds of nitrate in South Korean groundwater using model-based statistical approaches, J. Geochem. Explor., 148, 196-205. 

  9. Kim, G.B., Choi, D.H., Yoon, P.S., and Kim, K.Y., 2010, Trends of groundwater quality in the areas with a high possibility of pollution, J. Korea Geo-Environ. Soc., 11(3), 5-16. 

  10. Lee, J.Y, Yi, M.J, Lee, J.M., Ahn, K.H., Won, J.H., Moon, S.H., and Cho, M.J., 2006,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trend analysis of groundwater data obtained from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stations, J. Soil Groundw. Environ., 11(2), 56-67. 

  11. Mendizabal, I., Baggelaar, P.K., and Stuyfzand, P.J., 2012, Hydrochemical trends for public supply well fields in the Netherlands (1898-2008), natural backgrounds and upscaling to groundwater bodies, J. Hydrol., 450-451, 279-292. 

  12. Ministry of Environment, 2013a, Establishment of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s and Groundwater Monitoring Plan.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13b, Groundwater Quality Measurement Network Operating Result. 

  14. Nam, S.H., Lee, W.M., Jeong, S.W., Kim, H.J., Kim, H.K., Kim, T.S., and An, Y.J., 2013, Comparative study of groundwater threshold values in European Commission and member states for improving management of groundwater quality in Korea, J. Soil Groundw. Environ., 18(3), 23-32. 

  15. Salmi, T., Määttä, A., Antilla, P., Ruoho-Ariola, T., and Amnell, T., 2002, Detecting trends of annual values of atmospheric pollutants by the Mann-Kendall test and Sen’s slope estimates -the Excel template application MAKESENS, Finnish Meteorological Institute, Helsinki. 

  16. Yea, Y.D., Seo, Y.G., Kim, R.H., Cho, D.J., Kim, K.-S., and Cho, W.-S., 2014, A study on estimating background concentration of groundwater for water quality assessment in non-water supply district, J. Korean Soc. Water Wastewater, 28(3), 345-358. 

  17. Yoon, H.S., Bae, G.O., and Lee, K.K., 2012, Qua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groundwater quality grade by using statistical approaches, J. Soil Groundw. Environ., 17(1), 22-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