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를 이용한 정신의료기관의 공간적 접근성 분석 - 강원도지역을 대상으로
Analysis on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Mental Health Institutions Using GIS in Gangwon-Do 원문보기

병원경영학회지 =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v.23 no.2, 2018년, pp.28 - 41  

박주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행정학과) ,  박영용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행정학과) ,  이광수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mental health institutions in Ganwon-Do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Methodology: Network analysis was applied to assess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mental health institutions in Gangw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서 이루어진 의료기관 접근성에 관한 연구는 응급실의 접근성 혹은 분만 등 응급의료에 대한 연구가 다수였으며, 정신질환을 다루는 의료기관의 접근성을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질환 관련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에 대한 접근성을 실제 도로망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정신보건법에 따르면 정신의료기관이란 의료법에 따른 의료기관 중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된 병원(정신병원) 또는 의원, 병원급 의료기관에 설치된 정신건강 의학과로서 기준에 적합한 기관을 의미한다[20]. 본 연구 에서는 우리나라 정신보건시설 중 실질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신의료기관을 대상으로 공간적 접근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하여 강원도 지역의 정신의료기관의 공간적 접근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지리정보서비스(Statistic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에서 제공하는 2015년 전국 행정구역 지도 자료를 이용하여 강원도 지역의 지도를 추출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정신건강증진사업을 담당하는 기관들 중 진단, 의약품 처방 등 실질적인 의료서비스를 담당하는 정신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실제 도로망자료를 이용해 공간적 접근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정신의료서비스에서도 공간적 접근성에 지역 간 변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보건의료분야에서 정신질환의 문제는 점차 확산되고 있으며, 정신의료기관의 공간적 접근성을 향상 시키는 것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개선방안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종별에 따른 정신의료기관의 공간적 접근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고성군, 양구군, 인제군, 평창군, 화천군, 철원군 등의 지역은 다른 지역에서보다 접근성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둘째, 강원도 내 읍·면·동의 중심점을 기준으로하여 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정신의료기관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 수준을 평가한다. 셋째, 정신의료기관의 접근성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접근성이 취약한 지역을 파악하고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HO는 정신질환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WHO(World Health Organization)는 정신질환을 모든 국가에서 인권과 사회·경제적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으며, 정실질환 문제의 중요성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2017년을 기준으로 전세계에서 주요 정신질환 중 우울증은 약 3억 명, 조울증은 약 6천만 명, 조현병은 약 2100만 명의 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1].
정신의료기관의 접근성 개념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보건의료분야에서 접근성 개념은 환자로부터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까지의 이동거리 및 소요시간을 의미하는 공간적 (spatial) 접근성 개념과 환자의 재정적 (financial) 능력, 문화적인 요소를 의미하는 비공간적 (aspatial) 접근성으로 구분되고 있다[12]. 이중 공간적 접근성에 대한 연구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해 국내·외에서 다수 이루어졌다.
2017년을 기준으로 전세계에서 주요 정신질환 환자 수는 어떻게 추정되는가? WHO(World Health Organization)는 정신질환을 모든 국가에서 인권과 사회·경제적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로 인식하고 있으며, 정실질환 문제의 중요성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2017년을 기준으로 전세계에서 주요 정신질환 중 우울증은 약 3억 명, 조울증은 약 6천만 명, 조현병은 약 2100만 명의 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1]. 우리나라에서도 정신질환 유병률은 매우 높은 것으로 집계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World Health Organization. Mental disorders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cited 2018 Feb 1].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96/en/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ne in four adults, suffering mental illness more than once in their lifetime [Internet]. Sejong-si: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ited 2018 feb 1].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49&CONT_SEQ339117 

  3. Shin HS. Estimation of disease burden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96 

  4.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2004 Update. Geneva. 

  5.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s. Mental Health Field R&D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 Chungju: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s; 2014 [cited 2018 Feb 24]. Available from: https://www.khidi.or.kr/fileDownload?titleId101682&fileId1&fileDownTypeC¶mMenuIdMENU01435 

  6. Kim KH, An IS. Affecting Factors for Continuing Outpatient Care After Inpatient Care for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in Korea: A Population-based.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5;35(4):116-130 

  7. Kim JE, Moon JJ, Kim MH, Kim WJ, Park MK, Song TH, et al. Effects of Psychoeducation Program on Insight and Treament Attitude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chizophreniform Disorder, and Schizoaffective Disorder. Clinical psychopharmacology and neuroscience 2010;21:87-94. 

  8. Lee HS, Lee KS, Koo JW, Park SC. Suicid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A Review on the Findings of Recent Studies. Korean J Schizophr Res 2015;18(1):5-9. 

  9. Lee EJ, Moon KJ, Lee KS. Effects of Spatial Accessibility on th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for an Internal Medicine of a Hospital.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6;26(3):223-241. 

  10. Perkins, Diana O. Predictors of noncomplianc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2002;63(12):1121-1128 

  11. Ngui AN, Alain V. Assessing spatial accessibility to mental health facilities in an urban environment. spatial and spatio-temporal epidemiology 2012;3(3):195-203. 

  12. Mark F. G. Spatial accessibility of primary care: concepts, methods and challenge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Geographics 2004;3(3). 

  13. Yang BY, Hwang CS. Thinking about the Equity for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2005;5(1):7-14. 

  14. Nam KW, Kim JG.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Busa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007;10(1):113-123. 

  15. Kwon P, Lee YM, Huh Y, Yu KY. Rearranging Emergency Medical Service Region Using GIS Network Analysis - Daejeon Metropolitan City Case Stud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015;23(3):11-21. 

  16. MR McGrail, JS Humphreys. Spatial access disparities to primary health care in rural and remote Australia. Geospatial Health 2015;10(358):138-143. 

  17. T Naruse, H Matsumoto, M Fujisaki-Sakai, S Nagata. Measurement of special access to home visit nursing services among Japanese disabled elderly people: using GIS and claim data.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2017;17(1):377-384. 

  18.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2016 National Mental Health Statistics_Pilot Study. 

  19. Jeon JA, Lee NH, Kim JH. Recent Changes in Mental Health Policy in Korea. Health Welf Policy Forum 2017;246:51-63. 

  20. Act on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nd the Support for Welfare Services for Mental Patients, Law No. 3(May 30, 2017) 

  21. Lee HY, Sim J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2nd ed. Paju: Bomunsa; 2011. 

  22. Lee IJ. Golden time Banyeounghae eungeupuiryo chwiyakji jijung [Determination of areas vulnerable to emergency medical treatment based on Golden time]. joongangilbo. 2017 Jan 13. 

  23. A dos Anjos Luis, P Cabral. Geographic Accessibility to Primary Healthcare Centers in Mozambique. International Journal for Equity in Health 2016;15(1):173-185. 

  24. Choi SY, Lee KS.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Women in Childbearing Age for Delivery Services in Gangwon-do.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7;27(3):229-240. 

  25. Lee GS, Lee JS, Hong SJ, Chun BJ. Spatial Implications of Euclidean Distance on the Service Use in Oriental Medicine Hospital. The Korean J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0;4(2):23-31. 

  26. Shin HS, Lee SH. Factors Affecting Spatial Distance to Outpatient Health Services.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1;21(1):23-43. 

  27. Fortney J, Rost K, Warren J. Comparing Alternative Methods of Measuring Geographic Access to Health Services. Health Serv Outcomes Res Methodol 2000;1(2):173-184. 

  28. Gibson J, Deng X, Boe-Gibson G, Rozelle S, Huang J. Which households are most distant from health centers in rural China? Evidence from a GIS network analysis. GeoJournal, 2011;76(3):245-255. 

  29. Cinnamon J, Schuurman N, Crooks V. A. A method to determine spatial access to specialized palliative care services using GIS.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2008;8(1):140-150. 

  30. Oh YH. Status of Health Care Facilities Supply. Health Welf Issue&Focus 2010;33. 

  31. Lee HJ, Cho KS, Yoon JH, Park HS. Factors Associated with Self-Reported Depression, Diagnosis, and Treatment among Korean Adults. Korean J Health Promot 2014;14(1):9-16. 

  32. Cho HJ. Equity in Health Care: Current Situation in South Korea. J Korean Med Assoc 2013;56(3):184-194. 

  33. Kwak SS. Jeongongeui hwoakboyul, Sanbuingoa, Hyungbuoigwa dasi gamsose [Rate of resident application is decreasing again in obstetrics, gynecology and cardiothoracic surgery]. Cheongnyeonuisa. 2017 Mar 2. Available from :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39520 

  34. Seoul Mental Health Statistics. Mental health at a glance[Internet]. Seoul: Seoul Mental Health Statistics; 2018 [cited 2018 Feb 1]. Available from: http://seoulmentalhealth.kr/about/trend1.jsp 

  35. Kim DJ. Health Resources Distribution policy: based on the case of France. Health welf Issue&Focus 2013;199. 

  36. World Health Organization. Mental health policy, planning & service developmen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cited 2018 Feb 2].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ental_health/policy/services/en/ 

  37. Park KM, Lee SM, Roh SW, Seo YJ, Choi WS, Hwang TY. A Study to Investigate the Medium-and Long-Term Developmental Directions of Mental Hospital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4;53(2):99-113. 

  3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Mental health Service Guidance. Sejong-si: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ited 2018 feb 1]. Available from :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 

  39. Dong JY, Lee GS. A Study on the Spatial Accessibility to the Psychiatry Department in General Hospital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Visit of Mental Patients.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7;27(4):312-323. 

  40. Wonjusi Mental Health center. Business information[Internet]. Wonju: Wonjusi Mental Health center; 2018 [cited 2018 Feb 2]. Available from: http://loveme.yonsei.kr/user_sub.php?pagecode01_02_01_04_00 

  41. Kim HJ, Cho SC, Kim JW, Kang JW, Shin MS, Kim HW et al. The Effectiveness of Mental Health Problems Screening and Treatment Linkage in Children & Adolescents : Community Based Study Focused on ADHD and Depression. J Korea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09;20(3):129-139. 

  42. Lim YJ, Jang YJ, Chai CG. A study on the Standards of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 Focused on th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in Seoul. Youth Facility & Environment 2017;15(1):119-127. 

  4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Community Integrated Health Promotion Business Guidance[Internet]. Sejong-si: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ited 2018 feb 1].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38191&page1 

  44. Kim DJ. Remote Medical Promotion Status and Implications-Focused on USA and Japan. Health Welf Issue&Focus 2015;270. 

  45. Hilty D.M, Ferrer D.C, Parish M.B, Johnston B, Callahan E.J, Yellowlees P.M. The efeectiveness of telemental health: a 2013 review. Telemedicine and e-Health 2013;19(6):444-454. 

  46. Garcia-Lizana F, Munoz-Mayorga I. Telemedicine for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 Perspectives in Psychiatric care 2010;46(2):119-126. 

  47. A Mehrotra, Huskamp H.A, Souza J, Uscher-Pines L, Rose S, Landon B.E et al. Rapid Growth in Mental Health Telemedicine Use Among Rural Medicare Beneficiaries, Wide Variation Across States. Health Affairs 2017;36(5):909-917. 

  48. Chan W, Lee SH, Kim CB, Kim KK. A Comparative Study on the Telehealth Regulations between U.S.A, Austrailia and Japan for Developing the Korean Telehealth System. Korean J Med Law 2010;18(1):80-104. 

  49. Kim HK. 'Smart Phoneeuro jinchal badayo' ilboneseo wongyeokuiryo hwaksan [I get medical care using Smart phone, Telemedine is growing]. Joongangilbo. 2017 Agu 13. 

  50. CADTH Rapid Response Reports. Telehealth Services for the Treatment of Psychiatric Issues: Clinical Effectiveness, Safety, And Guidelines. Canadian Agency for Drugs and Technologies in Health 2015. 

  51. Kim JS, Oh SH, Choi JW, Kim SY. Current Status of State Telemedicine Policy in the United State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J Korean Med Assoc 2015;58(10):923-932. 

  52. Chung SD, Lee MW, Park CR, Lim JS.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on Mental Health Literacy Using Andersen and Newman's Model: A Comparison between Older Adults and other Age Groups. Korean J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2016;71(3):193-2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