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디용 뽕나무 시설재배 수형별 뽕잎생산량과 누에 사육량 분석
Analysis of Mulberry Leaves Yields and Amount of Silkworms raising in the Mulberry Tree-shape of Vinyl-house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3 no.4, 2015년, pp.757 - 766  

김동완 (전북농업기술원 잠사곤충시험장) ,  문형철 (전북농업기술원) ,  김은지 (전북농업기술원) ,  김정만 (전북농업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오디수확 후 버려지는 뽕잎을 이용하여 누에를 사육할 경우 추가 소득을 올릴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시설하우스 내 오디용 뽕나무 유인방법별 오디수확 후 뽕잎생산량과 적정누에 사육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먼저 오디용 뽕나무 수형별 뽕잎생산량을 조사한 결과, 뽕나무 1주당 관행은 4.75 kg 생산되는데 비해 T자형은 7.07 kg, Y자형은 6.55 kg으로 각각 49%와 38% 더 생산되었다. 그리고 오디용 뽕나무 시설재배에서 생산되는 뽕잎으로 누에 1상자를 사육할 때 소요되는 뽕잎량은 평균 302 kg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대부분 농가에서 선호하는 5령 3일 누에를 기준으로 오디용 뽕나무 시설재배 수형별 누에사육량을 분석한 결과, 10 a당 생산되는 뽕잎으로 관행 3.24 상자인 반면, T자형 4.17상자, Y자형은 3.83 상자였으며, 평균 3.74 상자 사육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sidered chances of additional income, if farmers raised silkworms in unused mulberry leaves, after harvesting mulberry, investigated yields of mulberry leaves in vinyl-house and optimal amount in raised silkworms, First, the results was investigated productions of mulberry leaves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Jpn, 1932~1935), 뽕잎 생산량 증대 및 품질향상을 위한 품종개발, 시비방법, 수행관리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FAO 등(2002)에서 수행된 바 있으나 오디뽕나무 수형 및 오디뽕 수확 후 남은 뽕잎을 활용하는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설재배 오디뽕나무 적정 수형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뽕잎 수량과 이를 활용한 누에사육 가능량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오디수확 후 버려지는 뽕잎을 이용하여 누에를 사육할 경우 추가 소득을 올릴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시설하우스 내 오디용 뽕나무 유인방법별 오디수확 후 뽕잎생산량과 적정누에 사육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먼저 오디용 뽕나무 수형별 뽕잎생산량을 조사한 결과, 뽕나무 1주당 관행은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누에의 령기에 따른 급여량은 얼마인가? 누에 사육시 영기별 뽕잎급여량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 양잠농가에서 판매하는 5령3일누에 기준으로 누에 1상자당 총 302 kg이 급여되었으며, 누에의 령기가 커갈수록 급여되는 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1령 대비 4령 때의 급여량은 무려 31배 이상이었고, 5령 때는 3일동안 급여되는 량이 153.2 kg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누에 사육의 단점은 무엇인가? 특히 전북은 오디뽕나무 재배면적이 1,072 ha (’12년)로 전국의 57%를 점유하고 있는 국내 최대 생산지역이고, 부안군은 누에타운 특구로 지정되어 있을 만큼, 전북은 양잠산업이 특화된 지역이고 그성장 가능성이 상당히 큰 산업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누에 사육은 신규 뽕밭 조성, 잠실 신축 등 초기투자 비용이 과다하여 농가에 경제적 부담이 크므로 기존에 조성된 상전 및 하우스 시설 활용시 최소 생산비를 투입하여 안정적으로 누에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뿐만 아니라 오디 수확 후 버려지는 뽕잎을 활용하여 부가 소득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로 시설하우스 오디뽕 재배 시 증가되는 하우스 시설비 등을 제외하고도 조기수확에 따른 소득증가와 균핵병 피해경감에 따른 이익추가 등으로 10 a당 155천원 정도 소득이 증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NAAS, 2012).
연도별 양잠산업의 추세는? 양잠산업은 3000년을 이어온 우리나라의 전통산업으로 1960~1970년대에는 크게 각광을받았으나 1970년대 후반부터 중국산 누에고치의 덤핑판매와 일본의 생사 수입규제가 강화 되면서 산업이 급격히 위축되었다가, 최근 누에 및 오디가 건강식품으로서의 그 기능성이 밝혀지면서 오디뽕나무 재배와 누에 사육이 다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전북은 오디뽕나무 재배면적이 1,072 ha (’12년)로 전국의 57%를 점유하고 있는 국내 최대 생산지역이고, 부안군은 누에타운 특구로 지정되어 있을 만큼, 전북은 양잠산업이 특화된 지역이고 그성장 가능성이 상당히 큰 산업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sano, N., T. Yamashita, K. Yasuda, K. Ikeda, and H. Kizu. 2001. Polyhydroxylated Alkabids Isolated from Mulberry Trees and Silkworms. J. Agric, Food Chem. 49: 4208-4213. 

  2. Choi, Y. C., K. S. Ryu, Y. H. Ahn, and W. C. Lee. 1997. Studies on Sprouting and Hardiness of Mulberry during Wintering and Thawing Periods. RDA. J. Indus. Crop. 39(1): 22-27. 

  3. Goo, T. W., G. B. Sung, H. R. Kim, and K. S. Ryu. 1997. Studies on the Conditions of Softwood Cutting for Production of Mulberry Sapling. Korea J. Seric. Sci. 39(2): 101-105 

  4. Ji, S. D., K. S. Ryu, and G. B. Sung. 2012. Small but strong agricultural development and on-site technical support NAAC. Res. Rept. pp. 79-93. 

  5. Jung, I. Y., P. D. Kang, S. U. Lee, G. H. Oh, and G. C. Song. 2005. Development of collecting system off silkworm excreta using a devised equipment. NAAC. Res. Rept. 

  6. Kang, P. D. etc. 2011. Hybridization of silkworm variety for synnemata formation by isaria tenuipes. NAAC. Res. Rept. pp. 396-406. 

  7. Kang, P. D., J. W. Kim, B. H. Sohn, K. Y. Kim, I. Y. Jung, M. J. Kim, and K. S. Ryu. 2006. Accumulating Pattern of ${\alpha}$ -glycosidase Inhibitor in Various Silkworm Varities Korea J. Seric. Sci. 48(1): 25-27. 

  8. Kim, H. B., G. B. Sung, I. P. Hong, I. M. Jung, and H. W. Nam. 2004. Fruit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Varieties for the Production of Fruit. NAAC. Res. Rept. pp. 529-535. 

  9. Kim, H. R. 1980. Studies on Freezing Tolerance of Mulberry. Seri. J. of Korea. 22(1). 

  10. Lee, W. C., Y. C. Choi, S. P. Song, and M. H. Seong. 1992. Effect of Sub-soil Drip Irrigation and Fertigation on Mulberry Yield. Korea J. Seric. Sci. 34(2): 6-12. 

  11. Lee, W. C., S. U. Kim, J. H. Han, and S. C. Yun. 1993. Effect of Number of Days After Urea Foliar Spray on Mulberry Leaf Components and Silkworms. Korea J. Seric. Sci. 35(2): 86-88. 

  12. Machii, H., K. Akio, H. Yamanouchi, and K. Katakiri. 1997. Manual for the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genetic mulberry genetic resources. Misc. Publ. Natl. Inst. Seric. Entomol Sci. 22: 105-124. 

  13. Machii Hiroaki, Akio Koyama, and Hiroaki Yamanouchi. 1999. Fruit traits of genetic mulberry resources. J. Seric. Sci. Jpn. 68(2): 145-155. 

  14. Ryu, K. S., H. W. Nam, and Y. C. Choi. 1993. Effects of Nitrogen and Growth Regulators on Dormancy, Protein and Nucleic Acids Contents in Mulberry Varieties. Korea J. Seric. Sci. 35(2): 79-85. 

  15. Ryu, K. S., P. D. Kang, G. B. Sung, and I. Y. Jung. 2007. Efficient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of underused Silk-raising Infrastructure. NAAC. Res. Rept. pp. 170-179. 

  16. Sung, G. B., H. W. Nam, I. P. Hong, and H. B. Kim. 2003. Development of Mulberry Cultivation Methods for Mulberry Fruits Production. NAAC. Res. Rept. pp. 519-528. 

  17. Sung, G. B., I. P. Hong, H. B. Kim, and H. W. Nam. 2005. Effects of Spacing and Main Branch Length on the Productivity of Mulberry Fruits and Growth of Mulberry. Korea J. Seric. Sci. 47(1): 1-4.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