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산 및 중국산 냉동 다진 마늘의 품질 특성 평가
Evaluati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Frozen Chopped Garlic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1, 2015년, pp.111 - 117  

이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김석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황인국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유선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판되는 냉동 다진 마늘의 품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냉동 다진 마늘 국내산 4종과 중국산 2종을 수집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냉동 다진 마늘의 수분 함량은 국내산이 $64.95{\pm}0.09{\sim}72.06{\pm}0.11%$, 중국산이 $83.80{\pm}0.10{\sim}90.93{\pm}0.23%$의 범위로 측정되었고 중국산 제품의 수분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동 감량은 국내산 냉동 다진 마늘이 $0.33{\pm}0.07{\sim}0.70{\pm}0.22%$, 중국산 냉동 다진 마늘은 $8.89{\pm}0.66{\sim}10.26{\pm}0.77%$로 측정되어 국내산에 비해 약 10배 이상 높은 값을 보였으며, 해동 감량은 각 시료의 수분 함량과 양의 상관관계(r=0.918, P<0.01)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냉동 다진 마늘의 total pyruvate 함량은 국내산의 경우 $118.69{\pm}5.97{\sim}224.81{\pm}9.92{\mu}mol/g$으로 중국산이 $75.27{\pm}5.91{\sim}79.35{\pm}1.79{\mu}mol/g$인데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llicin 함량은 국내산이 $8.91{\pm}0.34{\sim}13.09{\pm}0.35mg/g$으로 중국산 $5.91{\pm}0.08{\sim}6.05{\pm}0.27mg/g$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total thiosulfinate 함량은 $0.60{\pm}0.07{\sim}1.33{\pm}0.12$ O.D./g으로 측정되었다. Allicin 함량과 total thiosulfinate 함량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r=0.892, P<0.01)를 보였다. 전자코에 의한 냉동 다진 마늘의 향기 패턴 분석은 국내산과 중국산과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frozen chopped garlic. We collected six kinds of commercial frozen chopped garlic, four of which were domestic and the remaining two made in China. The moisture contents and drip loss of domestic frozen chopped garlic were significantly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국내산과 중국산 냉동 다진 마늘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 분석을 통하여 품질 현황을 파악하고 추후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늘의 활용도는? 1%를 차지하고 있다(4). 조미채소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다양한 가공방법이 연구되고 있다(5-7). 현재 시판되는 마늘 가공 제품은 깐마늘, 저민 마늘, 다진 마늘 등으로 다양하게 제조되어 냉장 및 냉동 형태로 판매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저장 공간과 손질 과정 등의 이유로 통마늘에서 깐 마늘로, 깐 마늘에서 다진 마늘로 구매 형태가 변하고 있다(8).
현재 시판되는 마늘 가공 제품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조미채소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다양한 가공방법이 연구되고 있다(5-7). 현재 시판되는 마늘 가공 제품은 깐마늘, 저민 마늘, 다진 마늘 등으로 다양하게 제조되어 냉장 및 냉동 형태로 판매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저장 공간과 손질 과정 등의 이유로 통마늘에서 깐 마늘로, 깐 마늘에서 다진 마늘로 구매 형태가 변하고 있다(8).
최소 가공된 마늘 제품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은? 또한 가정에서는 여성의 사회진출로 인한 시간 절약과 간편성, 급식 및 외식업체에서는 노동력의 감소와 생산성 향상을 위해 최소 가공된 마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9). 하지만 최소 가공된 마늘 제품은 가공, 저장 중 녹변, 갈변, 변향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고유의 품질 특성과 신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가공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이를 극복하는 최적의 가공, 저장방법으로 냉동기술이 적용되고 있다(10-12). 냉동 다진 마늘은 편의성과 저장성이 높아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였고 수입량 또한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ang DI. 2013. Annual report of food distribution. Food Journal Co., Seoul, Korea. p 349-355. 

  2. Byeon MU, An HJ. 2003. Hygiene of minimum processing fruit and vegetables with ionization energy using during storage and distribution. Food Preserv Process Ind 2: 71-77. 

  3. Park YH, Park SJ, Han GJ, Choe JS, Lee JY, Kang M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processed garlic during storage according to storage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994-1001. 

  4. Oh SI, Kim OS, Sung JM.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hazard analysis of commercial garlic.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800-807. 

  5. Jeong CH, Shim KH, Bae YI, Choi J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added with freeze dried garlic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69-1374. 

  6. Jung EY, Lee HS, Oh YH, Son HS, Suh HJ. 200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jelly prepared with garlic.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627-634. 

  7. Yoon HS, Shin JH, Kang MJ.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sage prepared with black garlic extract and dried powder of specialized crops cultivated in Namhae. Korean J Food Cookery Sci 30: 444-453. 

  8. Hwang TY, Sohn KH, Lim JH, Moon KD. 2010. Antibrowning effect of licorice (Glycyrrhiza glabra) extracts on chopped garlic. Korean J Food Preserv 17: 160-164. 

  9. Bae HJ, Chun HJ. 2001. Survey on garlic utilization of industry foodservice-general characteristics and seasoning utilization.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380-390. 

  10. Na YA, Ryu YK. 2000. Stabilization of chopped garlic quality by the addition of natural preservativ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0: 107-115. 

  11. Bae SK, Kim MR. 1998. Changes of browning, microb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ncentrated garlic juices dur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Sci 14: 394-399. 

  12. Ryu HJ, Choi EJ, Oh MS. 2004.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opped garlic with various storage method. Fam Environ Res 42: 167-180. 

  13. Korea Agro-fisheries and Food Trade Corporation. http:// www.kati.net/sta/staRes1Event.do?menuCode822&bbsid 1&expimpData121440200%2F%2F%2F%EB%A7%88%E B%8A%98%28%EB%83%89%EB%8F%99%29%3A%3A %3A&agCode&agName&rdoExpImpI&choiceOpt1& expimpCd00&fromYY2014&fromMM09&codeLevel 0&rdoType03 (accessed Sep 2014). 

  14. AOAC. 200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Method 970.59. 

  15. Schwimmer S, Weston WJ. 1961. Onion flavor and odor, enzymatic development of pyruvic acid in onion as a measure of pungency. J Agric Food Chem 9: 301-304. 

  16. Freeman GG, Mcbreen F. 1973. A rapid spectrophotometric methods of determination of thiosulfinate in onion and its significance in flavor studies. Biochem Soc Trans 1: 1150- 1154. 

  17. Bocchini P, Andalo C, Pozzi R, Galletti GC, Antonelli A. 2001. Determination of diallyl thiosulfinate (allicin) in garlic (Allium sativum L.)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a post-column photochemical reactor. Anal Chim Acta 441: 37-43. 

  18. Jo IH, Kim HS, Kim GM, Kim JS, Kim GC. 2012. Effects of packaging method on the quality of blanched namul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9: 328-336. 

  19. Shin JA, Choi SW, Lee KT. 2005. Prediction of Kimchi aging using electronic nose system. Korean J Food Preserv 12: 613-616. 

  20. Shin JH, Lee SJ, Jung WJ, Kang MJ, Sung NJ. 201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Allium sativum L.) on collected from the different regions. J Agric Life Sci 45: 103-114. 

  21. Ning XF, Kang TH, Park JW, Han CS. 2013. Secondary drying effects on garlic after low temperature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452-1460. 

  22. Shin JH, Kim RJ, Lee SJ, Kang MJ, Seo JK. 2011. Aroma compounds and antimicrobial effect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s in Korea. Korean J Food Preserv 18: 199-207. 

  23. Hui YH, Cornillon P, Legaretta IG, Lim MH, Murrell KD, Nip WK. 2004. Handbook of frozen foods. Marcel Dekker, Inc., New York, NY, USA. p 38-39. 

  24. Hui YH, Cornillon P, Legaretta IG, Lim MH, Murrell KD, Nip WK. 2004. Handbook of frozen foods. Marcel Dekker, Inc., New York, NY, USA. p 152. 

  25. Shin DB, Lee YC, Kim JH. 2000. Changes in quality of garlic during frozen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02-110. 

  26. Lee HO, Lee YJ, Kim JY, Kweon KH, Cha HS, Kim BS. 2013. Choosing quality indicators for quality prediction of frozen green pumpkin in distribu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325-332. 

  27. Kim DY, Rhee CO, Kim YB. 1981. Characteristics of polyphenol oxidase from garlic (Allium sativum L.). J Korean Agric Chem Soc 24: 167-173. 

  28. Miron T, Shin I, Feigenblat G, Weiner L, Mirelman D, Wilchek M, Rabinkov A. 2002. A spectrophotometric assay for allicin, alliin, and alliinase (alliin lyase) with a chromogenic thiol: reaction of 4-mercaptopyridine with thiosulfinates. Anal Biochem 307: 76-83. 

  29. Nahmgung B, Jeong MC, Kim DC, Kim BS, Lee SE. 1995. Quality changes and freshness prologation of garlic by predrying treatments. Agric Chem Biotechnol 38: 334-339. 

  30. Oh CY, Hong EB, Yoon KR, Lee YC, Kim KS. 2002. Comparison of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garlic extracts prepared with various organic solvents. Food Eng Prog 6: 248-255 

  31. Kim MH, Hou WN. 2000. Characterization of garlic alliinase. Research of Natural Resources 3: 47-52. 

  32. Oh HR, Kim NY, Sohn CW, Ryu BR, Yoon JH, Lim MR. 2012. Analyses of pungency-related factors of field and rice paddy garlic.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655-660. 

  33. Hwang IG, Shin YJ, Lee JS, Jung HS, Kim HY, Yoo SM.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paste (Capsicum annuum L.) added with garlic during ag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778-1784. 

  34. Yu TH, Wu CM, Liou YC. 1989. Volatile compounds from garlic. J Agric Food Chem 37: 725-7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