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데치기 및 초고압 처리를 이용한 항균처리 마늘 및 생강의 살균 효과 연구
Pretreatment sterilization of garlic and ginger using antimicrobial agents and blanching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0 no.2, 2018년, pp.172 - 178  

최준봉 (수원대학교 호텔관광대학원) ,  천희순 (서울향료(주) 기술연구소) ,  정명수 (이화여자대학교 식품공학과) ,  조원일 (씨제이제일제당(주) 식품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마늘과 생강 내 자체 항균 성분인 알리신과 진저론, 쇼가올에 의해 분쇄한 다진 상태의 경우 자생 총세균이 $10^1CFU/g$ 감균되는 살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1% (w/w) 농도의 시트르산, 산화칼슘과 200 ppm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에 각각 1시간 침지한 통마늘과 통생강에서 $10^1CFU/g$ 내외의 총세균수 감소를 가져와 90%의 살균율을 보였다. 또한 분쇄한 다진 마늘을 1% (w/w) 시트르산, 산화칼슘 용액에서 각각 1시간 침지한 결과 $10^1CFU/g$$10^4CFU/g$ 내외의 총세균수 살균 효과의 증가를 가져왔으며 다진 생강에서도 산화칼슘 용액 침지시 다진 마늘과 유사한 항균력의 현저한 상승 효과를 보였다. $90-95^{\circ}C$, 30-40초 데치기를 실시한 결과 항균제 용액 침지에 의한 항균 효과 보다는 가열에 의한 살균 효과가 크게 나타나 통마늘과 통생강에서 총세균은 $10^3-10^4CFU/g$, 진균류$10^1-10^2CFU/g$ 내외 감균 되었다. 통마늘에 비해 총세균과 진균이 30-70% 많이 자생하고 있는 통생강에 대한 살균 효과를 높이기 위해 차아염소산나트륨 침지 후 데치기를 병합 적용한 결과 총세균과 내열성을 보유한 바실루스 세균에 대하여$10^1CFU/g$ 내외의 감균 효과가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항균제와 데치기를 이용한 마늘, 생강의 감균법이 향신 채소를 사용한 다양한 가공식품의 가열살균 강도를 저감화시켜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전처리 방법으로 활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erilization rates were investigated to develop effective pretreatment methods of garlic and ginger using antimicrobial agents and blanching. Antibacterial components in chopped garlic and ginger, such as allicin, ginger, and shogaol, exhibited an antibacterial effect that reduced bacteria by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다양한 가공식품의 원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마늘, 생강 내 자생균을 고유 품질 손상 없이 효과적으로 살균하여 상온 제품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항균제와 가열 단독 또는 조합 처리 시의 살균 효과를 세부 고찰하여 최적의 전처리 살균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전처리 살균한 마늘, 생강을 활용한 상온 유통이 가능한 고품질의 고기용 양념장을 개발하기 위하여 비가열 초고압을 적용한 살균 방법도 추가로 연구하였다.
  •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다양한 가공식품의 원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마늘, 생강 내 자생균을 고유 품질 손상 없이 효과적으로 살균하여 상온 제품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항균제와 가열 단독 또는 조합 처리 시의 살균 효과를 세부 고찰하여 최적의 전처리 살균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전처리 살균한 마늘, 생강을 활용한 상온 유통이 가능한 고품질의 고기용 양념장을 개발하기 위하여 비가열 초고압을 적용한 살균 방법도 추가로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늘이란? 마늘, 생강은 대표적인 향신 채소로서 소스, 양념장 등 다양한 가공식품의 주요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마늘은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채소이며 세계 전 지역에서 재배되는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향신료로서 식품의 맛을 증진시키는 고유의 특성 외에 식중독 세균의 증식 억제와 항혈전, 항암, 혈압 강하, 콜레스테롤 저하와 노화 방지 등의 많은 생리적 활성으로 기능성 소재로도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실제 활용되고 있다(Kim 등, 2004; Moon 과 Yook, 2014; Sub 등, 2003). 마늘의 식용과 의약용으로의 효력은 함황아미노산의 일종인 알리인(alliin)의 분해에 따른 마늘 특유의 자극 신미성분의 생성에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Kim 등, 2004; Sub 등, 2003).
마늘, 생강을 가공식품의 원료로 사용할 경우 가열 살균 공정이 필요한 이유는? 마늘, 생강은 이와 같은 특유의 향미와 기능성으로 다양한 식품의 조리와 가공 과정에서 중요한 향신 조미료와 건강 소재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토양에서 기인하는 바실루스 계통의 내열성 포자균이 잔존하고 있어 가공식품의 원료로 사용할 경우 가열 살균 공정의 적용이 불가피하여, 열에 의한 품질 손상이 뒤따른다(Bourne, 1987; Kim 등, 2012). 마늘과 생강과 같은 향신 채소가 함유된 소스, 양념장 등의 조미식품의 일반적인 가열 살균 방법은 이중 스팀 재킷이 있는 정치식 조제 탱크에서 85-90oC, 30-45분 내외에서 가열하여 뜨거운 상태에서 충전하거나 관형 열교환 방식의 연속식 가열살균기를 이용한 방식이 주로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마늘 및 생강의 일반적인 가열 살균 방법을 시행할 때 부정적인 측면은? 마늘과 생강과 같은 향신 채소가 함유된 소스, 양념장 등의 조미식품의 일반적인 가열 살균 방법은 이중 스팀 재킷이 있는 정치식 조제 탱크에서 85-90oC, 30-45분 내외에서 가열하여 뜨거운 상태에서 충전하거나 관형 열교환 방식의 연속식 가열살균기를 이용한 방식이 주로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열 살균 방식으로 미생물의 영양세 포는 대부분 사멸되나 열에 약한 구조를 가진 향신 채소의 특성으로 인하여 맛, 향, 텍스처 등의 관능 품질 저하가 필연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또한 내열성 포자균의 경우 상기 조건으로 효과 적인 감균이 어려워 상온 유통 제품의 경우 위생 면에서 잠재적 위해가 있다고 할 수 있다(Bourne, 1987; Kim 등,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ourne MC. Effect of blanch temperature on kinetics of thermal softening of carrots and green beans. J. Food Sci. 52: 667-668 (1987) 

  2. Cha HS, Kim SI, Kim BS, Kim SH. Effect of inhibition browning and microbial growth of minimally processed lettuce. Korean J. Food Preserv. 11: 331-335 (2004) 

  3. Choi HK. A study on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garlic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 J. Kpae. 14: 159-167 (2001) 

  4. Choi SY, Cho IW.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ctive calciums and their application into food a materials. Bull. Food Technol. 22: 117-126 (2007) 

  5. Chung YK. Inactivation of bacterial spores by high pressure and food additive combination. J. Life Sci. 21: 1094-1099 (2011) 

  6. Jung K, Park JC.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juice from garlic, ginger, and onion. Korean J. Food Preserv. 20: 134- 139 (2013) 

  7. Kim BC, Hwang JY, Wu HJ, Lee SM, Cho HY, Yoo YM, Shin HH, Cho EK. Quality changes of vegetables by different cooking methods. Korean J. Culinary Res. 18: 40-53 (2012) 

  8. Kim KH, Kim HJ, Byun MW, Yook HS.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six vegetables containing different sulfur compoun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577-583 (2012) 

  9. Kim YD, Kim KM, Hur CK, Kim ES, Cho IK, Kim KH.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extracts according to different cook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1: 400-404 (2004) 

  10. Kwak YS, Chang JK. Effect of various sterilization methods on growth of microorganism contaminated in ginseng powder. J. Fd. Hyg. Safety 16: 221-226 (2001) 

  11. Kyung KH. Growth inhibitor activity of sulfur compounds of garlic against pathogenic microorganisms. J. Fd. Hyg. Safety 21: 145-152 (2006) 

  12. Lee SH. Advanced in food preservation technology using high pressure. Food Sci. Ind. 46: 42-48 (2013) 

  13. Lee MH, Lee KY, Kim A, Heo HJ, Kim HJ, Chun JY, Choi SG. Effects of superheated steam treatment on volatile compound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onion. Korean J. Food Preserv. 23: 369-377 (2016) 

  14. Lee WW, Lee SK, Son GR, Lee GH, Kim YH. Antimicrobial effects of garlic extract against pathogenic bacteria. Korean J. Vet. Serv. 34: 167-178 (2011) 

  15. Lee YR, Woo KS, Hwang IG, Kim HY, Lee SH, Lee J, Jeong H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arlic (Allium sativum L.) with different heat and pressure treatments. Korean Soc. Food Sci. Nutr. 41: 278-282 (2012) 

  16. Lee YD, Yoo HL, Park JH. Biocontrol of biofilm-forming Bacillus cereus by using organic acid, ethanol and sodium chloride.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120-125 (2013) 

  17. Leistner L. Basic aspects of food preservation by hurdle technology. Int. J. Food Microbiol. 55: 181-186 (2000) 

  18. Moon WH, Yook KD. Antimicrobial effect of garlic extract against pathogenic bacteri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 477-484 (2014) 

  19. Sheo HJ. The antibacterial action of garlic, onion, ginger and red pepper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94-99 (1999) 

  20. Shim ST, Kyung KS. Natural microflora of prepeeled garlic and their resistance to garlic antimicrobial activity. Food Microbiol. 16: 165-172 (1999) 

  21. Son JY.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p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648-654 (2010) 

  22. Sub CK, Kang SY, Kim JY.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garlic juice against pathogenic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Kor. J. Microbiol. Biotechnol. 31: 32-35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