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석류 농축액을 첨가한 백설기의 품질 특성
Selected Physicochemical and Consumer Preference Characteristics of Baikseolgi with Pomegranate Concentrat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1, 2015년, pp.160 - 164  

최지은 (대구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준호 (대구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석류 농축액의 첨가량을 0~6.6%로 달리하여 백설기를 제조한 후 물리화학적 품질, 항산화 특성 및 소비자 기호도를 비교하였다. pH는 6.35~5.61 범위로 석류 농축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수분함량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한편 명도($L^*$)는 농축액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지만 (P<0.05) 적색도($a^*$)와 황색도($b^*$)는 석류 농축액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경도는 0.18~0.34 kgf로 대조군과 1.6%, 3.3~5% 첨가군 내에서 유의적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P>0.05)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전자공여능ABTS radical 소거능 활성은 석류 농축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소비자 검사 결과 농축액을 첨가한 백설기가 그렇지 않은 시료에 비해 대체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으나 전반적인 소비자 기호도와 석류 농축액의 건강기능성 효과 등을 고려하면 최적 첨가 농도는 1.6%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different ingredient formulations on physicochemical qualities and consumer preferences were investigated using Baikseolgi incorporated with pomegranate concentrate (PC), a healthy food ingredient, as a model system. PC was incorporated into the formulation at five different amou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품의 원료를 대체할 경우 품질의 동등성이 나타나야 하는데(16) 이를 판단하기 위해 적절한 범위에서 대체한 제품의 물성 및 관능적 품질 특성의 영향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1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 기능성이 부가된 식품 개발에 필요한 기초 연구자료를 제공하고자 석류 농축액을 첨가한 백설기를 제조하고 이들의 물리적・관능적 특성 및 소비자들의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석류 농축액을 첨가한 백설기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방법은?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소거능 측정은 Blois의 방법(18)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2.
백설기의 뜻은? 최근 건강 기능성 식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밀가루를 대신해 쌀가루를 이용한 식품의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는데, 이 중 가장 대표적인 식품이 떡이라 할 수 있다(1). 떡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양한데 찌는 떡에 속하는 백설기는 ‘흰무리’라고도 불리며, ‘티 없이 깨끗하고 신성한 음식’이라는 뜻을 지닌 우리나라 전통음식으로 예로부터 경사로운 잔치나 행사에 빠지지 않고 상에 올랐다(2). 백설기는 쌀가루가 호화될 수 있도록 적정량의 수분을 가하여 소금과 설탕으로 간을 하는데(3) 주원료가 백미라는 점에서 영양적인 면이 다소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최근 여러 기능성 부재료를 첨가한 백설기의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4).
석류의 페놀성 성분의 효능은? )는 석류나무과의 과실로 인도, 페르시아 등의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며 중국과 일본은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재배하고 있다(9). 석류에 함유된 ellagic acid는 식물성 phenol로 항산화, 항바이러스, 항암 기능이 뛰어나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으며(10), 국내에서는 석류의 여러 활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석류 내피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11), 국내산과 이란산 석류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9) 등의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현재까지 석류는 두부(12), 젤리(13), 장어 데리야끼 소스(14), 막걸리(15) 등에 성공적으로 응용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on DH, Hwang YI. 2012. Characteristics and preservation of sulgi added with onion jui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677-683. 

  2. Kim JS, Kwak E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containing yam (Dioscorea japonica Thumb)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5: 342-349. 

  3. Ryu YK, Kim YO, Kim KM.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by the addition of tofu.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856-860. 

  4. Shin MJ, Park YM.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siogapidduk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 747-752. 

  5. Sung KH, Hong JS, Seo BH, Choi JJ. 2010. A study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dropwort Oenanthe javanica D.C.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589-595. 

  6. Kim JH, Kim MY.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supplemented with citrus peel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993-998. 

  7. Lee YJ, Yang HJ, Chun SS. 2011. Development of Sulgidduk with Queso blanco chees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575-580. 

  8. Nam SJ, Park GS. 2012. Optimiz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hasuo (Polygoni multiflori Radix).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25-32. 

  9. Jin SY. 2011. Study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Korean and Iranian pomegranat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063-1072. 

  10. Ko SH, Park JH, Yoo S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ckryu-pyun added pomegranate juice and pomegranate concentrate.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722-728. 

  11. Jin SY. 2011.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pomegranate endocarp.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635-1641. 

  12. Kim JY, Park G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tofu coagulated by fruit juice of pomegranate. Korean J Food Culture 21: 644-652. 

  13. Cho Y, Choi MY.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containing added pomegranate powder and Opuntia humifusa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134-142. 

  14. Sung KH, Ko SH. 2010. A study development of ell teriyaki sauce with added pomegranate concentrat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439-444. 

  15. Kim BH, Eun JB. 2012.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with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juice concentrate added.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417-421. 

  16. Ryu J, Jung J, Lee S, Ko S. 2012.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gar and gelatin gel with uniform hardness. Food Eng Prog 16: 14-19. 

  17. Choi E, Kang TY, Cho HY, Im MH, Shim SM, Ko S. 2013. Effect of roll-in fat type on Danish pastry quality properties. Food Eng Prog 17: 233-237. 

  18.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26: 1231-1237. 

  20. SAS. 2005. SAS User's Guide. Ver. 9.1. SAS Institute, Cary, NC, USA. 

  21. Lee YJ, Kim E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Hizikia fusiformi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723-733. 

  22. Yang MO.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cabbage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729-735. 

  23. Choi WS, Choi MK, Chae KY.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by the addition of apricot seed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653-659. 

  24. Kim YK. 2011.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cksulgi prepared with yam (Dioscorea japonica) powder.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3: 31-39. 

  25. Ryu MN, Kim HR, Seog EJ, Lee JH.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ikseolgi made with Hovenia dulcis. Food Eng Prog 11: 161-166. 

  26. Kang YS, Kim J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supplemented with Ligularia fischeri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277-283. 

  27. Hong KJ, Hwang S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added chestnut.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194-199. 

  28. Kweon SY, Kim JM, Kim JG. 2007.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soy flou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118-124. 

  29. Cho YH, Cho JS, Kim JY, Kim US, Choi JH, Park J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makgeolli le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 227-2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