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석류즙 농축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with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Juice Concentrate Added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4, 2012년, pp.417 - 421  

김봉희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기능성식품연구센터) ,  은종방 (전남대학교 식품공학과, 기능성식품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막걸리 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막걸리의 기능성 및 기호도가 증진되고 있어 막걸리에 석류의 기능성을 부여하고 색택을 향상시키고자 석류즙 농축액을 이용하여 석류 막걸리를 제조하였다. 막걸리 제조를 위해 첨가 시기 및 농축액 첨가량(3, 5, 7%)을 달리하여 석류 막걸리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석류즙 막걸리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석류즙 농축액 첨가량이 많을수록 적정산도, 당도, 알코올 함량은 높았다. 반대로 pH 아미노산 함량은 첨가량이 많을수록 낮았으며, 석류 막걸리의 관능검사 결과 3% 석류즙 농축액을 첨가한 처리구가 단맛, 신맛, 쓴맛, 향, 색감, 전체적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석류즙 막걸리를 위한 밑술 제조 시 3% 석류즙 농축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품질이 가장 우수하였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석류즙 농축액 3%를 밑술 제조 시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이 석류 막걸리의 제조와 제조된 석류 막걸리 제품화에 있어서 가장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ptimum conditions for manufacturing pomegranate makgeolli, cloudy Korean rice wine, treated with different levels of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juice concentrate were investigated. The pH, titratable acidity, amino acid content, soluble solid content, and alcohol content were measured,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의 국내외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석류를 이용하여 기능성과 맛을 겸비한 새로운 막걸리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또한 최적의 첨가조건을 확립하고자 석류즙 농축액 첨가량 및 첨가시기를 달리하여 제조된 막걸리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의 국내외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석류를 이용하여 기능성과 맛을 겸비한 새로운 막걸리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또한 최적의 첨가조건을 확립하고자 석류즙 농축액 첨가량 및 첨가시기를 달리하여 제조된 막걸리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걸리란 무엇인가? 지역, 민족, 기후, 풍토에 따라 독특한 주조법이 개발됨에 따라 술은 각 민족의 고유한 전통주로서 발전하였다(3). 막걸리는 쌀과 누룩가루를 원료로 담금하여 만드는 술로, 누룩 미생물 중 곰팡이의 amylase에 의한 쌀 전분의 당화 공정과 발효성 당의 alcohol 발효기능을 가진 효모에 의한 ethanol 로의 전환과정(발효공정) 등 두 가지 공정을 여러 미생물의 제효소 반응의 조화에 의해 병행 복 발효 시켜 만드는 순수한 양조주이다. 막걸리의 주정도수는 6%내외로 빛깔이 흐리고 탁하며, 단맛, 신맛, 쓴맛, 떫은맛이 잘 어우러져 감칠맛과 시원한 맛이 도는 것이 특징이다(4-6).
탁주의 수출량은 어떤 추세를 보이고 있는가? 탁주의 국내 생산량은 2008년 140,161 kL, 2009년 214,069 kL, 2010년 352,573 kL로 3년간 급격한 생산량 증가를 보이고 있다. 수출량은 2008년 4,538 kL, 2009년 6,084 kL, 2010년 14,236 kL로 3년 사이 약 3배 정도 급격히증가했으며, 이는 막걸리의 인기 상승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9). 현재까지 막걸리 가공에 관한 연구로는 오이 막걸리(10), 블루베리 막걸리(11), 울금 막걸리(12), 유자즙 막걸리(7) 등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석류는 주스나 과즙으로 착즙하여 차, 잼, 과즙 농축액 등으로 이용하고 있을 뿐 식품에 다양하게 첨가하여 가공하거나 조리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13).
막걸리의 특징은 무엇인가? 막걸리는 쌀과 누룩가루를 원료로 담금하여 만드는 술로, 누룩 미생물 중 곰팡이의 amylase에 의한 쌀 전분의 당화 공정과 발효성 당의 alcohol 발효기능을 가진 효모에 의한 ethanol 로의 전환과정(발효공정) 등 두 가지 공정을 여러 미생물의 제효소 반응의 조화에 의해 병행 복 발효 시켜 만드는 순수한 양조주이다. 막걸리의 주정도수는 6%내외로 빛깔이 흐리고 탁하며, 단맛, 신맛, 쓴맛, 떫은맛이 잘 어우러져 감칠맛과 시원한 맛이 도는 것이 특징이다(4-6). 일반적으로 막걸리는 탄수화물이 미생물 분해에 의하여 알코올을 비롯하여 다양한 성분이 생성된 일종의 발효음료로 구분된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ung KH, Ko SH. A study development of ell teriyaki sauce with added pomegranate juice concentrat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439-444 (2010) 

  2. Jeong HH. Proper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unica granatum.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Korea (2008) 

  3. Lee TJ, Hwang DY, Lee CY, Shon HJ. Changes in yeast cell number, total acid and organic acid dur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es of makgeolli, traditional alcohol of Korea. Korean J. Microbiol. 45: 391-396 (2009) 

  4. Lee JW, Park JW.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during separation storage methods. Food Eng. Progress 14: 346-353 (2010) 

  5. Park CK. Changes in pH, total titratable acidity, and microbial cell numbers of takju seed mashes during brewing. Theses collection. Chung-Ju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2006) 

  6. Lee SW. Brands of Korean liquor makgeolli. Korean J. Marketing. 44(8): 53-64 (2010) 

  7. Lee JW, Shim JY.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during freezing storage. Food Eng. Progress 14: 328-334 (2010) 

  8. Jeong JW, Park KJ, Kim Mh, Kim DS. Changes in quality of spray-dried and freeze-dried takju powder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Technol. 38: 513-520 (2006) 

  9. Yang HS, Eun JB. Ferment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eaditional fermented liquor (makgeolli) added with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38-445 (2011) 

  10. Kim SY, Kim EK, Yoon SJ, Jo NJ, Jung SK, Kwon SH, Chang YH, Jeong YH.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cucumber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Nutr. 40: 223-228 (2011) 

  11. Jeon MH, Lee WJ. Characteristics of blueberry added makgeolli. Korean J. Soc. Food Sci. Nutr. 40: 444-449 (2011) 

  12. Ha N. Effect of Curcuma longa L. (turmeric) on the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during fermentation.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2009) 

  13. Park KT.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design of new foods with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PhD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Korea (2009) 

  14. NTS. Analysis of alcoholic beverages. National Tax Service. Seoul, Korea. p. 40 (2010) 

  15. Kim AR, Lee SY, Kim KBWR, Song EJ, Kim JH, Kim MJ, Ji KW, Ahn IS, Ahn DH. Effect of Glycyrrhiza uralensis on shelflife and quality of t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94-200 (2008) 

  16. Jeong JW, Park KJ, Kim MH, Kim DS.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fermentation by addition of chestnut peel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3: 329-336 (2006) 

  17. Shin SR. Study on the properties of loaf bread with pomegranate powder.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Korea (2005) 

  18. Lee TJ, Hwang DY, Lee CY, Shon HJ. Changes in yeast cell number, total acid and organic acid dur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es of makgeolli, traditional alcohol of Korea. Korean J. Microbiol. 45: 391-396 (2009) 

  19. Kim JY. Qualty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tofu coagulated by fruit juice of pomegranate. M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Korea (2006) 

  20. Kim JY, Yi YH. pH, acidity, color, amino acids, reducing sugars, total sugars, and alcohol in puffed millet powder containing millet takju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727-732 (2010) 

  21. Yang HS.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added with different kinds of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2011) 

  22. Koh JH, Hwang MO, Moon JS, Hwang SY, Son JY. Antiox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omegranate seed extrac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171-179 (2005) 

  23. Lee HK. Effects of yeast arginase (CAR1) gene disruption on the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2011) 

  24. Ji SH, Han WC, Lee JC, Kim BW, Jang KH.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oru wine fermented with Rose rugoga Thuun.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186-190 (2009) 

  25. Jin TY, Wang MH, Yin Y, Eun JB. Effect of Citrus junos peel on th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raditional rice wine, jinyang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76-82 (2008) 

  26. Lee SM, Lee TS. Effect of roasted rice and defatted soybea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during fermentation. J. Nat. Sci. 12: 71-79 (2000) 

  27. Kim JY, Sung KW, Bae HW, Yi Y. pH, acidity, color, reducing sugar, total sugar, alcoho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puffed rice powder added takju during fermentation. J. Food Sci. Technol. 3: 266-271 (2007) 

  28. KFDA.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heongwon, Korea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