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숙아로 출생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정도와 영향요인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arly Childhood of Premature Children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1 no.1, 2015년, pp.37 - 45  

임은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주현옥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미숙아로 태어난 유아와 정상아로 태어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비교하고, 미숙아로 태어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이들의 유아기 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방법 연구 방법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인터넷 카페에서 미숙아로 출생한 유아의 부모 80명과 정상아 부모 83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TNO-AZL에서 개발한 TAPQOL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미숙아로 태어난 유아의 삶의 질 점수는 100점 만점에 80.6점(${\pm}9.9$)이었으며, 정상아로 태어난 유아의 삶의 질 점수는 85.0점(${\pm}8.3$)으로, 미숙아 집단이 정상아 집단에 비해 삶의 질 점수가 4.4점(${\pm}1.4$) 낮았다. 미숙아 집단이 정상아 집단에 비해 삶의 질 점수가 낮은 영역으로는 운동기능, 불안, 긍정적 기분, 활기참 및 의사소통 등이었다. 두 집단간 삶의 질 점수 차이가 가장 큰 영역은 운동기능과 의사소통이었다. 미숙아로 태어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신생아실 입원기간(7일 이상)'과 '출생체중(1,000 g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두 변수의 설명력은 17%였다. 즉, 신생아실 입원기간이 7일 미만이고, 출생 시 체중이 1,000 g 이상인 아동이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건강 관련 삶의 질 점수가 높았다. 결론 미숙아로 태어난 아동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은 이들의 출생 시 체중 및 신생아실 입원기간 등이 영향을 미치므로 미숙아 추후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출생체중, 재태기간 및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기간 등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study, a comparison was done of the ext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for preterm and fullterm children during early childhood, and factors affecting HRQoL in the early childhood of premature children were analyzed. Methods: Eighty mothers of children born premature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아기는 성장과 발달이 이루어지며, 이후 발달단계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이므로 이들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관심을 갖는 것은 미래의 국민건강증진에도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숙아로 출생한 유아와 정상아로 출생아 유아의 삶의 질 정도를 비교하고, 미숙아로 출생한 유아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미숙아 추후관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 따라서 미숙아의 생존율뿐만 아니라 생존 후의 삶의 질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본 연구는 미숙아로 출생한 유아와 정상아로 출생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을 비교하고, 미숙아로 출생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에서 시도된 초기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미숙아로 출생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정도와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숙아로 출생한 유아와 정상아로 출생한 유아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정도를 비교하고 미숙아로 출생한 유아의 삶의 질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삶의 질이란? 삶의 질이란 “한 개인이 살고 있는 문화권과 가치체계의 맥락 안에서 자신의 목표, 기대, 규범, 관심과 관련하여 인생에서 자신이 차지하는 상태에 대한 개인적인 지각”으로 정의한다(The WHOQOL Group, 1995). 아동의 삶의 질이란 아동이 스스로 처한 상황을 고려하여 모든 삶의 영역에서 그 만족감을 표현하는 것이라 정의하였다(Chang & Oh, 2008).
아동의 삶의 질을 평가할 때에는 아동의 고유한 발달 특성이나 환경의 영향을 포괄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이유는? 아동의 삶의 질이란 아동이 스스로 처한 상황을 고려하여 모든 삶의 영역에서 그 만족감을 표현하는 것이라 정의하였다(Chang & Oh, 2008). 또한 아동은 신체적,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발달을 경험하면서 가정, 학교, 또래, 이웃이나 지역사회를 포함하는 다양한 사회적 환경의 영향을 받으면서 성장한다. 따라서 아동의 삶의 질을 평가할 때에는 아동의 고유한 발달 특성이나 환경의 영향을 포괄적으로 고려해야 하며(Matza, Swensen, Flood, Secnik, & Leidy, 2004), 성인과는 다르게 발달 수준에 맞는 접근과 이해가 필요하다(Shin, Yoo, Yo, & Oh, 2010).
Chang & Oh, 2008 에서 정의한 아동의 삶의 질이란? 삶의 질이란 “한 개인이 살고 있는 문화권과 가치체계의 맥락 안에서 자신의 목표, 기대, 규범, 관심과 관련하여 인생에서 자신이 차지하는 상태에 대한 개인적인 지각”으로 정의한다(The WHOQOL Group, 1995). 아동의 삶의 질이란 아동이 스스로 처한 상황을 고려하여 모든 삶의 영역에서 그 만족감을 표현하는 것이라 정의하였다(Chang & Oh, 2008). 또한 아동은 신체적,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발달을 경험하면서 가정, 학교, 또래, 이웃이나 지역사회를 포함하는 다양한 사회적 환경의 영향을 받으면서 성장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rpino, C., Compagnone, E., Montanaro, M. L., Cacciatore, D., De Luca, A., Cerulli, A., et al. (2010). Preterm birth and neurodevelopmental outcome: A review. Child's Nervous System, 26, 1139-1149. http://dx.doi.org/10.1007/s00381-010-1125-y 

  2. Bae, Y. M., & Bae, C. W. (2004). The changes in the mortality rates of low birth weight infant and very low birth weight infant in Korea over the past 40 years.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19, 27-31. http://dx.doi.org/10.5124/jkma.2006.49.11.975 

  3. Chang, E. Y., & Oh, J. A. (2008). Concept analysis of the quality of life for the children. The Academic Society of Parent-Child Health, 11(2), 127-137. 

  4. Chien, L. Y., Chou, Y. H., Ko, Y. L., & Lee, C. F. (2006).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3-4 year old children born with very low birthweigh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6(1), 9-16.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6.03974.x 

  5. Davis, L., Mohay, H., & Edwards, H. (2003). Mothers' involvement in caring for their premature infants: An historical over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2(6), 578-586. http://dx.doi.org/10.1046/j.1365-2648.2003.02661.x 

  6. de Kieviet, J. F., Piek, J. P., Aarnoudse-Moens, C. S., & Oosterlaan, J. (2009). Motor development in very preterm and very low-birth-weight children from birth to adolescence: A meta-analysis. JAMA Pediatrics, 302(20), 2235-2242. http://dx.doi.org/10.1001/jama.2009.1708 

  7. Fekkes, M., Bruil, J., & Vogels, T. (2004). TAPQOL-manual. Retrieved February 3, 2012, from https://www.tno.nl/content.cfm?contextthema&contentprop_case&laag1891&laag2902&laag369&item_id1621&Taal2 

  8. Fekkes, M., Theunissen, N. C., Brugman, E., Veen, S., Verrips, E. G., Koopman, H. M., et al. (2000).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TAPQOL: A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strument for 1-5 year old children. Quality of Life Research, 9(8), 961-972. 

  9. Janssen, A. J., Akkermans, R. P., Steiner, K., de Haes, O. A., Oostendorp, R. A., Kollee, L. A., et al. (2011). Unstable longitudinal motor performance in preterm infants from 6 to 24 months on the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2, 1902-1909. http://dx.doi.org/10.1016/j.ridd.2011.03.026 

  10. Ju, H. O., Park, Y. K., & Kim, D. W. (2013). Predicting factors of developmental delay in infant and early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9(1), 12-20. http://dx.doi.org/10.5468/CHNR.2013.19.1.12 

  11. Kim, C. R. (2004). The limit of viability and care of fetal infants.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15(4), 341-349. 

  12. Klassen, A. F., Lee, S. K., Raina, P., Chan, H., Matthew, D., & Brabyn, D. (2004).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 populationbased sample of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graduates. Pediatrics, 113(3), 594-600. 

  13. Lee, B. H., & Ko, J. Y. (2010). Influential factors for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d cerebral palsy. Korean Rehabilitation Science Association, 49(2), 105-126. 

  14. Lee, J. W., Han, J. E., & Park, H. R. (2013). Quality of lif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9(1), 21-28. http://dx.doi.org/10.5468/CHNR.2013.19.1.21 

  15. Matza, L. S., Swensen, A. R., Flood, E. M., Secnik, K., & Leidy, N. K. (2004). Assess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ildren: A review of conceptual, methodological and regulatory issues. Value in Health, 7(1), 79-92. http://dx.doi.org/10.1111/j.1524-4733.2004.71273.x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Maternal child health service in 2012.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7. Park, S. Y., & Kim, Y. S. (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toddlers. The Korean Association of Human Development, 17(4). 111-125. 

  18. Pi, S. Y. (2004). Manual of Neonatal Care (2nd ed.). Seoul: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19. Rajmil, L., Abad, S., Sardon, O., Morera, G., Perez-Yarza, E. G., Moreno, A., et al. (2011).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panish version of the TAPQOL: A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strument for 1 to 5 year-old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8, 549-556.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10.09.004 

  20. Rautava, L., Hakkien, U., Korvenranta, E., Andersson, S., Gissler, M., Hallman, M., et al. (2009).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5-year-old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The Journal of Pediatrics, 155(3), 338-343. http://dx.doi.org/10.1016/j.jpeds.2009.03.061 

  21. Saigal, S., & Tyson, J. (2008).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 of survivors of neonatal intensive care: Critique and implications. Seminars in Perinatology, 32(1), 59-66. http://dx.doi.org/10.1053/j.semperi.2007.12.007 

  22. Shin, H. G., Yoo, I. Yo., & Oh, E. G. (2010).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patterns of school age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6(3), 220-229. http://dx.doi.org/10.4094/jkachn.2010.16.3.220 

  23. Shin, Y. H. (2003). Current status of Korean premature infant care and its prospective.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9(1), 96-106. 

  24. Shin, Y. H., Kim, M. K., & Kim, T. I. (2006). Resilienc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2(3), 295-303. 

  25. Stjernqvist, K., & Svenningsen, N. W. (1995).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less than 901g: Development and behaviour after 4 years of life. Acta Paediatrics, 84(5), 500-506. http://dx.doi.org/10.1111/j.1651-2227.1995.tb13682.x 

  26. The WHOQOL Group. (1995).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WHOQOL): Position paper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Social Science & Medicine, 41(10), 1403-1409. http://dx.doi.org/10.1016/0277-9536(95)00112-K 

  27. Theunissen, N. C., Veen, S., Fekkes, M., Koopman, H. M., Zwinderman, K. A., Brugman, E., et al. (2001). Quality of life in preschool children born preterm.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43(7), 460-465. http://dx.doi.org/10.1111/j.1469-8749.2001.tb00743.x 

  28. Wielenga, J. M., Smit, B. J., Merkus, M. P., Wolf, M. J., Sonderen, L., & Kok, J. H. (2009). Development and growth in very preterm infants in relation to NIDCAP in a Dutch NICU: Two years of follow-up. Acta Pædiatrica, 98(2), 291-297. http://dx.doi.org/10.1111/j.1651-2227.2008.01038.x 

  29. Wood, N. S., Marlow, N., Costeloe, K., Gibson, A. T., & Wilkinson, A. R. (2000). Neurologic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after extremely preterm birth. EPICure Group.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3(6), 378-384. http://dx.doi.org/10.1056/NEJM2000081034306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