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이러닝 콘텐츠 품질인증 기술성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chnical Evaluation of the Quality Certification for e-Learning Cont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1, 2015년, pp.49 - 66  

한태인 (한국 방송통신 대학교 이러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러닝 산업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의 증가는 민간 교육업체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이러닝 콘텐츠 및 시스템 공급자의 증가로 이어지게 되었다. 이러닝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어짐에 따라,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의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이러닝 콘텐츠와 시스템 및 그 공급자에 대한 평가 기준과 적합성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기존 연구들은 이러닝 품질인증에 대한 평가기준과 품질인증 평가기준의 세부 실행 방안은 제시하고 있으나, 품질인증 기술성에 대한 필요성과 기술성 평가기준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콘텐츠의 품질인증 기술성 평가에 대한 목적과 필요성을 기술하고, 이러닝 콘텐츠 기술성 평가기준의 특징과 기술성 평가기준 세부 항목별 적용 절차 및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이러닝 콘텐츠 기술성 평가기준의 세부적인 평가항목과 평가척도를 제시할 수 있고, 각 평가항목에 대한 평가척도의 예시를 제공함으로써 이러닝 콘텐츠의 품질인증 기술성 평가기준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시범서비스가 이루어진 후, 이러닝 콘텐츠 품질인증 기술성 평가기준에 대한 결과의 피드백에 따라 기준을 보완하여 정책에 반영하고 고시한다면, 해당 정책은 산업계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crease of social interest for the e-Learning industry leads to the increase of e-learning contents and the system providers which are targeted at private education companies and public institutions. As the e-Learning is used in various areas, the evaluation for evaluation criteria and suitabi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러닝 콘텐츠 기술성 평가기준은 무엇인가? 이러닝 콘텐츠 기술성 평가기준은 평가항목별 자가 점검표를 통해 평가를 내실화하고 기술 위주의 평가항목을 구성하여 구체화된 평가기준 및 등급평가 도입을 통해 평가기준을 구체화하기 위한 기준이다[6]. 기존의 이러닝 평가기준은 이러닝 품질인증에 대한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나, 품질인증 기술성에 대한 평가기준은 제시하고 있지 않다.
이러닝의 탄생과 발전을 이끈 계기는 무엇인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은 이러닝의 탄생과 발전을 이끄는 계기가 되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테블릿PC 등 다양한 컴퓨팅 디바이스와 3G, LTE 등 모바일을 통한 인터넷 접속 기술의 급속한 성장으로 사용자들이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이러닝 시스템에 접속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보다 많은 분야에서 이러닝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1,5].
이러닝 콘텐츠 기술성 평가기준의 주요 특징 네 가지는 무엇인가? 이러닝 콘텐츠 기술성 평가기준의 주요 특징은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평가항목별 평가척도 도입을 통한 계량화된 등급평가 실시, 둘째 평가항목별 자가점검표 작성 및 평가위원회 제공, 셋째 평가항목별 평가의견서 작성을 통한 신뢰성 제고, 마지막으로 중소기업의 시장 참여기회의 확대이다. 각 항목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D. S. Nam, Foundation Standardization Trends for Building Smart Learning Services Environments,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TTA Journal vol.136, pp.85-90, 2011. 

  2. T. I. Han, IT Convergence and Creative e-Learning,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2014 

  3. T. I. Han, Duk Hoon Kwak, e-Learning & u-Learning, Korean German Institute of Technology, 2006. 

  4. T. I. Han, A Survey for International Trends of e-Learning Quality Certification,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008. 

  5. Y. Kim, S.W. Shin, S. M. Ahn, J. M. Kim, K. A. Son, S. J. Lee, S. M. Jung, A Guideline for e-Learning Quality Management,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006. 

  6. T. I. Han,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e-Learning Quality Assurance Model,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 Research Report, 2007. 

  7. http://www.law.go.kr/DRF/MDRFLawService.jsp?OCbogus024&ID009626 

  8. T. I. Han, J. S. Park, J. M. Kim, A Guide for Contents Quality Certification, Korea e-Learning Industry Association, 2009. 

  9.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A Guide for Applying Evaluation Basis of Software Technology,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2010. 

  10. T. I. Han, A Research for National Standard Model of e-Learning Quality Assuranc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2006. 

  11. Korea Institute for Electronic Commerce, The Methodology for e-Learning Quality Assurance Consulting, Kore Institute for Electronic Commerce, 2009. 

  12. K. H. Kim, K. H. Lee, H. J. Lee, The Techniques for Contents Production and Quality Management, Korea e-Learning Industry Association, 2011. 

  13. D. J. Hwang, W. I. Bae, H. W. Jung, A Research of the Framework Development for Testing the Integrated e-Learning Standards Conformanc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2009. 

  14. I. H. Choi, N. J. Cha, S. K. Kim, T. I. Han, An Analysis for the Requirements of e-Learning System, Korea e-Learning Industry Association, 2010. 

  15. T. I. Han, A Study on the Rationalization Policy and the Cost Analysis of E-learning Content Development,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Research of Digital Policy, vol.10, No.6, pp. 361-368, 2012. 

  16. T. I. Han,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Analysis for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e-Learning Industry,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Research of Digital Policy, vol.11, No.5, pp. 83-94,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