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체간하부 안정성 강화운동이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re Strength Exercises on Balance and Walking in 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1 no.4, 2009년, pp.17 - 22  

김은자 (보바스기념병원 물리치료실) ,  황병용 (용인대학교 보건복지대학 물리치료학과) ,  김재현 (신성대학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re strength exercises on the balance control and walking ability of stroke patients. Methods: Twelve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s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core stability group and a control grou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것은 전체적인 사슬운동에서 최적의 신경근 효율성을 제공함으로서 기능적인 움직임들을 수행하는 동안전체 사슬운동의 최적의 가속, 감속, 그리고 동적인 안정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효율적인 사지 움직임을 위한 근위관절의 안정성을 제공해 준다.8 또한 체간하부 안정화는 상지의 능동적 움직임과 기능향상에 영향을 미친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후 6개월 이상인 편마비 환자들에게서 체간하부 안정성 강화 운동이 균형 조절과 보행 능력의 증가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체간 운동군과 보존적 운동군의 비교로써 확인하였다. 체간 운동군에서 체간하부 안정성 강화 운동 후 균형조절 능력과 보행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체간하부 안정성 강화운동은 균형조절 능력이 향상될수록 보행 능력이 향상되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에게 체간하부 안정성 강화운동을 통해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또한 효율적인 사지 움직임을 위한 근위관절의 안정성을 제공해 준다.8 또한 체간하부 안정화는 상지의 능동적 움직임과 기능향상에 영향을 미친다.9 체간하부 안정성에 관여하는 근은 어떠한 움직임에서도 항상 수축하여 체간의 안정성을 제공하며,10 자세조절에 관여하여 균형과 보행에 영향을 미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균형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균형은 기저면(base of support)내에 무게중심을 유지하고, 신체의 이동 시 평형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된다.13 이러한 균형은 수의동작 시 자세를 조절하고 외부 요동에 적절하게 반응하여 자세를 유지하는 복합적인 과정이며,14 공간에서 신체 자세와 균형을 조절하는 능력은 인간이 하는 모든 동작에서 기본이 된다.
뇌졸중 후에 가장 일반적인 증상은? 뇌졸중 후에 가장 일반적인 증상은 마비측의 근력약화이며, 이러한 근력의 약화는 마비측의 체간 근력에도 나타난다. 이로 인한 근력의 불균형은 비대칭적인 자세, 체간의 무게중심을 체중지지면 위에 유지하는 능력과, 대칭적인 자세유지에 필요한 정위반응, 평형반응이 감소하여 일상생활의 기본이 되는 자세 조절에 심각한 장애가 나타난다.
뇌졸중 후 6개월 이상인 편마비 환자들에게서 체간하부 안정성 강화 운동이 균형 조절과 보행 능력의 증가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체간 운동군과 보존적 운동군의 비교로써 확인한 연구 결과는? 본 연구는 뇌졸중 후 6개월 이상인 편마비 환자들에게서 체간하부 안정성 강화 운동이 균형 조절과 보행 능력의 증가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체간 운동군과 보존적 운동군의 비교로써 확인하였다. 체간 운동군에서 체간하부 안정성 강화 운동 후 균형조절 능력과 보행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체간하부 안정성 강화운동은 균형조절 능력이 향상될수록 보행 능력이 향상되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Kim KT, An JD, Kim BY et al. Current epidemilogic status of stroke. J Korean Acad Rehabil Med. 2003;27(2):178-85. 

  2. Kwon MJ. Daily physical functioning and quality of life for stroke. J Kor Soc Phys Ther. 2007;19(5):87-96. 

  3. Ikai T, Kamikubo T, Takehara I et al. Dynamic postural control in patients with hemiparesis. Am J Phys Med Rehabil. 2003;82(6):463-9. 

  4. Handa N, Yamamoto H, Tani T et al. The effect of trunk muscle exercises in patients over 40 years of age with chronic low back pain. J Orthop Sci. 2000;5(3):210-6. 

  5. Hodges PW, Gurfinkel VS, Brumagne S et al. Coexistence of stability and mobility in postural control: evidence from postural compensation for respiration. Exp Brain Res. 2002;144(3):293-302. 

  6. Mok NW, Brauer SG, Hodges PW. Hip strategy for balance control in quiet standing is reduced in people with low back pain. Spine (Phila Pa 1976). 2004;29(6):E107-12. 

  7. Lee OK, Hwang BY, Son JC. The effect of core stability training for postural control in patient with hemiplegia. J Korean Bobath Assoc. 2007;12(1):55-61 

  8. William E. Rehabilitation techniques for sports medicine and athletic training. 4th ed. North Carolina, McGraw Hill, 2005. 

  9. Kim MS. The effect of upper extremity movement of a core stability strength exercise in patient with hemiplegia. Yong-in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5 

  10. Oh JS, Park JS, Kim SY et al. Comparision of muscle activity during a push-up a suspension sling and a fixed support. KAUPT. 2003;10(3):29-40. 

  11. Verhryden G, Vereeck L, Truijen S.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nd the relationship with balance, gait and functional ability. Clin Rehabil. 2006;20(5):451-8. 

  12. Lee SY, Son GS, Jeon HJ et al. The effect of therapeutic exercise on the balance and gait in older adult. J Kor Soc Phys Ther. 2007;19(2):1-10 

  13. Nasher LM. Sensory, neuromuscular, and biomechanical contributions to human balance. In: Duncan PM, eds, Balance, Proceedings of the Americ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Forum. Alexandria (VA), APTA. 1990:5-12. 

  14. Berg KO, Maki BE, Williams JI et al. Clinical and laboratory measures of postural balance in an elderly population. Arch Phys Med Rehabil. 1992;73(11):1073-80. 

  15. Shumway-cook A, Woollacott MH.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s for rehabilitation medicine. Baltimore, Williams &Wilkins, 1995. 

  16. Bohannon RW, Smith MB. Interrater reliability of a modified Ashworh scale of muscle spasticity. Phys Ther. 1987;67(2):206-7. 

  17. Ryerson S, Levit K. Functional movement re-education.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1997:440-43. 

  18. Geiger RA, Allen JB, O'Keefe J et al. Balance and mobility following stroke: effects of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with and without biofeedback/forceplate training. Phys Ther. 2001;81(4):995-1005. 

  19. Horak FB, Diener HC. Cerebellar control of postural scaling and central set. J Neurophysiol. 1994;72(2):479-93. 

  20. Kwon HC, Jeong DH. A study of influence of asymmetrical weight-bearing on the LOS of Independent ambulatory hemiparetic. KAUTPT. 2002;7(2):1-19. 

  21. Keenan MA, Perry J, Jordan C. Factors affecting balance and ambulation following stroke. Clin Orthop Relat Res. 1984;(182):165-71. 

  22. Turnball GI, Charteris J, Wall JC. A comparison of the range of walking speeds between normal and hemiplegic subjects. Scand J Rehabi Med. 1995;27(3):175-82. 

  23. Henriksson M, Hirschfeld H. Physically active older adults display alterations in gait initiation. Gait Posture. 2005;21 (3):289-96. 

  24. Liebenson C. Spinal Stability Trining: The Transverse Abdominus. Journal of Bodywork amd Movement Therapies. 1998;2(4):218-23 

  25. Johannsen L, Broetz D, Karnath HO. Leg orientation as a clinical sign for pusher syndrome. BMC Neural. 2006;6:30. 

  26. Kibler WB, Press J, Sciascia A. The role core stability in athletic function. Sport Med. 2006;36(3):189-98. 

  27. Barr KP, Griggs M, Cadby T. Lumbar stabilization: core concepts and current literature, Part 1. Am J Phys Med Rehabil. 2005;84(6):473-80. 

  28. Winters JM, Crago PE. Biomechanics and neural control of posture and movement. New York, Springer, 2000. 

  29. Hodges PW, Richardson CA. Aaltered trunk muscle recruitment in people with low back pain with upper limb movement at different speeds. Arch Phys Med Rehabil. 1999;80(9):1005-12. 

  30. Dickstein R, Shefi S, Marcovitz E et al. Anticipatory postural adjustment in selected trunk muscles in post stroke hemiparetic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2004;85(2):261-7. 

  31. Kim HR, Kim YS. The effects of spinal stabilization exercise using gravity on patients with degenerative disc disease. J Kor Soc Phys Ther. 2008;20(1):23-31. 

  32. Kim JH, Hwang BY, Oh TY. Influence of trunk control using pelvic movement upon the foot pressure in patients with hemiplegia. J Kor Soc Phys Ther. 2007:19(5):11-9. 

  33. de Haart M, Geurts AC, Huidekoper SC et al. Recovery of standing balance in postacute stroke patients: a rehabilitation cohor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04;85(6):886-95. 

  34. Hwang BY. The effect of the propriocetive control and visual feedback for the limits of st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hemiplegia. J Kor Soc Phys Ther. 2007;19(6):37-41. 

  35. Carr JH, Shepherd RB. Stroke rehabilitation: guidelines for exercise and training to optimize motor skill. Oxford, Butterworth-Heineman, 2002. 

  36. Chen G, Patten C, Kothari DH et al. Gait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with post-stroke hemiparesis and non-disabled controls at matached speed. Gait Posture. 2005;22(1):51-6. 

  37. Suzuki K, Imada G, Iwaya T et al. Determinants and predictors of the maximum walking speed during computer-assisted gait training in hemiparetic stroke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1999;80(2):179-82. 

  38. Hwang BY. Effects of proprioceptive control on the bal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hemiplegia. KAUTPT. 2004;11(1): 69-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