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녹차 첨가 서리태 청국장의 3-morpholinosydnonimine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Seoritae Chungkukjang added with green tea powder against 3-morpholinosydnonimine-induced oxidative stress 원문보기

농업과학연구 = CNU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42 no.4, 2015년, pp.407 - 414  

조은주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노인생활환경연구소) ,  박현영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노인생활환경연구소) ,  이상현 (중앙대학교 식물시스템과학과) ,  김현영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에서는 청국장의 항산화 기능성 증진을 위해 녹차를 첨가한 서리태 청국장을 제조한 후 LLC-$PK_1$ 세포를 이용하여 SIN-1유도 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효과를 검토하였다. 항산화능이 대두보다 우수한 서리태를 주재료로, 부재료로 녹차를 농도별(0.5%, 2.0%, 5.0%)로 달리하여 청국장을 각각 제조한 후 $ONOO^-$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서리태 청국장과 녹차첨가 서리태 청국장의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개선효과를 비교한 결과, 녹차첨가 서리태청국장 추출물은 SOD, GSH-Px와 같은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지질과산화를 억제하여 세포생존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냈었으며, 특히 녹차를 5.0% 첨가했을 때의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녹차 첨가 서리태 청국장은$ONOO^-$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개선함으로써 이로 인한 질병을 예방하는 항산화제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crease antioxidative activity of Chungkukjang, the protective effect of Seoritae Chungkukjang (SC) added with green tea powder against oxidative stress was evaluated under the cellular system using LLC-$PK_1$ cells. The treatment of 3-morpholinosydnonimine showed increase in lipid 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Superoxide dismutase(SOD)활성은 Ewing과 Janero의 방법(1995)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Glutathione peroxidase(GSH-Px) 활성은 commercial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활성 1 unit은 1분당 1 nmole의 NADPH가 산화되는 효소의 양으로 나타내었다.
  • TBARS는 Fraga 등(1988)의 방법을 변형시켜 사용하였다. TBARS 생성 정도는 기질과 시료를 반응시켜, 37℃에서 산화시켰다.
  • 그 후 시료를 농도별(100, 250, 500μg/ml)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된 media를 제거하고, 세포는 PBS로 두 번 세척하였다.
  • 의 generator로 SIN-1(1 mM)을 24시간 처리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시켰다. 그 후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1 mg/ml의 MTT solution을 각 well에 주입하여 37℃에서 4시간 동안 재배양한 후 생성된 formazan 결정을 dimethyl sulfoxide(DMSO)에 녹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Mosmann, 1983).
  • 본 실험에서는 청국장의 항산화 기능성 증진을 위해 녹차를 첨가한 서리태 청국장을 제조한 후 LLC-PK1 세포를 이용하여 SIN-1유도 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효과를 검토하였다. 항산화능이 대두보다 우수한 서리태를 주재료로, 부재료로 녹차를 농도별(0.
  • 본 연구에서는 청국장의 항산화 기능성 증진을 위해 녹차를 첨가한 서리태 청국장을 제조한 후 LLC-PK1 세포계에서 SIN-1을 처리하여 세포 독성을 유발시킨 후 청국장추출물을 후처리하여 지질과산화와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여 세포독성에 대한 보호효과를 검토하였다.
  • 선별한 대두(500 g)와 서리태(500 g)를 각각 수세하여 물(750 ml)을 첨가하여 15℃에서 48시간 동안 침지하고 수절한 후 121℃에서 40분 동안 증자한 후 냉각시켰다. 녹차는 제주도에서 재배된 야부끼다종을 장원산업에서 1차 가공, 충북 진천군 태평양(주)에서 2차 가공한 것을 분쇄기로 분말화하여 사용하였다.
  • TBARS 생성 정도는 기질과 시료를 반응시켜, 37℃에서 산화시켰다. 시간대별로 기질과 시료 반응물에다 25% TCA 1 ml와 1% TBA 1 ml을 첨가하여 95℃에서 20분간 가열하였다. 4,000 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한 뒤 상등액을 5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8)하여 종균액으로 사용하였다. 전배양한 종균액(흡광도 600 nm= 0.8)을 원료의 0.3%(v/w) 접종하고 원료에 대해 각각 0.5%, 2.0%, 5.0%의 녹차분말을 첨가하여 40℃ incubator에서 60시간 발효시켰다.
  • 4,000 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한 뒤 상등액을 5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지질 과산화물은 malondialdehyde(MDA)의 양으로 환산하여 계산하였다.

대상 데이터

  • 선별한 대두(500 g)와 서리태(500 g)를 각각 수세하여 물(750 ml)을 첨가하여 15℃에서 48시간 동안 침지하고 수절한 후 121℃에서 40분 동안 증자한 후 냉각시켰다. 녹차는 제주도에서 재배된 야부끼다종을 장원산업에서 1차 가공, 충북 진천군 태평양(주)에서 2차 가공한 것을 분쇄기로 분말화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Bacillus subtilis는 공시균주 Bacillus subtilis (KCCM 11315)로 한국 미생물 보존센터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 녹차는 제주도에서 재배된 야부끼다종을 장원산업에서 1차 가공, 충북 진천군 태평양(주)에서 2차 가공한 것을 분쇄기로 분말화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Bacillus subtilis는 공시균주 Bacillus subtilis (KCCM 11315)로 한국 미생물 보존센터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균은 glucose 0.
  • 청국장(100 g)을 동결 건조시킨 후 시료 중량의 20배의 methanol(MeOH)로 12시간 동안 추출하는 과정을 총 3번 반복한 후 회전식 진공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시킨 후 -80℃의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항산화 실험에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a~d Means with the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a~d Means with the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P < 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a~e Means with the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a~e Means with the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P < 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a~g Means with the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P < 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실험 결과는 평균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고, 대조군과 실험군의 실험 결과는 one way ANOVA로 검증한 후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이론/모형

  • 세포를 ice 상태에서 5초 동안 전기분해한 후 10,000 × g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한 상층액을 따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Superoxide dismutase(SOD)활성은 Ewing과 Janero의 방법(1995)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Glutathione peroxidase(GSH-Px) 활성은 commercial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활성 1 unit은 1분당 1 nmole의 NADPH가 산화되는 효소의 양으로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국장에 함유된 성분은? 청국장은 삶은 콩에 고초균을 번식시켜 만든 전통 발효식품으로 가장 짧은 기일에 완성할 수 있으면서도 그 풍미가 독특하고 영양적, 경제적으로도 가장 효과적인 콩의 섭취방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또한 청국장은 콩에서 기인된 isoflavone, phytic acid, saponin, trypsin inhibitor, tocopherol, 불포화지방산, 식이섬유, 올리고당 등의 각종 생리활성물질과 항산화물질 및 혈전용해효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기능성식품으로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Pratt, 1972; Hammerschmidt and Pratt, 1978; Pratt and Birac, 1979; Coward et al., 1993).
청국장이란? 청국장은 삶은 콩에 고초균을 번식시켜 만든 전통 발효식품으로 가장 짧은 기일에 완성할 수 있으면서도 그 풍미가 독특하고 영양적, 경제적으로도 가장 효과적인 콩의 섭취방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또한 청국장은 콩에서 기인된 isoflavone, phytic acid, saponin, trypsin inhibitor, tocopherol, 불포화지방산, 식이섬유, 올리고당 등의 각종 생리활성물질과 항산화물질 및 혈전용해효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기능성식품으로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Pratt, 1972; Hammerschmidt and Pratt, 1978; Pratt and Birac, 1979; Coward et al.
reactive oxygen species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유산소 호흡을 하는 거의 모든 생물체의 세포에서 발생되는 reactive oxygen species(ROS)는 독성이 매우 강한 물질로서, 생체물질의 자가 산화, 방사선, 화학물질에 의한 외부자극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ridovich, 1978; Kodama, 1988). 이러한 활성산소의 종류로는 superoxide anion(O2-), hydrogen peroxide(H2O2), singlet oxygen(1O2), hydroxyl radical(・OH), peroxyl radical(ROO・) 등이 있다. 또한 reactive nitrogen species(RNS)로서 nitric oxide(NO)는 반응성이 크고 반감기가 아주 짧은 특징을 갖는 활성산소로 대식세포, 호중구 등에서 생성되며 O2-와 쉽게 반응하여 반응성이 매우 높은 산화제인 peroxynitrite(ONOO-)를 생성한다(Rad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be Y, Umemura S, Sugimoto K, Hirawa N, Kato Y, Yokoyama N, Yokoyama T, Iwai J, Ishii M. 1995. Effect of green tea rich in gamma-aminobutyric acid on blood pressure of Dahl salt-sensitive rats. American Journal of Hypertension 8:74-79. 

  2. Bokov A, Chaudhuri A, Richardson A. 2004. The role of oxidative damage and stress in aging. Mechanisms of Ageing and Development 125:811-826. 

  3. Cadenas E, Davies KJ. 2000. Mitochondrial free radical generation, oxidative stress, and aging.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29:222-230. 

  4. Cavalca V, Cighetti G, Bamonti F, Loaldi A, Bortone L, Novembrino C, De Franceschi M, Belardinelli R, Guazzi MD. 2001. Oxidative stress and homocysteine in coronary artery disease. Clinical Chemistry 47:887-892. 

  5. Choe JS, Kim JS, Yoo SM, Park HJ, Kim TY, Chang CM, Shin SY. 1996. Survey on preparation method and consumer response of Chungkukjang. Korea Soybean Digest 13:29-43. [in Korean] 

  6. Coward L, Barnes NC, Setchell KDR, Barnes S. 1993. Genistein, daidzein and their ${\beta}$ -glycoside conjugates: Antitumor isoflavones in soybean foods from American and Asian diet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41:1961-1967. 

  7. Ewing JF, Janero DR. 1995. Microplate superoxide dismutase assay employing a nonenzymatic superoxide generator. Analytical Biochemistry 232:243-248. 

  8. Fraga CG, Leibovitz BE, Tappel AL. 1988. Lipid peroxidation measured as thiobarbituric-reactive substances in tissue slices; characterization and comparison with homogenates and microsomes.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4:155-161. 

  9. Francis FJ. 1989. Food colorants: Anthocyanins. Critical Review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28:273-314. 

  10. Fridovich I. 1978. The biology of oxygen radicals. Science 201:875-880. 

  11. Gibson GE, Huang HM. 2005. Oxidative stress in Alzheimer's disease. Neurobiology of Aging 26:575-578. 

  12. Hammerschmidt PA, Pratt DE. 1978. Phenolic antioxidants of dried soybeans. Journal of Food Science 43:556-559. 

  13. Hibasami H, Komiya T, Achiwa Y, Ohnishi K, Kojima T, Nakanishi K, Akashi K, Hara Y. 1998. Induction of apoptosis in human stomach cancer cells by green tea catechins. Oncology Reports 5:527-529. 

  14. Iwai K, Nakaya N, Kawasaki Y, Matsue H. 2002. Antioxidative functions of natto, a kind of fermented soybeans: Effect on LDL oxidation and lipid metabolism in cholesterol fed rat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0:3597-3601. 

  15. Kim SH, Kwon TW, Lee YS, Choung MG, Moon GS. 2005. A major antioxidative components and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ctivities in black soybean.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7:73-77. [in Korean] 

  16. Kim YS, Jung HJ, Park YS, Yu TS. 2003. Characteristics of flavor and functionality of Bacillus subtilis K-20 chunggukjang.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5:475-478. [in Korean] 

  17. Kodama M. 1988. Role of active oxygen species in carcinogenesis. Tanpakushitsu Kakusan Koso 33:3136-3143. 

  18. Liao S, Umekita Y, Guo J, Kokontis JM, Hiipakka RA. 1995. Growth inhibition and regression of human prostate and breast tumors in athymic mice by tea epigallocatechin gallate. Cancer Letters 96:239-243. 

  19. Malinski T, Taha Z, Grunfeld S, Patton S, Kapturczak M, Tomboulian P. 1993. Diffusion of nitric oxide in the wall monitored in situ by porphyrinic microsensors.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193:1076-1082. 

  20. Mazza G, Miniati E. 1993. Anthocyanins in fruits, vegetables and grains. CRC Press, Inc., Boca Raton, Florida. p. 29-40. 

  21.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65:55-63. 

  22. Okubo S, Sasaki T, Hara Y, Mori F, Shimamura T. 1998. Bactericidal and anti-toxin activities of catechin on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Kansenshogaku Zasshi 72:211-217. 

  23. Pratt DE. 1972. Water soluble antioxidant activity in soybeans. Journal of Food Science 37:322-323. 

  24. Pratt DE, Birac PM. 1979. Source of antioxidant activity of soybeans and soy products. Journal of Food Science 44:1720-1722. 

  25. Radi R, Beckman JS, Bush KM, Freeman BA. 1991. Peroxynitrite oxidation of sulfhydryls. The cytotoxic potential of superoxide and nitric oxid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66:4244-4250. 

  26. Sagesaka-Mitane Y, Sugiura T, Miwa Y, Yamaguchi K, and Kyuki K. 1996. Effect of tea leaf saponin on blood pressure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Yakugaku Zasshi 116:388-395. 

  27. Shon MY, Kim MH, Park SK, Park JR, Sung NJ. 2002. Taste components and palatability of black bean Chungkugjang added with kiwi and radis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1:39-44. [in Korean] 

  28. Shon MY, Seo KI, Park SK, Cho YS, Sung NJ. 2001. Some biological activities and isoflavone content of chungkugjang prepared with black beans and Bacillus stra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0:662-667. [in Korean] 

  29. Sung NJ, Ji YA, Chung SY. 1984. Changes in nitrogenous compounds of soybean during chungkookjang koji fer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13:275-284. [in Korean] 

  30. Suh JS, Lee SG, Ryu MK. 1982. Effect of Bacillus strains on the Chungkook-jang processing.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14:309-314. [in Korean] 

  31. Youn KC, Kim DH, Kim JO, Park BJ, Yook HS, Cho JM, Byun MW.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hungkookjang fermented by the mixed culture of Bacillus natto and B. licheniform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1:204-210. [in Korean] 

  32. Yoo CK, Seo WS, Lee CS, Kang SM. 1998.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ibrinolytic enzyme excreted by Bacillus subtilis K-54 isolated from Chung guk jang. Korean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26:507-514. [in Korean] 

  33. Yukihiko H, Tadashi I. 1989.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ea polyphenols against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6:996-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