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crease of national family income improved demand of high-quality and year-round horticultural products including chrysanthemum. To meet these demand, farmers have introduced protected facilities, such as greenhouses, of which environmental conditions could be monitored and controlled. Environm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조도계의 경우 빛의 작은 변화에도 반응하여 조명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기에 적합하지만, 전체 조명을 모두 측정하기에는 많은 수의 센서가 필요하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하다 (Kim과 Park, 2010). 본 연구는, 일상에서 편리하게 많이 사용되고 있는 웹 카메라를 이용하여 국화의 장일 처리와 단일 처리에 있어서 조명환경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기 위하여, 촬영한 영상을 상용 프로그램을 통해 온실 내부의 평균 RGB 값을 측정하여 조명 환경에 변화가 있을 때의 RGB 값과 비교 분석하고, 그 측정값을 통해 조명 환경변화를 정확하고 손쉽게 파악 할 수 있는 조명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국화는 개화시기에 있어 장일처리와 단일처리는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양질의 국화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장일처리시 조명제어와 단일처리 시 완벽한 빛의 차단이 필요하다. 부적절한 조명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판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웹 카메라를 통한 온실 조명을 모니터링하고 실시간으로 휴대폰을 이용한 감시가 가능하는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또 웹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두 가지 방법을 통해 사람의 눈으로 확인 할 수 없는 조명의 이상 유무를 측정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웹 카메라를 이용하여 국화의 장일 처리와 단일 처리에 있어서 조명환경의 이상 유무를 판정하는데 사용한 두 가지 방법은 무엇인가? 또 웹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두 가지 방법을 통해 사람의 눈으로 확인 할 수 없는 조명의 이상 유무를 측정할 수 있었다. 첫번째 방법으로는 색의 비교를 통해 어느 위치의 조명이 이상이 있는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었고, 두번째 방법은 부적절한 픽셀값을 나타내는 조명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를 쉽게 구분할 수 있었다. 이 두 가지 방법을 이용 하여, 조명이 이상이 있고 어느 곳에 이상이 있는지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었다.
시설재배에서 온실환경관리의 자동화가 필수적 요건인 이유는? 시설재배에서 노동생산성 향상과 보다 나은 작물생장을 위한 환경조성을 위해서는 온실환경관리의 자동화가 필수적 요건이 된다. 온실자동화는 환경조건에 대한 목표 설정값에 따른 구동부의 ON-OFF 제어 수준에서부터 시설 내・외부의 제반 환경 요소를 복합적으로 판단하여 제어하는 단계까지 발전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보다 진전된 방식으로 환경에 대한 반응 대상물인 작물체의 생체정보(또는 생체반응)까지 고려한 환경제어 방식이 시도되고 있다(Bae와 Sohn, 2013; Kang 등, 2007; Kim 등, 2011; Ko와 Park, 2011; Kwon, 1995; Lee 등, 2010; Lee, 2013; Wang, 2005).
온실자동화는 현재 어떤 단계까지 발전하고 있는가? 시설재배에서 노동생산성 향상과 보다 나은 작물생장을 위한 환경조성을 위해서는 온실환경관리의 자동화가 필수적 요건이 된다. 온실자동화는 환경조건에 대한 목표 설정값에 따른 구동부의 ON-OFF 제어 수준에서부터 시설 내・외부의 제반 환경 요소를 복합적으로 판단하여 제어하는 단계까지 발전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보다 진전된 방식으로 환경에 대한 반응 대상물인 작물체의 생체정보(또는 생체반응)까지 고려한 환경제어 방식이 시도되고 있다(Bae와 Sohn, 2013; Kang 등, 2007; Kim 등, 2011; Ko와 Park, 2011; Kwon, 1995; Lee 등, 2010; Lee, 2013; Wang, 2005). 일반적으로 식물의 생장과 발육에 영향을 미치는 지상부 요소는 상대습도, 온도, 광도, 광질 등이며, 그 중 광질은 식물의 줄기신장, 잎의 발생, 착색, 광합성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Gim 등, 2010; Kim 등, 2004; Kim 등, 2006; Seo 등, 2008; Yu 등,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e JS, Sohn YH. 2013. Energy efficient greenhouse monitoring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Sensor Letters 2014(12):1128-1133. 

  2. Gim BG, Lee WJ, Heo SY. 2010. Construction of a testbed for ubiquitous plant factory monitoring system using artificial lighting.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Magazine 272-275. 

  3. Kang MS, Seo JS, Park KR, Kim YG, Shin CS, Sim CB. 2007. A greenhouse monitoring system for optimal growth environment.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8(1):285-290. 

  4. Kim ES, Park KN. 2010. Implementation of the discriminating system for surround illuminants using output voltage ratio of photo sensor.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5(5):29-35. 

  5. Kim HS, Kwon MK, Han YY. 2004. Effects of shading on growth and cut flower quality of spray chrysanthemum 'Relance'.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2(3):346-350. 

  6. Kim KO, Park KW, Kim JC, Jang MS, Kim EK. 2011. Establishment of web-based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greenhouse environment.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ciences 6(1):77-83. 

  7. Kim SJ, Hahn EJ, Peak KY. 2006. Production of chrysanthemum transplants as affected by hydroponic systems, electrical conductivity in nutrient solution, and photosynthetic photon flux.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47(6):349-352. 

  8. Kim YH, Huh EJ, Choi SY, Lee YR, Lee JS. 2009. Effect of high temperature and day length on flower abnormality and delayed flowering of spray chrysanthemum.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7(4):530-534. 

  9. Ko DS, Park HS. 2011. The study for design of growth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of vertical farm.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Magazine 372-375. 

  10. Kwon YS. 1995. Greenhouse environmental management by phytomonitoring.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8(1):127-130. 

  11. Kwon YS, You BS, Jung JA, Park SK, HK Shin, Kil MJ. 2014. Growth and flowering of standard chrysanthemums according to the light source and light quality in night break treatment.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23(4):263-268. 

  12. Lee CH, Cho MW. 2011. Control of unseasonable flowering in chrysanthemum 'Baekma' by 2-chloroethylphosphonic acid and night temperature.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9(6):539-548. 

  13. Lee EJ, Lee KI, Kim HS, Kang BS. 2010. Development of agriculture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using integrated sensor modul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2):63-71. 

  14. Lee YD. 2013. Implementation of greenhouse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17(11):2686-2692. 

  15. Seo JS, Kang MS, Kim YG, Sim CB, Joo SC, Shin CS. 2008. Implementation of ubiquitous greenhouse management system using sensor network.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9(3):129-139. 

  16. Tabacco MB, Zhou Q, Digiuseppe TG.1994. Optical sensors for monitoring and control of plant growth systems. Advancesin Space Research 14(11):223-226. 

  17. Wang LF. 2015. Greenhouse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Advanced Materials Research 1079-1080(1):451-455. 

  18. Won MK, Choi WC, Kim HH, Park HS, An JB, In MS. 2009. Effect of night opening of the curtain on flowering of chrysanthemum in short day treatment of summer cultivation.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27(2):133-133. 

  19. Yu TH, Ryu JB, Kwon SY, Lim JH. 2012.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ED control system based on context-awarenessfor plant cultivation.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39(1):459-4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