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 은유 분석을 통한 대학생들의 학교 수학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 조사
A Survey on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School Mathematics by analysis of metaphor about mathematic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29 no.1, 2015년, pp.51 - 72  

이경언 (제주대학교)

초록

본 논문은 대학생 124명을 대상으로 수학 교과와 수학 학습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인식과 그러한 인식을 갖게된 시기와 이유를 조사하여 범주화하고 각 범주별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수학에 대한 느낌을 은유로 표현하고 그 이유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였으며 학생들의 은유 표현을 긍정형, 부정형, 혼재형, 판정불가로 분류하여 남녀 성별 및 계열별로 각 유형별 비율과 유형별 표현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선호 시기와 비선호 시기를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항상, 없음의 여섯 시기로 나누어 각 영역별 비율을 살펴보았고, 선호 및 비선호 이유를 성적요인, 정의적 요인, 내용적 요인, 교사 요인, 기타 요인과 같이 다섯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제시한 수학 은유 표현은 긍정형이 27%, 부정형이 42%, 혼재형이 27%로 부정형 표현을 가장 많이 제시하였다. 특히, 계열별 분석에서는 인문사회계열과 공학계열의 학생들은 부정형 표현이 긍정형에 비하여 2배 정도 높았지만, 자연계열 학생들의 경우에는 반대로 긍정형 표현이 부정형에 비하여 2배 정도 높은 비율을 보였다. 둘째, 수학에 대한 선호시기와 이유를 묻는 질문을 한 결과, 초, 중, 고등학교로 진급할수록 수학에 대한 선호 비율이 높아졌다. 당시 수학을 선호했던 이유로는 성적 요인과 정의적 요인이 높은 비율을 보였다. 셋째, 수학 비선호 시기와 이유에 대한 질문 결과를 보면, 마찬가지로 초, 중, 고등학교로 진급할수록 수학에 대한 비선호 비율이 높아졌다. 그 이유로는 수학 학습 내용의 난이도가 갑자기 높아졌다는 내용적 요인과 성적 요인을 제시한 경우가 많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mathematics. For this purpose, I surveyed 124 undergraduate students' metaphorical expressions about mathematics. I classified the expressions as four categories: a positive form, a negative form,...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 교양수학교육의 정의적 특성과 관련된 연구 실정은 어떠한가? 그런데, 이러한 주제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주로 초, 중, 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즉,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측면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의 수학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높이기 위한 노력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에 초, 중, 고등학교 교육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볼 수 있는 대학교육, 특히 대학 교양수학교육과 관련된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수학과의 목표로 수학의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하고 기능을 습득하여 주변의 여러 가지 현상을 수학적으로 관찰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기르며, 수학적 문제 상황을 수리․논리적 사고를 통하여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교과로 수학교과의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대학에서 교양수학은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대학에서 교양수학은 생활 속 제반의 문제를 수학적으로 해석하고 해결하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순수 교양수학과 전공 교육을 위한 준비로서 특히 미적분학을 중심으로 한 기초 교양수학으로 나뉠 수 있다(박형빈, 이헌수, 2009). 순수교양수학에 해당하는 교과목에서는 수학적 이론이나 원리에 대한 논리적이고 수학적인 접근보다는 학생들에게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높이기 위한 방향으로 강의가 진행된다.
전공분야의 학습에 앞서 대학 신입생들에게 대학수학 또는 미분적분학 강좌를 가르치는 이유는 무엇인가? 수학은 자연과학이나 공학뿐만 아니라 경영과 경제 등 사회과학 분야를 전공하는 대학생에게 필수적인 교과목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전공분야의 학습에 앞서 대학 신입생들에게 대학수학 또는 미분적분학 강좌를 개설하여 전공 학습을 위해 필요한 수학을 가르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계영희 (2005). 수학에 대한 의식구조와 문화적 접근,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19(4), 577-586. (Kye, Y. H. (2005). On the Consciousness Structure and Culture Approach on Mathematics, J .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19(4), 577-586.) 

  2. 고호경.이현숙 (2012). 중.고등학생의 배경 변인에 따른 요인별 수학 불안의 차이,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3), 487-509. (Ko, H. K. & Yi, H. S. (2012). Difference in Mathematics Anxiet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er Factor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15(3), 487-509.) 

  3. 권낙원 (2008). 은유분석을 통한 교사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8(2), 21-47. (Kwon, N. (2008). The Identification of Teacher's Image through Metaphor Analysi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8(2), 21-47.) 

  4. 김병무 (2007). 대학수학 지도를 위한 공대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조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1(3), 467-482. (Kim, B. M. (2007). The Analysis of the Attitudes of Engineering Students to Mathematics and Its Implications, J .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1(3), 467-482.) 

  5. 김상미 (2005). 수학 수업을 보는 관점으로서의 은유,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7(4), 445-467. (Kim, S. M. (2005). Metaphors on Mathematics Teaching, School Mathematics 7(4), 445-467.) 

  6. 김선.장정애.김미래 (2013). 예비유아교사의 수학불안감 및 수학 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회논집, 17(3), 153-175. (Kim, S., Jang, J. A. & Kim, M. R. (2013). A Study Correlat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athematics Anxiety with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7(3), 153-175.) 

  7. 김선희 (2013). 수학 학습에서 초?중?고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다각적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15(1), 61-75. (Kim, S. H. (2013). Many-sided Analysis on Korean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Mathematical Learning, School Mathematics 15(1), 61-75.) 

  8. 김영옥 (2009). 이공계 대학 신입생들의 수학불안과 수학 학업 성취도와의 상관관계,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8(4), 469-479. (Kim, Y. O. (2009). The relationship of mathematics anxiety and achievement in mathematics for college of engineering, The Mathematical Education 48(4), 469-479.) 

  9. 김진호.김상미 (2014). 예비초등교사의 수학교과서에 대한 은유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53(1), 147-162. (Kim, J. H. & Kim, S. M. (2014).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taphors on mathematics textbook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3(1), 147-162.) 

  10. 김희진.서종진.표용수 (2011). 대학 입학예정자를 위한 기초수학 수준별 학습지도 방안,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3), 339-354. (Kim, H.-J., Seo, J. J. & Pyo, Y.-S. (2011). A Teaching Method of Basic Mathematics for the Matriculants by Ability Grouping,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14(3), 339-354.) 

  11. 박정 (2007).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변화와 수학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46(1), 19-31. (Park, C. (2007). The Trend in th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ive variables toward Mathematics and Its effect on their Mathematics achievements, The Mathematical Education 46(1), 19-31.) 

  12. 박준식.표용수 (2013). 대학 기초수학 교과목 수준별 학습지도 개선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7(1), 19-37. (Park, J. S. & Pyo, Y. S. (2013). Improvement strategies of teaching methods for university basic mathematics education courses by ability grouping, J .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7(1), 19-37.) 

  13. 박형빈?이헌수 (2009). 대학생들의 교양수학에 대한 인식과 교양수학의 긍정적 인식변화를 위한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3(4), 999-1014. (Park, H. B. & Lee, H. S. (2009). On the awareness of mathematics by college students and a suggestion to elevate such awareness in universities, J .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3(4), 999-1014.) 

  14. 서종진.유천성.최은미 (2008). 대학 기초수학 교육 내용의 구성 방안에 관한 연구-생명?나노 관련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2), 221-247. (Seo, J. J., Ryu, C. S. & Choi, E. M. (2008). Study of Structural Scheme of Basic Mathematics Education in University - Focusing on life and nano-related area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11(2), 221-247.) 

  15. 송윤희 (2012). 대학 교양수학 수업에서 성취목표, 자기효능감, 불안 및 학습성과와의 관계, 교과교육학연구, 16(4), 1001-1020. (Song, Y. H. (2012). The Relationships among Achievement Goal, Self-efficacy, Anxiety, and Learning Outcomes in Calculus, Journal of the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itution, 16(4), 1001-1020.) 

  16. 윤초희 (2013). '은유(metaphor)'를 통해 본 대학생의 글쓰기신념, 교육심리연구, 27(2), 367-394. (Yoon, C. H. (2013). Metaphor in a Study of College Students' Conceptions of Writing,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7(2), 367-394.) 

  17. 이경화 (2010). 교수학적 변환 과정에서의 은유와 유추의 활용,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0(1), 57-71. (Lee, K. H. (2010). The Role of Metaphor and Analogy in Didactic Transposi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0(1), 57-71.) 

  18. 이승우 (2001). 학교수학에서의 유추와 은유,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Lee, S. W. (2002). Analogies and metaphors in school mathematics, Master Degree Thesi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9. 이은영.전유영 (2013). 은유를 통해 본 예비유아교사들의 수학교육을 위한 교사 역할에 대한 신념, 유아교육학논집, 17(6), 379-400. (Lee, E. Y. & Jeon, Y. Y. (2013). An Analysis of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Beliefs about Teachers' Roles while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Using Metaphors as a Tool, Young Children, 17(6), 379-400.) 

  20. 이종희.김수진 (2010). PISA 2003 결과에서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12(2), 219-237. (Lee, C. H. & Kim. S. (2010). Analysis of Affective Factors on Mathematics Lear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ISA2003, School Mathematics 12(2), 219-237.) 

  21. 주미경.권오남 (2003). 학생들의 미분방정식 개념에 대한 수학적 은유의 분석: 개념적 모델의 이중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5(1), 135-149. (Ju, M. K. & Kwon, O. N. (2003). Students' Conceptual Metaphor of Differential Equations: A Sociocultural Perspective on the Duality of the Students' Conceptual Model, School Mathematics 5(1), 135-149.) 

  22. 최계현.한혜숙 (2013). 상호또래교수 활동이 고등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52(3), 423-442. (Choi, K. H. & Han, H. S. (2013).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in high school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2(3), 423-442.) 

  23. 최승현.황혜정 (2014). 수학 교과에서의 학생의 정의적 특성 요인의 성취 실태-국내 중등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8(2), 235-253. (Choe, S. H. & Hwang, H. J. (2014). The Current Situations of Enhancing Affective Characteristics focused on the case of secondary school in Korea, J .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8(2), 235-253.) 

  24. 표용수.박준식 (2010). 대학수학 기초학력 부진학생을 위한 기초수학 지도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4(3), 525-541. (Pyo, Y. S. & Park. J. S. (2010).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of basic mathematics for Low achievement students in university general mathematics, J .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4(3), 525-541.) 

  25. 표용수.박준식 (2011). 대학 기초수학 교과목에 대한 수준별 학습지도 방안,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1(1), 87-103. (Pyo, Y. S. & Park, J. S. (2011).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of University Basic Mathematics by Ability Grouping,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1(1), 87-103.) 

  26. 한혜숙.최계현 (2012). 교사의 성별에 따른 수학 수업의 각 단계에서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6(4), 363-381. (Han, H. S. & Choi, K. H. (2012). A Study on the Mathematics Teachers Gender Difference i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Affective Domain in Teaching Practice,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6(4), 363-381.) 

  27. 황우형.이유나 (2009). 중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3(1), 1-38. (Whang, W. H. & Lee, Y. N. (2009).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Regular Students in Perfectionism and the Affective Traits,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3(1), 1-38.) 

  28. Ashcraft, M. H. & Krause, J. (2007). Working memory, math performance, and math anxiety,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14(2), 243-248. 

  29. Bursal, M. & Paznokas, L. (2006). Mathematics anxiety a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fidence to teach mathematics and scienc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6(4), 173-179. 

  30. Cates, G. L, & Rhymer, K. N. (2003).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Anxiety and Mathematics Performance: An Instructional Hierarchy Perspective, Journal of Behavioral Education, 12(1), 23-34. 

  31. Koovecses, Z. (2003). 은유 (이정화, 우수정, 손수진, 이진희 역), 서울: 한국문화사. (원저 2002년 출판). 

  32. Lakoff, G. & Johnson, M. (1980). Metaphors we live b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3. Schon, D. (1993). Generative metaphor: A perspective on problem solving in social policy. In A. Ortony (Ed.), Metaphor and thought (2nd ed.) (137-163).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Schuell, T. J. (1990). Teaching and learning as problem solving. Theory into Practice, 29, 102-108. 

  35. Sfard, A. (1998). On two metahphors for learning and the dangers of choosing just one. Educational Researcher, 27(2), 4-13. 

  36. Zettle, R. & Raines, S. (2002). The relationship of trait and test anxiety with mathematics anxiety, College Student Journal, 34, 246-258. 

  37. 연합뉴스기사 http://edpolicy.kedi.re.kr/EpnicTrend/Epnic/EpnicTrendViw.php?LstCaryB00802&id662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