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금음자가미와 이(梨)추출물 배합제제가 알코올로 유발된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ation pear extract with Daekumeumjagami medication on hepatic injury induced by alcohol in mice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30 no.1, 2015년, pp.51 - 57  

윤대환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  김왕인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  나창수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effect of pear extract with Daekumeumjagami and vitamin C medication(PDV) on alcohol metabolism and hepatic injury was assessed following hepatic injury induced by alcohol in mice. Methods : The model of alcoholic hepatic injury was established by orally administration with 3 g/kg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梨추출물과 대금음자가미 배합 제제가 酒傷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대금음자가미의 비율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알코올로 간손상 유발후 대금음자가미의 비율에 따른 梨추출물 배합제제 투여 후 간손상과 관련한 각 지표인 혈청 AST, ALT, ADH와 간조직내 SOD, catalase 및 혈액학적 관찰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梨추출물과 대금음자가미 배합 제제가 酒傷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대금음자가미의 비율에 따른 효과와 작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알코올로 간손상 유발후 대금음자가미의 비율에 따른 梨추출물 배합제제 투여 후 간손상과 관련한 각 지표인 혈청 AST, ALT, ADH와 간조직내 SOD, catalase 및 혈액학적 관찰을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지견을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梨추출물과 대금음자가미 배합 제제가 酒傷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대금음자가미의 비율에 따른 효과와 작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알코올로 간손상 유발후 대금음자가미의 비율에 따른 梨추출물 배합제제 투여 후 간손상과 관련한 각 지표인 혈청 AST, ALT, ADH와 간조직내 SOD, catalase 및 혈액학적 관찰을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지견을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梨추출물에 대금음자가미의 비율별 배합이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알코올로 유발된 간손상 생쥐의 간기능, ADH, SOD, catalase 및 혈액학적 변화를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은 어떤 대사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가? 간은 우리 몸에서 가장 큰 기관 중의 하나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질대사의 중추적인 역할한다. 또한 독성물질 해독 및 알부민, 혈액 응고 성분을 포함한 다양한 혈청 단백질의 생성, 담즙의 생성 및 배설 등 여러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간손상을 유도하는 것은 무엇인가? 그러나 간은 내외요인으로 인해 그 대사기능을 상실하면 여러 가지 간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음주, 고지방식, 감염, 중독 등은 간세포의 변성 및 괴사, 지방축적, 간효소의 누출 등의 간손상을 유도한다2).
술을 지속적으로 마실시 몸에 어떤 반응이 일어나는가? 술은 세계적으로 널리 음용되고 있는 음료이만 지속적인 음주는 간경화증, 간암 등 알코올성 간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3). 음주를 오랫동안 지속하게 되면 간의 SOD, catalase 등 항산화 효소 활성도가 감소되고4), 글루타치온이나 비타민 C 등 항산화물질이 감소하게 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Go MS. Clinical Application of Biochemical Liver Function Test. Dongguk J Med. 2008 ; 15(2) : 48-59. 

  2. Kim JJ, Kim BW, Woo HZ, Kim DH, Cho SH. Eastern liver internal medicine. Seoul : Jipmoondang Press. 1986 : 27-36. 

  3. Willner IR, Reuben A. Alcohol and the liver. Curr Opin Gastroenterol. 2005 ; 21(3) : 323-30. 

  4. Lee JS. Supplementation of Pueraria radix water extract on changes of antioxidant enzymes and lipid profile in ethanol-treated rats. Clin Chim Acta. 2004 ; 347(1-2) : 121-8. 

  5. Nordmann R. Alcohol and antioxidant systems. Alcohol Alcohol. 1994 ; 29(5) : 513-22. 

  6. Weizhong. Taipinghuiminhejijufang. Beijing : Zhongguo Zhongyiyao Press. 1996 : 48-9. 

  7. Huhjoon. Donguibogam. Seoul : Yeogang Press. 2003 : 1680. 

  8. Hwang TH, Cho JH, Yim SW. The effects of Daigeumeumja against the mucosal injury of small intestine by ethanol and stress in mice. J Kor Oriental Intern Med. 2003 ; 24(4) : 735-46. 

  9. Kim YC, Woo HJ, Kim BW. An experimental research of the efficacy of Gamidaegumeumja. Kyunghee Univ Oriental Med J. 1993 ; 16 : 7-29. 

  10. Lee TH, Lee EY. Effect of Daekumeumja herb-acupuncture on c-Fos expression in hippocampus of alcohol intoxicated rats. J Kor Acupuncture Moxibustion Soc. 2006 ; 23(3) : 37-45. 

  11. Kim HJ, Kim EH, Lee EY. Effect of Daekumeumja herb-acupuncture on alcohol-induced suppressed cell proliferation and expression of nitric oxide synthase in hippocampus of rats. J Kor Acupuncture Moxibustion Soc. 2006 ; 23(5) : 187-98. 

  12. Chenguiqian. Bencaogangmutongshi. Beijing : Xueyuan Press. 1992 : 1449-50. 

  13. Na CS, Youn DH, Choi DH, Jeong JG, Eun JB, Kim JS. The effect of pear pectin & phenolic compounds on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heart rate and cardiac contractile force in hypertensive rat induced by 2K1C. Kor J Herbology. 2003 ; 18(2) : 101-8. 

  14. Na CS, Youn DH, Choi DH, Kim JS. Jo CH, Eun JB. The effect of pear pectin on blood pressure, plasma renin, ANP and cardiac hypertrophy in hypertensive rat induced by 2K1C. J Kor Soc Food Sci Nutr. 2003 ; 32(5) : 700-5. 

  15. Kim JS, Na CS. Effect of Rehmanniae radix and pear phenolic compound on the STZ-treated mice for induction of diabetes. J Kor Soc Food Sci Nutr. 2004 ; 33(1) : 66-71. 

  16. Kim WI, Youn DH, Kim HK, Na CS. Effects of pear extracts containing herbal medicine (Lycii Fructus, Coicis Semen, Alimatis Rhizoma, and Astragali Radix) on body weight, lipid metabolism, and immune responses of rats fed with high fat diets (I). Kor J Herbology. 2012 ; 27(3) : 7-13. 

  17. Kim WI, Youn DH, Kim HK, Na CS. Effect of pear extracts containing herbal medicine(Lycii Fructus, Coicis Semen, Alimatis Rhizoma and Astragali Radix) on body weight, lipid metabolism and immune responses in rats fed high fat diets (Ⅱ). Kor J Herbology. 2012 ; 27(5) : 1-10. 

  18. Kim CM, Shin MG, An DG, Lee KS. Complete translation chinese medicine dictionary. Seoul : Jengdam Press. 1998 : 1482-6. 

  19. Jeong DH. Physiological Function of Food. Seoul : Sunjin Publishers. 1998 : 109-12. 

  20. Cohen G, MacNAMEE D, Dembiec D. Elevation in blood acetaldehyde by pargyline during ethanol administration. Biochem Pharmacol. 1975 ; 24(2) : 313-6. 

  21. Lee WC. Liver internal medicine. Seoul : Oriental Medicine Research Press. 1997 : 197, 598-611. 

  22. Palinski W, Witztum JL. Immune responses to oxidative neoepitopes on LDL and phospholipids modulate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J Intern Med. 2000 ; 247(3) : 371-80. 

  23. Willcox JK, Ash SL, Catignani GL. Antioxidants and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Crit Rev Food Sci Nutr. 2004 ; 44(4) : 275-95. 

  24. Wu D, Cederbaum AI. Oxidative stress and alcoholic liver disease. Semin Liver Dis. 2009 ; 29(2) : 141-54. 

  25. McDonough KH. Antioxidant nutrients and alcohol. Toxicology. 2003 15 ; 189(1-2) : 89-97. 

  26. Corns CM. Herbal remedies and clinical biochemistry. Ann Clin Biochem. 2003 ; 40(Pt 5) : 489-507. 

  27. Tapsell LC, Hemphill I, Cobiac L, Patch CS, Sullivan DR, Fenech M, Roodenrys S, Keogh JB, Clifton PM, Williams PG, Fazio VA, Inge KE. Health benefits of herbs and spices: the past, the present, the future. Med J Aust. 2006 ; 185(4 Suppl) : S4-24. 

  28. Kim YS, Park JY, Kwon YB, Lim DW, Song MK, Choi HY, Kim HC. Hepatoprotective effects of Hovenia dulcis extract on acute and chronic liver injuries induced by alcohol and carbon tetrachloride. Kor J Herbology. 2013 ; 28(4) : 25-32. 

  29. Jin DC, Jeong SW, Park PS. Effects of green tea extract on acute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 39(3) : 343-9. 

  30. Berger TM, Polidori MC, Dabbagh A, Evans PJ, Halliwell B, Morrow JD, Roberts LJ 2nd, Frei B. Antioxidant activity of vitamin C in iron-overloaded human plasma. J Biol Chem. 1997 ; 272(25) : 15656-60. 

  31. Molander DW, Wroblesk F, La Due JS. Serum glutamic oxalacetic transaminase as an index of hepatocellular integrity. J Lab Clin Med. 1955 ; 46(6) : 831-9. 

  32. Lee GN, Lee JS. Clinical Pathology Files. Seoul : Medical Culture Publishers. 1993 : 122, 151-2, 256, 278-81. 

  33. Zimmerman HJ, Seeff LB. Enzymes in hepatic disease In : Goodly EE (Ed), Diagnostic Enzymology. Philadelphia : Lea and Febiger Publisher. 1970 : 1-38. 

  34. Lieber CS. Metabolism of alcohol. Clin Liver Dis. 2005 ; 9(1) : 1-35. 

  35. Shim SI, Chung JW, Lee JM, Hwang KT, Sone J, Hong BS, Cho HY, Jun WJ. Hepatoprotective effects of black rice on superoxide anion radicals in HepG2 cells. Food Sci Biotechnol. 2006 ; 15(6) : 993-6. 

  36. Jung SJ, Lee JH, Song HN, Seong NS, Lee SE, Baek NI.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2004 ; 47(1) : 135-40. 

  37. Baudrimont I, Ahouandjivo R, Creppy EE. Prevention of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ochratoxin A in Vero cells in culture by several agents. Chem Biol Interact. 1997 ; 104(1) : 29-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