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사교육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the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to the academic achievement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6 no.1, 2015년, pp.123 - 139  

유지연 (중앙대학교 통계학과) ,  박창순 (중앙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통계청에서 실시한 2011년도 사교육비 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여 학생의 학업성취도,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보완 사교육비, 일반 사교육비 사이의 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러한 구조적 효과가 성, 지역, 학교급 집단 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다중집단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모형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사교육에 대한 지출이 커지는 경향이 있지만 학업성취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성, 지역, 학교 집단 모두 학생의 학업성취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사교육비의 집단 간 구조적 효과의 차이가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교육 현상 중에서 학업에 대한 열의가 사교육으로 많이 집중되어 나타나는 사교육 문제에 있어 학생의 학업성취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사교육비가 연관되어 있을 것이라는 사회적 통념을 2011년 사교육비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to the academic achievement, together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method is used with the survey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data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연구 자료의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모형의 적합도에 대한 검정력이 지나치게 커지는 과장된 유의도를 방지하기 위해 적정한 크기의 표본 여러 개를 추출하였다. 각 표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 결과를 평균하여 분석함으로서 분석 결과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자 하였다. 크기가 300인 표본 1000개를 대상으로 학업성취도, 사회경제적 지위, 보완 사교육비, 일반 사교육비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통해 연구 모형을 적합한 모형으로 판단할 수 있다.
  • 그리고 이와 같은 구조적 관계에서 성 (남자, 여자) 집단 별로 각각의 잠재요인들 사이의 영향의 유의성을 검정하고, 성 집단 사이에서 잠재요인의 구조적 관계가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서울, 광역시, 중소도시, 읍면) 집단과 학교급 (초등학교, 중학교, 일반계 고등학교, 전문계 고등학교) 집단에 대해 각각 위와 동일한 검정을 실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이 연구모형에서 추정될 모수의 수는 36개이므로, 78,530개의 자료에서 약 추정모수의 8배의 크기, 즉 크기가 300인 표본 1000개를 랜덤하게 복원 추출하여, 이 표본들을 대상으로 R 패키지 ‘lavaan’ (R version 3.0.3)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분석 결과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자 하였다.
  • Kim (2000)은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하여 학업성취 수준이 낮다는 점을 보이고 있으며, Hong과 Sung (2008)는 지역적 요인도 사교육비 지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위에서 제시한 구조적 관계에서 성 (남자, 여자) 집단별로 각각의 잠재요인들 사이의 영향의 유의성을 검정하고, 성 집단 사이에서 잠재요인의 구조적 관계가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 (서울, 광역시, 중소도시, 읍면) 집단과 학교급 (초등학교, 중학교, 일반계 고등학교, 전문계 고등학교) 집단에 대해 각각 위와 동일한 검정을 실시하고자 한다.
  • 그리고 이와 같은 구조적 관계에서 성 (남자, 여자) 집단 별로 각각의 잠재요인들 사이의 영향의 유의성을 검정하고, 성 집단 사이에서 잠재요인의 구조적 관계가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서울, 광역시, 중소도시, 읍면) 집단과 학교급 (초등학교, 중학교, 일반계 고등학교, 전문계 고등학교) 집단에 대해 각각 위와 동일한 검정을 실시하고자 한다.
  • 그리고 이와 같은 구조적 관계에서 성 (남자, 여자) 집단 별로 각각의 잠재요인들 사이의 영향의 유의성을 검정하고, 성 집단 사이에서 잠재요인의 구조적 관계가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고자 한다. 또한 지역(서울, 광역시, 중소도시, 읍면) 집단과 학교급 (초등학교, 중학교, 일반계 고등학교, 전문계 고등학교) 집단에 대해 각각 위와 동일한 검정을 실시하고자 한다.
  • 그러나 사회경제적 지위에서 일반 사교육비로의 경로계수가 유의수준 5%에서 유의하고, 일반 사교육비에서 학업성취도로의 경로계수가 유의수준 10%에서 유의하므로, 비록 Sobel 검정 결과에서 일반 사교육비의 매개효과가 유의수준 5%에서 유의하지 않지만 사회 경제적 지위가 일반 사교육비에 매개하여 학업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전혀 미치지 않는다고 단정 지을 수 없다. 사교육비의 매개효과 분석에 대한 더 자세한 연구는 이 연구의 주 목적이 아니므로 생략한다.
  • 이 연구는 2011년 사교육비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앞에서 정의한 잠재요인인 학업성취도, 사회경제적 지위, 보완 사교육비, 일반 사교육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잠재요인 간 서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 모형의 경로도를 Figure 3.
  • 이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사교육비 지출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사교육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연구 자료의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모형의 적합도에 대한 검정력이 지나치게 커지는 과장된 유의도를 방지하기 위해 적정한 크기의 표본 여러 개를 추출하였다. 각 표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 결과를 평균하여 분석함으로서 분석 결과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자 하였다.
  • 그리고 사교육비(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PEE)는 2개의 잠재요인인 보완 사교육비 (supplementary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SPEE)와 일반 사교육비 (general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GPEE)로 정의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위에서 정의한 4개의 잠재요인들, 즉 학업성취도, 사회경제적 지위, 보완 사교육비, 일반 사교육비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어떤 잠재요인들이 서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그 관계를 규명하고 유의성을 검정하고자 한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사교육비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의 초 · 중 · 고등학교 학생들의 사교육비 실태를 분석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하여, 전국 1,081개 학교의 약 46,000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통계청에서 실시한 2011년 사교육비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사교육비에 관련된 요인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 전체 집단뿐만 아니라 성 (남자, 여자), 지역별 (서울, 광역시, 중소도시, 읍면), 학교급별 (초등학교, 중학교, 인문계 고등하교, 전문계 고등학교) 개별 집단에 대해서도 위의 연구 가설을 검정하여, 잠재요인 간 서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 :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공교육 보완을 위한 사교육비에 대한 지출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 H2: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일반 사교육비에 대한 지출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 H3 : 공교육 보완을 위한 사교육비 지출이 클수록 학업성취도가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 H4 : 일반 사교육비 지출이 클수록 학업성취도가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 H5 :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 H6 : 성에 따라 연구 모형의 경로계수가 차이가 있다.
  • H7 : 지역에 따라 연구 모형의 경로계수가 차이가 있다.
  • H8 : 학교급에 따라 연구 모형의 경로계수가 차이가 있다.
  • 집단에 따라 어떤 경로계수가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검정을 실시하기 전에 제약모형과 부분제약모형을 정의하면, 제약모형은 모든 경로계수가 집단 사이에서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부분제약모형은 집단별로 차이가 있는지 검정하고자 하는 특정 경로계수를 제외한 모든 경로계수가 집단 사이에서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이제 성별에 따라 어떤 경로계수가 차이가 있는지 제약모형과 부분제약모형을 가지고 χ2 차이 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늘날 우리나라 교육 현상 중에서 가장 논란이 많은 것은 무엇인가? 오늘날 우리나라 교육 현상 중에서 가장 논란이 많은 것은 사교육이라고 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 가계의 교육비 지출 비중은 꾸준히 높아져 온 것으로 분석된다 (Kang과 Lim, 2012).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초 · 중 · 고등학교 학생들의 사교육비 실태를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사교육비 경감대책 및 공교육 내실화 등 교육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공신력 있는 통계를 작성, 제공하고자 통계청에서는 매년 사교육비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Statistic Korea, 2012).
구조식방정식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는데에는 구조방정식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사용할 수 있다. 구조식방정식은 어떤 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을 분석하기 위한 다변량 분석 기법으로, 확증적인 형태의 모형에서 상호 변수들 간의 인과 관계를 규정하고 이들의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한 통계적 방법이다(Kim, 2009, p.72; Lei, 2007).
학생의 학업성취도,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보완 사교육비, 일반 사교육비 사이의 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러한 구조적 효과가 성, 지역, 학교급 집단 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는? 이 연구의 목적은 통계청에서 실시한 2011년도 사교육비 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여 학생의 학업성취도,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보완 사교육비, 일반 사교육비 사이의 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러한 구조적 효과가 성, 지역, 학교급 집단 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다중집단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모형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사교육에 대한 지출이 커지는 경향이 있지만 학업성취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성, 지역, 학교 집단 모두 학생의 학업성취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사교육비의 집단 간 구조적 효과의 차이가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교육 현상 중에서 학업에 대한 열의가 사교육으로 많이 집중되어 나타나는 사교육 문제에 있어 학생의 학업성취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사교육비가 연관되어 있을 것이라는 사회적 통념을 2011년 사교육비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rbuckle, J. L. (2011). Ibm spss amos 20 user's guide, IBM Corporation, Crawfordville. 

  2. Bae, B. R. (2006). (Lisr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Chungram, Seoul. 

  3. Bae. B. R. (201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9: Principles and practice, 2nd Ed., Chungram, Seoul. 

  4. Park, C. N. and Do, J. S. (2005). The effects of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on academic achievement. Social Welfare Policy, 22, 281-303. 

  5. Bentler, P. M. and Chou, C. P. (1987). Practical issues in structural modeling. Sociological Methods Research, 16, 78-117. 

  6. Bollen, K. A. (1989). Structural equations with latent variables, Wiley, New York. 

  7. Hayduk, L. A. (1987).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Lisrel: Essentials and advanc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8. Hong, S. W. and Sung, N. I. (2008). An empirical study on the korean household expenditure for private tutoring. Korea Review of Applied Economics, 10, 183-212. 

  9. Hyun, J., Lee, J. B. and Lee, H. Y. (2003). A Study on the educational fever of Korean parents,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Seoul. 

  10. Jackson, D. L. (2003). Revisiting sample size and number of parameter estimates: Some support for the n:q hypothe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0, 128-141. 

  11. Kang, S. H. and Lim, B. I. (2012). An analysis on determinants of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from a viewpoint of housewiv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 543-558. 

  12. Kim, E. J. (2007). A study on the social 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extra tutoring fe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1, 134-162. 

  13. Kim, G. S (2009). Latent growth modeling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Hannarae, Seoul. 

  14. Kim, K. K. (2000). Social capital within a family and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10, 21-40. 

  15.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Guilford, New York. 

  16. Lee, K. J. (2000). Structural equation model, Kyoyookbook, Seoul. 

  17. Lei, P. W. and Wu, Q. (2007). Introduction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sues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Educational Measurement: Issues and Practice, 26, 33-43. 

  18. MacKinnon, D. P., Fairchild, A. J. and Fritz, M. S. (2007). Mediation analysis.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58, 593-614. 

  19. MacKinnon, D. P., Lockwood, C. M., Hoffman, J. M., West, S. G. and Sheets, V. (2002). A comparison of methods to test mediation and other intervening variable effects. Psychol Methods, 7, 83-104. 

  20. Ormrod, J. E. (2006). Educational psychology: Developing learners, 5th Ed., Pearson/Merrill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J. 

  21. Ro, H. K. (2006).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arent factors, student factors, and private tutoring expense.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4, 97-118. 

  22. Rosseel, Y. (2012). lavaan: An R package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48, 1-36. 

  23. Statistic Korea. (2012), The survey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s (2011), Statistic Korea, Daejeon. 

  24. Ullman, J. B. (2006).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iewing the basics and moving forward.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87, 35-50. 

  25. Yu, J. P. (2012). The basics and interpret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Hannarae,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