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직무 배태성, 감성지능, 사회적지지,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Job Embeddedness,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1 no.1, 2015년, pp.32 - 42  

이소정 (중앙대학교병원) ,  우혜종 (중앙대학교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licit basic data for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s among job embeddedness,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upport, and the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Methods: Research design was to build a hypothetical causal model between 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직무 배태성 개념은 직장내적 요소, 직장외적 요소 두 가지 차원을 모두 반영한 것으로, 직무 중심으로만 이직의 영향력을 고려하던 선행연구들과 차이가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감성지능과 사회적지지를 매개변수로 하여 직무 배태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검증한 연구도 드물었기에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이직의도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공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유능한 간호 인력의 자발적 이직원인을 파악하고 이직을 최소화함으로써 핵심인재 확보 및 동기부여를 통해 그들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직무 배태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감성지능을 효과적으로 잘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 및 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직무 배태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국내 선행연구에서 직무 배태성의 구성요소 중 연계를 제외한 적합성과 희생만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있었으나[15-18], 또다른 연구에서는[14,19-20] 직무 배태성의 적합성, 희생, 연계 모두에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을 볼 때, 직무 배태성의 증가는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주요 변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무 배태성의 세 가지 구성요소를 측정변수로 하여 종속변수인 이직의도에 대한 설명력을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직무 배태성, 감성지능, 사회적 지지,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이들 요인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를 토대로 간호사의 직무배태성, 감성지능, 사회적 지지,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가설적 인과모형을 구축한 후 자료수집을 하여 모형의 적합성과 가설을 검정하는 모형구축 및 검증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간호사의 직무 배태성, 감성지능, 사회적 지지,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가설적 인과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의 적합성과 가설을 검증함으로써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6월 7일부터 6월 17일까지였으며, 연구윤리적 측면에 대한 생명윤리위윈회(IRB)의 승인(C2013095-1055) 후 간호부의 허락을 받고 자료수집을 진행하였다. 설문지 배부 시 피험자 설명문과 동의서를 첨부하여 연구의 목적과 연구과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였고, 연구 이외의 목적으로는 연구자료를 사용하지 않을 것을 약속하였으며, 참여를 희망하지 않을 경우 언제라도 거부할 수 있다는 내용을 포함하였다. 자료가 특정 간호단위에 편중되지 않도록 간호부 전체 간호사 수에 따른 일반병동, 특수부서, 기타부서의 간호사 비율을 고려하여 내과계 및 외과계 일반병동 150명, 중환자실, 수술실, 응급의료센터 등을 포함하는 특수부서 100명, 기타부서 50명으로 나누어 편의표집 하였으며, 설문지는 대상자가 직접 기입하는 방식으로 작성 예상 소요시간은 15~20분 정도였다.
  • 특히 Han[10]의 연구에서는 감성지능과 경력몰입을 동시에 투입한 경우 경력몰입의 매개를 통해 감성지능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요약하면, 감성지능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거나 매개변수를 통해서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어 본 연구에서도 이에 대한 검증을 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직무 배태성 이론을 적용하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간호사들이 지속적으로 병원에 머무르게 할 수 있도록 효율적 인적자원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직무 배태성, 감성지능,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직무 배태성, 감성지능, 사회적 지지의 구성 요인들이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 가설 4. 감성지능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질 것이다.
  • • 가설 5.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질 것이다.
  • • 가설 2. 직무 배태성이 높을수록 감성지능이 높을 것이다.
  • • 가설 3. 직무 배태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 것이다.
  • • 가설 1. 직무 배태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감소할 것이다.
  • 표본의 수는 모델검증에 이상적인 권장크기는 200 이상이라는 문헌[21]에 근거하고, 회수되지 않거나 응답 누락으로 구조모형 분석에 부적절한 자료의 탈락을 고려하여 300명으로 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들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감성지능보다 자신의 감성을 효과적으로 조절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감성지능은 직무 배태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매개변수로 작용하였으나, 감성지능이 높을수록 직무 배태성이 감소되어 오히려 이직의도를 더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는 직무 배태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간호사들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감성지능을 단순히 높이는 것보다는 개인 스스로 자신의 감성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감성지능이란 무엇인가? 한편, 구성원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감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감성지능은 인지능력을 뜻하는 ‘지능’과 대비되는 개념으로서, 지혜롭게 인간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타인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능력이라 정의한 Thorndike의 사회적 지능(social intelligence)의 개념에 그 근원을 두고 있다[6]. 국내에서는 감성지능, 정서지능으로 번역되어 혼용되기도 하는데, 조직 내에서 여러 가지 정서와 관련된 문제에 직면하였을 때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궁극적으로는 업무 수행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직무 배태성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직무 배태성은 자발적 이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서, 연계, 적합성, 희생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직구성원이 현재의 직무와 조직에 계속해서 근무하도록 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종합적이고 광범위한 연결망과 같은 것이다[5]. 즉, 한 개인은 마치 거미줄처럼 각 개인이 가지고 있는 연계의 수, 이들에 대한 애착의 정도나 연계의 강도 등으로 직장 내적 요소(on-the-job factor)와 가족, 취미, 종교활동 등의 직장 외적 요소(off-the-job factor)들과 서로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연결고리가 많을수록, 적합성이 높을수록, 희생해야 할 부분이 클수록 자발적 이직의도와 실제 이직은 낮게 나타나므로 조직은 직무 배태성을 높여줌으로써 유능한 인재의 자발적 이직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Jones CB. The costs of nurse turnover. Part 1. An economic perspectiv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4;3:562-570. http://dx.doi.org/10.1097/00005110-200412000-00006 

  2. Curry JP, Wakefield DS, Price JL, Mueller CW, McCloskey JC. Determinants of turnover among nursing department employee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985;8(4):397-411. http://dx.doi.org/10.1002/nur.4770080413 

  3. Mobley WH. Intermediate linka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77;62(2):237-240. http://dx.doi.org/10.1037/0021-9010.62.2.237 

  4. Griffeth RW, Hom PW, Gaertner S. A meta analysis of antecedents and correlates of employee turnover: Update, moderator tests, and research implications for the millennium. Journal of Management. 2000;26:463-488. http://dx.doi.org/10.1016/S0149-2063(00)00043-X 

  5. Mitchell TR, Holtom BC, Lee TW, Erez M. Why people stay: Using job embeddedness to predict voluntary turnover.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001;44:1102-1121. http://dx.doi.org/10.2307/3069391 

  6. Wong C, Law KS.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f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Leadership Quarterly. 2002;13(3):243-274. http://dx.doi.org/10.1016/S1048-9843(02)00099-1 

  7. Goleman D.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ntam Books;1995. 

  8. Cherniss C, Adler M. Promoting emotional intelligence in or ganization. Alexandria. VA: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 Development; 2000. 

  9. Ashforth BE, Humphrey RH.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93;18(1);88-115. http://dx.doi.org/10.2307/258824 

  10. Han SJ. Influence of clinical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ir career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Moderating role of career commitmen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1;11(7):418-425. http://dx.doi.org/10.5392/JKCA.2011.11.7.418 

  11. Cohen A.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 commitment and nonwork domains. Human Relation. 1995; 48:239-263. http://dx.doi.org/10.1177/001872679504800302 

  12. Simons RL, Beaman J, Conger R, Chao W. Stress, support, and antisocial behavior trait as determinants of emotional well-being and parenting practices among single mother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1993;55(2):385-398. http://dx.doi.org/110.2307/352809 

  13. Kim IS.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 out, turn over intention among hospit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09;15:515-526. 

  14. Kim HS, Yim HW, Jeong SH, Jo SJ. An association among verbal abuse, soci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for special unit nurses in a hospita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2009;21(4):388-395. 

  15. Kim EA.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2013;3(1):27-47. 

  16. Park KK, Lee K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in Korea. Korean Management Review. 2004;33(5):1423-1440. 

  17. Ko JS.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urnover intention by job embeddedness.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2012;25(2):1789-1810. 

  18. Kim YM, Kang YS.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plateau, self-efficacy,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10):5078-5090. http://dx.doi.org/10.5762/KAIS.2013.14.10.5078 

  19. Kang MS, Kang YS. Empowerment moderating effect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intention to transfer in service industry employee.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2011; 25(3):195-214. 

  20. Song BS, Kang MS, Kim HC. Emotional intelligence moderating effect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intentional transfer.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2010;24(1):419-437. 

  21. Sung TJ. Easy statistical analysis for SPSS/AMOS users. Seoul: Hakjisa; 2007. p. 339-388. 

  22. Jo KJ. A study on work-family conflict and its consequences among sales persons [dissertation]. Chungju: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08. 

  23. Mobley WH. Employee turnover: Cause, consequences, and control. MA: Addision-Wesley; 1982. 

  24. Moon SJ. Structural model of nurses' intentions of changing work places [dissertation].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10. 

  25. Kim JH. The effects of job embeddedness on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hospital employee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ity traits [dissertation]. Busan: Kyungsung University; 2010. 

  26. Chung KY, Kim WD.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of hotel employees: Moderating role of leader-member exchange.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2008; 11(4):419-444. 

  27. Lee MS, Jung DJ.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job embeddedness of hotel employee.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2013;25(8):95-112. 

  28. Sung YH, Hwang MS, Kim KS, Chun NM. Influence of clinical nurse specialists'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3):259-266. http://dx.doi.org/10.11111/jkana.2010.16.3.259 

  29. Jeon JH, Yom YH. Roles of empower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sion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3):302-312.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3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