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승모근 강화운동이 편측 경부통 환자의 통증, 기능장애, 경부 관절가동범위, 하승모근 근력에 미치는 영향 : 무작위 할당 대조군 실험
The Effect of Lower Trapezius Strengthening Exercises on Pain, Disability, Cervical Range of Motion and Strength of Lower Trapezius in Patients With Unilateral Neck Pain : A Controlled Randomized Trial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22 no.1, 2015년, pp.58 - 68  

김기용 (대전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김선엽 (대전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lower trapezius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on pain, neck disability index (NDI), cervical range of motion (ROM), and lower trapezius muscle strength in patients with unilateral neck pain. Following baseline measurements, the subjects (N=40) with unil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하승모근의 약화를 보이는 편측 경부통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하승모근 강화운동이 편측 경부통 환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5주간의 하승모근 강화운동 중재 후 통증과 기능장애 수준, 경부의 관절가동범위와 하승모근 근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통증과 기능장애 수준, 경부관절가동범위와 하승모근 근력에서 통계적으로 중재 전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선행연구들을 통해 경부통과 관련된 견갑골의 적응성 자세변화와 조절능력 소실의 원인으로 하승모근 근력의 약화와 협응력의 손상이 제시되었으나, 하승모근의 근력 변화와 임상적인 결과 변화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하승모근 강화운동이 경부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승모근 약화를 보이는 편측 경부통 환자에 적용한 하승모근 강화운동이 통증과 기능장애 수준, 관절가동범위, 하승모근 근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첫째, 하승모근 강화운동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은 중재 전후에 통증과 기능장애 수준, 경부 관절가동범위 그리고 하승모근 근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중재 전후의 경부 통증, 기능장애, 경부 관절가동범위, 근력의 변화 양상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승모근 강화운동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은 중재 전후에 통증과 기능장애 수준, 경부 관절가동범위 그리고 하승모근 근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중재 전후의 경부 통증, 기능장애, 경부 관절가동범위, 근력의 변화 양상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부통 환자들이 호소하는 증상은 무엇인가? 경부통 환자들은 통증과 함께 근육의 경직감과 긴장과 같은 주관적인 증상을 호소한다. 경부통 환자들의 주된 임상 증상에는 경부통증과 기능장애, 관절가동범위 제한과 경부 근육의 약화가 있으며 경부관절가동범위는 경부의 관절과 연부조직의 가동성을 확인하는 대표적인 측정방법으로 회전의 제한은 다른 방향과 비교하여 더 심각한 수준의 기능장애를 보인다(Olson 등, 2000).
편측 경부통 환자에 적용한 하승모근 강화운동에 대한 연구가설은 무엇인가?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승모근 강화운동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은 중재 전후에 통증과 기능장애 수준, 경부 관절가동범위 그리고 하승모근 근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중재 전후의 경부 통증, 기능장애, 경부 관절가동범위, 근력의 변화 양상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경부통 환자들의 주된 임상 증상은 무엇인가? 경부통 환자들은 통증과 함께 근육의 경직감과 긴장과 같은 주관적인 증상을 호소한다. 경부통 환자들의 주된 임상 증상에는 경부통증과 기능장애, 관절가동범위 제한과 경부 근육의 약화가 있으며 경부관절가동범위는 경부의 관절과 연부조직의 가동성을 확인하는 대표적인 측정방법으로 회전의 제한은 다른 방향과 비교하여 더 심각한 수준의 기능장애를 보인다(Olson 등,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rlotta M, Lovasco G, McLean L. Selective recruitment of the lower fibers of the trapezius muscle. J Electromyogr Kinesiol. 2011;21(3): 403-410. http://dx.doi.org/10.1016/j.jelekin.2010.11.006 

  2. Behrsin JF, Maguire K. Levator scapulae action during shoulder movement: A possible mechanism for shoulder pain of cervical origin. Aust J Physiother. 1986;32(2):101-106. http://dx.doi.org/10.1016/S0004-9514(14)60646-2 

  3. Bush KW, Collins N, Portman L, et al. Validity and intertester reliability of cervical range of motion using inclinometer measurement. J Man Manip Ther. 2000;8(2):52-61. 

  4. Cagnie B, Danneels L, Van Tiggelen D, et al. Individual and work related risk factors for neck pain among office workers: A cross sectional study. Eur Spine J. 2007;16(5):679-686. 

  5. Cook C, Burgess-Limerick R, Chang S. The prevalence of neck and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symptoms in computer mouse users. Int J Ind Ergon. 2000;26(3):347-356. 

  6. Cools AM, Witvrouw EE, Declercq GA, et al. Scapular muscle recruitment patterns: Trapezius muscle latency with and without impingement symptoms. Am J Sports Med. 2003;31(4):542-549. 

  7. Cools AM, Dewitte V, Lanszweert F, et al. Rehabilitation of scapular muscle balance: Which exercises to prescribe? Am J Sports Med. 2007;35(10):1744-1751. 

  8. Croft PR, Lewis M, Papageorgiou AC, et al. Risk factors for neck pain: A longitudinal study in the general population. Pain. 2001;93(3):317-325. 

  9. DiVeta J, Walker ML, Skibinski B.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of selected scapular muscles and scapular abduction in standing subjects. Phys Ther. 1990;70(8):470-479. 

  10. Ferrari R, Russell AS. Regional musculoskeletal conditions: Neck pain. Best Pract Res Clin Rheumatol. 2003;17(1):57-70. 

  11. Herr KA, Spratt K, Mobily PR, et al. Pain intensity assessment in older adults: Use of experimental pain to compare psychometric properties and usability of selected pain scales with younger adults. Clin J Pain. 2004;20(4):207-219. 

  12. Hill J, Lewis M, Papageorgiou AC, et al. Predicting persistent neck pain: A 1-year follow-up of a population cohort. Spine (Phila Pa 1976). 2004;29(15):1648-1654. 

  13. Hodges PW, Tucker K. Moving differently in pain: A new theory to explain the adaptation to pain. Pain. 2011;152(3 Suppl):S90-S98. http://dx.doi.org/10.1016/j.pain.2010.10.020 

  14. Janda V. Muscles and motor control in cervicogenic disorders. In: Grant R ed. Physical Therapy of the Cervical and Thoracic Spine. 3rd ed. New York, NY, Churchill Livingstone, 2002. 

  15. Johnson G, Bogduk N, Nowitzke A, et al. Anatomy and actions of the trapezius muscle. Clin Biomech (Bristol, Avon). 1994;9(1):44-50. http://dx.doi.org/10.1016/0268-0033(94)90057-4 

  16. Johnston V, Jull G, Souvlis T, et al. Neck movement and muscle activity characteristics in female office workers with neck pain. Spine (Phila Pa 1976). 2008;33(5):555-563. http://dx.doi.org/10.1097/BRS.0b013e3181657d0d 

  17. Jull G. Management of cervicogenic headache. In: Grant R ed. Physical Therapy of the Cervical and Thoracic Spine. 3rd ed. New York, NY, Churchill Livingstone, 2002. 

  18. Jull G, Barrett C, Magee R, et al. Further clinical clarification of the muscle dysfunction in cervical headache. Cephalalgia. 1999;19:179-185. 

  19. Jull G, Sterling M, Falla D, et al. Therapeutic exercise for cervical disorders: Practice pointers. In: Jull G ed. Whiplash, Headache and Neck Pain: Research based directions for the physical therapies. 1st ed. Philadelphia, PA, Churchill Livingstone, 2008. 

  20. Kibler WB, McMullen J. Scapular dyskinesis and its relation to shoulder pain. J Am Acad Orthop Surg. 2003;11(2):142-151. 

  21. Kim HY, Kim SY, Jang HJ, et al. Effect of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on patients with neck pain classified according to passive scapular elevation test. Phys Ther Korea. 2012;19(3):51-60. 

  22. Kendall FP, McCreary EK, Provance PG, et al.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5th ed. Baltimore, M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329-330. 

  23. Korhonen T, Ketola R, Toivonen R, et al. Work related and individual predictors for incident neck pain among office employees working with video display units. Occup Environ Med. 2003;60(7):475-482. 

  24. Korhonen T, Ketola R, Toivonen R, et al. Work related and individual predictors for incident neck pain among office employees working with video display units. Occup Environ Med. 2003;60(7):475-482. 

  25. McArdle WD, Katch FI, Katch VL. Exercise Physiology: Energy, nutrition, and human performance. 4th ed. Baltimore, M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996:490-498. 

  26. Mottram SL, Woledge RC, Morrissey D. Motion analysis study of a scapular orientation exercise and subjects' ability to learn the exercise. Man Ther. 2009;14(1):13-18. 

  27. McClure PW, Bialker J, Neff N, et al. Shoulder function and 3-dimensional kinematics in people with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before and after a 6-week exercise program. Phys Ther. 2004;84(9):832-848. 

  28. Olson SL, O'Connor DP, Birmingham G, et al. Tender point sensitivity, range of motion, and perceived disability in subjects with neck pain.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0;30(1):13-20. 

  29. Petersen SM, Wyatt SN. Lower trapezius muscle strength in individuals with unilateral neck pain. J Orthop Sports Phys Ther. 2011;41(4):260-265. http://dx.doi.org/10.2519/jospt.2011.3503 

  30. Pool JJ, Ostelo RW, Hoving JL, et al. Minimal clinically important change of the neck disability index and the numerical rating scale for patients with neck pain. Spine (Phila Pa 1976). 2007;32 (26):3047-3051. 

  31. Reinold MM, Escamilla RF, Wilk KE. Current concepts in the scientific and clinical rationale behind exercises for glenohumeral and scapulothoracic musculature.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9;39(2):105-117. http://dx.doi.org/10.2519/jospt.2009.2835 

  32. Sahrmann SA. Diagnosis and Treatment of Movement Impairment Syndromes. St Louis, Mosby, 2001:193-261. 

  33. Salaffi F, Stancati A, Silvestri CA, et al. Minimal clinically important changes in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intensity measured on a numerical rating scale. Eur J Pain. 2004;8(4):283-291. 

  34. Song KJ, Choi BW, Kim SJ, et al.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neck disability index. J Korean Orthop Assoc. 2009;44(3):350-3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원문 보기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