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상조건과 배설지 특성에 따른 수달(Lutra lutra) 분변의 표백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Bleaching Phenomenon of Otter (Lutra lutra) Spraints in Relation to Weather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prainting Sites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7 no.1, 2015년, pp.1 - 10  

노은영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  한성용 (한국수달연구센터) ,  유정칠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설 후 시간 경과에 의해 나타나는 수달(Lutra lutra) 분변의 표백현상은 신선한 분변(Fresh spraints)과 오래된 분변(Old spraints)을 알려주는 척도로 이용되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분변 표백현상에 대해 외적 특징만을 언급해왔을 뿐, 분변 간 발생하는 표백률의 차이를 설명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공극률, 연경도 같은 배설지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 미기상(Micrometeorology) 차이가 분변 간 표백률에 차이를 유발할 것이라 가정했다. 배설지 조건은 점토, 모래, 바위, 콘크리트의 네 가지 유형으로, 일사량의 영향을 보기 위해 다시 양지와 음지로 나누었다. 배설지 미기상은 지표면의 기온과 습도 측정을 통해 도출했고, 계절적 변화를 고려하기 위해 전 계절에 걸친 측정이 이루어졌다. 배설지 기상요소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양지에서 배설지 유형에 따라 미기상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배설지 미기상 차이가 분변 표백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양지의 바위와 콘크리트 배설지에서 높은 분변 표백률이 나타났으며, 특히 여름에는 양지의 점토 배설지에서 분변 표백률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63.4{\pm}7.6%$). 전 계절에 걸쳐 표백률이 가장 낮은 배설지는 모래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배설지의 분변 표백률은 계절과 햇빛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발생했고, 배설지 특성에 의한 열전도도 차이가 배설지 기온 차이를 유발함으로써, 분변 표백률에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분변을 간접흔적(Indirect sign)으로 이용하는 수달 생태조사에 있어서, 분변 표백현상에 대한 기존의 외적 평가는 계절, 배설지 특성 및 햇빛의 유무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leaching phenomenon of otter spraints is indicates that the age of spraints (fresh or old spraints). As previous studies on the old otter faeces (spraint) have focused only on the external changes of spraints, it has been difficult to explain the difference of the decomposition rates among ol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배설 후, 시간이 경과된 수달 분변에서 나타나는 표백현상이 분변 간에 차이를 보이는 이유를 계절별로 배설지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미기상 차이에 맞춰 조사했다. 태양 남중시각에 동시에 측정된 조사지역의 기상자료와 배설지 지표면 기상자료를 분석한 결과, 양지의 모든 배설지에서 조사지역과는 차이가 나는 배설지 미기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 따라서 신선한 분변이 발견된 시점으로부터 수달의 행동권을 파악하는 서식지 이용 강도(Habitat use intensity) 조사의 경우, 계절별로 신선한 분변에 대한 외적 평가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수달의 생태조사에 있어 분변 이용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후속 연구의 일환으로서, 신선한 분변과 오래된 분변을 나타내는 기존 외적 평가의 신뢰성을 알아보기 위해 계절과 배설지 특성, 햇빛의 유무에 맞춰 수달 분변의 표백현상을 분석했고, 이를 통해 수달 행동을 대변하는 지표로서의 분변 연구에 좀 더 정확성을 높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달의 생태적 역할은? 수달(Lutra lutra)은 수환경 먹이사슬의 최고 정점에 위치해있는 수환경의 조절자이며, 먹이사슬을 균형 있게 조절해주는 핵심종(Keystone species)으로 그 생태적 역할이 중시되고 있다(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2001). 수달은 해당 지역 수환경의 건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종(Indicator speceis)이기 때문에 하천과 습지 등에서 관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보전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IUCN, 1990).
기후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 1992). 기후는 일정 지역에서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는 대기현상의 평균적인 상태를 의미하므로, 본 연구에서 배설지 특성과 일사량의 영향에 따라 측정한 짧은 시간적 범위의 배설지 기상요소는 미기상(Micrometeorology)으로 정의하였다.
수달의 갓 배설한 신선한 분변의 크기를 노출된 면적을 측정하여 산출한 이유는? 수달의 분변은 일정한 형태가 없고, 물기가 많은 특성을 띄기 때문에(Kruuk, 2006) 배설지에 평평하게 배설된다. 따라서 갓 배설한 신선한 분변의 크기는 분변이 노출된 면적을 측정하여 산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Ando, M, Son, SW, and Shiraishi, S (1985). The common otter, Lutra lutra, in Southern Korea, Science Bulletin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Kyushu University, 40(1), pp. 1-5. 

  2. Ando, M, Han, SY, Shiraishi, S, Kim, BJ, and Hiroshi, O (2010). Changing status of the eurasian otter (Lutra lutra) at coastal area of Gyeongsangnam-do in Korea during 1982-2009, Presented at the 57th Annual meeting of the Ecological Society of Japan, Ecology Society of Japan, Tokyo, Japan, March 15-20, pp. 452. 

  3. Arrendal, J, Vila, C, and Bjorklund, M (2007). Reliability of noninvasive genetic census of otters compared to field censuses, J. of Conservation Genetics, 8(5), pp. 1097-1107. 

  4. Beard, DC, and Weyl, PK (1973). Influence of texture on porosity and permeability of unconsolidated sand, AAPG bulletin, 57(2), pp. 349-369. 

  5. Carss, DN (1995). Foraging behaviour and feeding ecology of the otter Lutra lutra: a selective review, J. of Hystrix, 7(1-2), pp. 179-194. 

  6. Carss, DN, Elston, DA, and Morley, HS (1998). The effects of otter (Lutra lutra) activity on spraint production and composition: implications for models which estimate prey­size distribution, J. of Zoology, 244(2), pp. 295-302. 

  7. Cha, JH (2011). Measurements of thermal properties of soils and rocks and analyses of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using structural models, Ph. D. Dissert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South Korea. [Korean Literature] 

  8. Chapman, CA, Wrangham, RW, Chapman, LJ, Kennard, DK, and Zanne, AE (1999). Fruit and flower phenology at two sites in Kibale National Park, Uganda, J. of Tropical Ecology, 15(2), pp. 189-211. 

  9. Cho. HS, Choi, KH, Lee, SD, and Park, YS (2009). Characterizing habitat preference of eurasian river otter (Lutra lutra) in streams using a self-organizing map, J. of Limnology, 10(3), pp. 203-213. 

  10. Choi, JW (2010). BASIC DSLR KNOWHOW BOOK, UCM Publisher. [Korean Literature] 

  11. Clauser, C, and Huenges, E (1995). Thermal conductivity of rocks and minerals, AGU reference shelf, 3, pp. 105-126. 

  12.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2001). The Research of Inhabitation Condition and Protection Plan of Eurasian Otters a Natural Monument, GOVP1200617441,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Korean Literature] 

  13. Davis, HG, Aulerich, RJ, Bursian, SJ, Sikarskie, JG, and Stuht, JN (1992). Feed consumption and food transit time in northern river otters (Lutra canadensis), J. of Zoo and Wildlife Medicine, 23(2), pp. 241-244. 

  14. Erlinge, S (1967). Home range of the otter Lutra lutra L. in Southern Sweden, J. of Oikos, 18(2), pp. 186-209. 

  15. Erlinge, S (1968). Territoriality of the otter Lutra lutra L, J. of Oikos, 19(1), pp. 81-98. 

  16. Galo, AT, Rich, PM, and Ewel, JJ (1992). Effects of forest edges on the solar radiation regime in a series of reconstructed tropical ecosystems, American Society for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Technical Papers, pp. 98-108. 

  17. Green, J, Green, R, and Jefferies, DJ (1984). A radio-tracking survey of otters Lutra lutra on a Perthshire river system, J. of Lutra, 27(1), pp. 85-145. 

  18. Guter, A, Dolev, A, Saltz, D, and Kronfeld-Schor, N (2008). Using videotaping to validate the use of spraints as an index of eurasian otter (Lutra lutra) activity, J. of Ecological indicators, 8(5), pp. 462-465. 

  19. Han, CW, and Yoon, M H (2012). Construction works at the Busan new port on the activity of otters, J.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5), pp. 654-667. [Korean Literature] 

  20. Han, SY (1997). The ecological studies of eurasian otter (Lutra lutra) in south korea, Ph. D. Dissertation, Kyungnam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South Korea. [Korean Literature] 

  21. Hanna, MM, Steyn-Ross, DA, and Steyn-Ross, M (1999). Estimating biomass for New Zealand pasture using optical remote sensing techniques, J. of Geocarto International, 14(3), pp. 89-94. 

  22. Harper, RJ, and Jenkins, D (1982). Molt in the european otter (Lutra lutra), J. of Zoology, 197, pp. 298-299. 

  23. Hutchings, MR, and White, PCL (2000). Mustelid scentmarking in managed ecosystems: implications for population management, J. of Mammal Review, 30(3-4), pp. 157-169. 

  24. Hwang, HJ (2008). Earth Architecture, CIR Publisher. [Korean Literature] 

  25.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IUCN) (1990). 199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Animals, IUCN, Gland, Switzerland and Cambridge, UK. 

  26. Jeong, WJ (2003). Distribution and habitat use of eurasian otter (Lutra lutra) in odaesan national park, Master's Thesis, Kyungnam ational University, Changwon, South Korea. [Korean Literature] 

  27. Jung, HM, Won, DY, and Jung, JE (2013).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for adapting Image J programs on mouse calvarial defected model, J.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9), pp. 365-370. [Korean Literature] 

  28. Kang, JH, Nam, TW, Kwon, KJ, Jung, SY, Son, JI, Lee, SH, Park, YM., and Han, SY. (2011). The research of inhabitation condition and protection plan of otter (Lutra lutra) in the North Han river system, J. of monthly Cultural Heritage, 44(2), pp. 46-57. [KoreanLiterature] 

  29. Korea Astronomy & Space science Information (KASI), http://www.kasi.re.kr/. 

  3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http://www.kma.go.kr/. 

  31. Kruuk, H (2006). Otters: Ecology, Behaviour and Conserv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K. 

  32. Kruuk, H, and Conroy, JWH (1987). Surveying otter Lutra lutra populations: A discussion of problems with spraints, J. of Biological conservation, 41(3), pp. 179-183. 

  33. Lee, BS (1979). A study of natural seasons in Korea, J.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14(2), pp. 1-11. [Korean Literature] 

  34. Lee, SD (2012). Studies on Food Items of River Otter Residing in the Hongchon Stream, J. of Korean Wetlands Society, 14(4), pp. 591-596. [Korean Literature] 

  35. Lewin, RA (1999). Merde: Excursions in Scientific, Cultural, and Socio-Historical Coprology, Random House Publisher, New York, USA. 

  36. Magalhaes, MF, Beja, P, Canas, C, and Collares­Pereira, MJ (2002). Functional heterogeneity of dry­season fish refugia across a mediterranean catchment: the role of habitat and predation, J. of Freshwater Biology, 47(10), pp. 1919-1934. 

  37. Mason, CF, and Macdonald SM (1987). The use of spraints for surveying otter Lutra lutra populations: An evaluation, J. of Biological conservation, 41(3), pp. 167-177. 

  38. Melquist, WE, and Hornocker, MG (1983). Ecology of river otters in west central Idaho, J. of Wildlife Monographs, 83, pp. 1-60. 

  39. Myeong, SJ (2009). A study on strategies to mitigate urban heat island effects as part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urban areas, J. of Korea Environment Institute of basic research, 2009(8), pp. 1-32. [Korean Literature] 

  40. Piggott, MP (2005). Effect of sample age and season of collection on the reliability of microsatellite genotyping of faecal DNA, J. of Wildlife Research, 31(5), pp. 485-493. 

  41. Prenda, J, and Granado-Lorencio, C (1996). The relative influence of riparian habitat structure and fish availability on otter Lutra lutra L. sprainting activity in a small mediterranean catchment, J. of Biological conservation, 76(1), pp. 9-15. 

  42. R Core Team (2014).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ting, Vienna, Austria, http://www.r-project.org/. 

  43. Rasband, WS. Image J.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http://imagej.nih.gov/. 

  44. Reuther, C, Kolsch, O, and Janben, W (2000). Surveying and monitoring distribution and population trends of eurasian otter (Lutra lutra), IUCN Otter Spec. Group Bull, 17(2), pp. 80-82. 

  45. Romanowski, J, and Cygan, JP (1996). Notes on the technique of the otter field survey, J. of Acta Theriologica, 41, pp. 199-204. 

  4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http://www.rda.go.kr/. 

  47. Sidorovich, VE (1991). Structure, reproductive status and dynamics of the otter population in Byelorussia, J. of Acta Theriologica, 36(1-2), pp. 153-161. 

  48. Sidorovich, VE (2000). Distribution and population density of the otter (Lutra lutra) and pollution of aquatic ecosystem in Belarus, Proceedings of the First Otter Toxicology Conference, Conroy, JWH., Yoxon, P, Gutleb, AC (eds.), Isle of Skye, Scotland, J. of the International Otter Survival Fund, 1, pp. 83-95. 

  49. Son, JI (2000). Distribution and habitat use of eurasian otter (Lutra lutra) in Dong River, Korea, Master's Thesis, Kyungnam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South Korea. [Korean Literature] 

  50. Tansley, D (2009). Essex Otter Survey 2008. Essex Wildlife Trust Publisher, Essex, UK. 

  51. Tarnawski, VR, Leong, WH, Gori, F, Buchan, GD, and Sundberg, J (2002). Inter­particle contact heat transfer in soil systems at moderate temperatures, J. of energy research, 26(15), pp. 1345-1358. 

  52. Yoon, MH (2003). Changes in distribution of otter, Lutra lutra, with the development of the Busan new port, J. of Institute of Basic Science, Kyungsung University, 15, pp. 193-205.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