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호주이민 한인 중년여성의 가족지지와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Family Support and Self-esteem Among Middle-aged KoreanWomen Immigrants in Australia: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19 no.3, 2015년, pp.63 - 80  

하춘광 (경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석희정 (경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 and self-esteem among middle-aged Korean women immigrants in Australia with a focus on the effects of depression, which seems to likely mediate these two variabl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147 middle-aged Korean w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렇지만 최근에는 자아존중감을 다양한 요인에 의해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 있는 가변적인 내적변인이라는 입장이 대두되어 자아존중감이 환경이나 시간에 따라 변화한다는 자아존중감의 불안정성 개념이 제시되고 있다(김경호 외, 200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울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로 보았다. 그 외에도 해외이민 중년여성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심리적 복지 관련 변인을 연구한 Yeh((2003)는 이주민의 연령, 직업, 교육정도, 결혼상태, 거주기간 등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나 해외이주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또 다른 연구에서는(박형원, 2012; 박명숙, 2009) 연령, 교육수준, 결혼지위, 가족의 월수입, 이민기간 등의 일반적인 배경 변인에 따른 심리적 복지의 수준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고 하여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이와 함께 호주이민자들의 심리적 건강요인(오성희 외, 2007)을 분석한 연구가 있으나 호주에 이민 온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심리적 변인을 중심으로 접근한 연구는 찾아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주이민 한인 중년여성의 환경적 변인인 가족지지가 개인 내적 변인인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들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심리적 복지를 강화시킬 수 있는 실천적 개입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호주이민한인 중년여성을 포함한 해외이민 한인 중년여성들의 심리적 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증적 자료가 될 것이다.
  • 본 연구 결과는 실천적 및 정책적 관점에서 선행변수와 매개변수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호주 및 해외이민 여성들의 심리적 고통을 감소하고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한인커뮤니티 안에서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통합적 자원연결을 위한 노력을 제안하고자 한다. 예를 들면 우울예방프로그램, 가족기능 강화 프로그램을 통해 호주이민 중년여성의 긍정적인 가족관계를 조성할 수 있는 남편대상 교육 및 상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런 활동들은 호주이민 중년여성들의 심리적 복지증진을 위한 방안으로 바람직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고 본다.
  • 본 연구는 호주에 거주하는 한인여성 중년층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가족지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4년 현재 시드니에 거주하는 여성 중년층 이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기술분석, 상관관계분석, 신뢰도 분석,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연구모형분석을 하였다.
  • 본 연구에서 변수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분석에 사용할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에서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측정모형의 분석을 통해 잠재변수로 사용된 변수의 지표들이 이론 개념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보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모형을 분석하였다. 측정모형은 잠재변수들이 측정변수를 통해 어떻게 측정되는가를 설정하는 것인데, 측정모형분석을 통해 잠재변수로 사용된 변수의 지표들이 이론적 개념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호주 이민 한인 중년여성의 가족지지와 자아존중감의 관계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으로 적용하여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 이상으로 본 연구는 호주이민 한인 중년여성의 가족지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을 매개할 것으로 본 우울의 매개효과를 분석해보았다.
  •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호주이민 중년여성들의 우울과 자아존중감 등 심리적 건강의 제고를 위한 가족지지 강화의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4. 가족지지는 우울을 매개로 하여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1년 외교통상부가 조사한 해외동포 수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이념과 국적에 구애받지 않고 일상영역에서 함께 생활하는 환경이 조성됨에 따라 자신이 살던 모국을 떠나 해외로 이주하는 인구의 규모도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다(하춘광, 2014). 외교통상부의 자료에 의하면 2001년 5,653,809명이던 해외동포는 2011년 7,268,771명으로(외교통상부, 2011) 10년 동안 약 30%의 증가율을 보여주고 있다. 
호주에 본격적으로 이민 유입이 된 시기는 언제인가? 1973년 호주정부가 백호주의(White Australia)를 공식적으로 포기하고, 다문화정책을 채택하면서 아시아계와 비유럽인을 수용하기 시작했고 한국인의 호주 이민도 이때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본격적인 이민은 호주가 자신의 나라에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이주민의 수적 증가뿐만 아니라 유용한 인재를 유입하는데 중점을 둔 1980년대에 증가하기 시작 했다. 1982년에 숙련노동자를 우선적으로 선호하는 이민 선발제도를, 1988년에는 전문가의 단기체류를 쉽게 하는 ‘기술이전계획’을 도입했고 1992년의 ����이주개혁법����에서는 사회경제적 목적에 필요한 이주민을 받아들이는 목적 중심적 이민프로그램을 수립했다.
한국인의 호주이민은 언제 시작되었는가? 한국인의 해외이민사 가운데 호주이민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1973년 호주정부가 백호주의(White Australia)를 공식적으로 포기하고, 다문화정책을 채택하면서 아시아계와 비유럽인을 수용하기 시작했고 한국인의 호주 이민도 이때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본격적인 이민은 호주가 자신의 나라에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이주민의 수적 증가뿐만 아니라 유용한 인재를 유입하는데 중점을 둔 1980년대에 증가하기 시작 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9)

  1. 강경자(2000). 퇴행성 근골격계 질환을 가진 중년여성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자아존중감의 관계. 대한류마티스 건강전문학회, 7(1), 5-24. 

  2. 고종태.정미경.김혜선(2008). 평생교육 참여 유무에 따른 중년기 여성의 생의 의미인식 및 죽음불안 태도와의 관계연구. 평생교육학연구, 14(2), 61-86. 

  3. 김경호.김지훈(2008). 노인의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가족과 문화, 20(4), 95-116. 

  4. 김남영(2003). 가족지지가 간경변증 환자의 자가 간호와 질병상태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도환(2001). 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 연구. 한국 노인복지학회, 20, 113-144. 

  6. 김도희(2008). 결혼이민 여성의 양육효능감에 관한 영향연구: 문화적응 매개효과 중심으로.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 김미령(2004). 탈북자의 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자료집, 540-565. 

  8. 김병석(2000). 호주이민의 배경과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NSW 거주 한인 이민자들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순옥.임현숙.정구철(2013).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 가족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3(11), 221-235. 

  10. 김영성(2006). 호주 한국인의 사회.문화적 적응과 거주이동. 지리학연구, 40(4), 497-512. 

  11. 김정림(2013). 죽음준비교육이 중년여성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생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부산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노연희(2011).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 가족지지 및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명숙.강희경(2009). 미국 이민여성의 심리적 복지와 관련 변인. 사회과학 연구, 25(1), 79-93. 

  14. 박형원(2010). 해외지주 한인 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재영 한인 여성을 중심으로. 문화콘텐츠학회논문지, 10(8), 308-316. 

  15. 박형원(2012). 해외이주 한인가정의 가족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사회연구, 32(4), 304-331. 

  16. 설병수(2001). 해외이민의 명암: 호주 내 한인들의 이민동기와 실제생활. 재외한인연구, 11, 57-98. 

  17. 성태제(2007). 알기 쉬운 통계분석. 서울:학지사 

  18. 송광례(2009). 결핵전문병원 폐결핵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송성자(2002). 가족과 가족치료. 서울: 법지사. 

  20. 양진운(2011). 미국 한인이민자 초기이민 적응과정 연구 : LA 한인타운지역민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2, 137-176. 

  21. 양유정.신성희(2014). 중년부부의 자아존중감과 가족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정신간호학회지, 20(2), 52-69. 

  22. 오성희.박기환(2007). 이민자들의 심리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계 호주이민자들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21(4), 55-69. 

  23. 외교통상부(2011). 외교통상업무 참고자료. 

  24. 이민수(2005). 우울증 119. 서울: 가림 출판사. 

  25. 이인선(2004).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외국인 노동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이지현.강형곤.정우식.채유미.지영건(2008). 취업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서울 지역 남성노인을 중심으로 -. 한국노년학, 28(1), 143-156. 

  27. 이태주(2007). 다민족.다문화사회 진전에 있어서의 사회 갈등 양상과 극복 과정: 호주와 일본의 사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8. 이혜원(2011). 재외동포의 자아존중감 양육행동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라오스 한글학교 부모를 대상으로. 보건사회 31(4), 258-284. 

  29. 이희연.전혜성(2011). 중년기여성의 삶의 기대, 마음 챙김,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11(7): 270-277. 

  30. 임선영.김태현(2005). 청년 실업자의 개인적 특성과 가족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1), 51-73. 

  31. 정상우(2008). 호주의 다문화주의 정책과 법. 한국법제연구원. 

  32. 정지영.임정하(2011). 청소년의 기질, 가족 건강성, 사회적 지지가 자아탄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 교육학회지, 23(1), 1-21. 

  33. 조윤주(2009). 외모 스트레스가 아동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7(8), 87-99. 

  34. 최형화(2014). 재미한인 어머니가 지각하는 남편의 지원과 우울, 양육 효능감, 양육행동이 아동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2(6), 561-571. 

  35. 하춘광(2014). 해외이주 한인들의 여가 활동 참여와 문화적응의 관계. 한국사회정책, 21(4), 137-164. 

  36. 한경혜.김주현.김경민(2003). 중년기 남녀의 사회적 관계망과 정신건강. 한국 노년학, 23(2), 155-170. 

  37. 한수현(2003). 사회적 지지와 진로태도 성숙 및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한금선(2000). 미국 이민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반응, 스트레스 증상, 건강증진 행위,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0(3), 606-618. 

  39. 호주한인 50년사 편찬위원회(2007). 호주 한인 50년사. 호주 : 시드니. 

  40. 호주한인회보(2014). 호주 한인회 

  41. 홍세희(2007). 구조방정식 모형의 이론과 응용. 고급연구방법론 워크샵 I 미간행 시리즈. 

  42. 허제은.태영숙(2014). 중년여성의 영적 안녕,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한성인간호학회지, 26(2), 181-190. 

  43. Aycan, Z., and J. W. Berry.(1996). Impact of employment-Related on immigran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daptation to Canada. http://www.cpa.ca/cjbsnew/1996/fulaycan.html. 

  44. Beiser, M. N., & Hou, F.(2006). Ethnic identity, resettlement stress and depressive affect among Southeast Asian refugees in Canada. Science and Medicine, 63, 137-150. 

  45. Bernstein, K. S.(2007). Mental health issues among urban Korean American immigrants.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18(2), 175-180. 

  46. Berry, J. W.(1997).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4691, 5-68. 

  47. Brown. M. W. and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fit in K. A. Bollen & J. S. Long(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pp. 136 - 162). Newbury Park, CA: Sage. 

  48. Buhler, C.(1968). The course of human life as a psychology Problem. Hum Development, 11, 184-260. 

  49. Choi, H. I., Chae, H. T., & Song, I.U.(2009).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relationship between elderly's stressful life events and hopelessness. Th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3, 183-202. 

  50. Coopersmith, S.(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CA : W. H. Freeman. 

  51. Dean, A., & Lin, N.(1977). The Stress-buffering role of social support: problems and prospects for systematic investigation.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65(6), 403-413. 

  52. Department of hearth and human services. http://www.ajph.org 

  53. DIAC(2008). The people of Australia Canberra : common wealth of Australia, 17. 

  54. Erikson, E. H(1963). Childhood and society. Newyork: W.W. Norton & Company. Inc, 266-268. 

  55. Feldman, D.B., & Snyder, C.R.(2005). Hope and the meaningful life: Theoretical and empirical association between goal-directed thinking and life meaning.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4, 401-421. 

  56. Hurlock, E. B. (1974). Development psychology. tata McGrow-Hill Publishing Company Ltd. Newdelhi. 671-679. 

  57. Hing, B. O., and R. Lee.(1996). Reframing the immigration debate: The State of Asian American pacific America a public policy report. Los Angeles, CA : Leap & UCLA. 

  58. Jaenicke, C., Hammen, C., Zupan, B., Hirote, D., Gordon, D., Adrian, C., et al.(1987). Cognitive vulnerability in children at risk for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Children Psychology, 15, 559-572. 

  59. Kang, W. K.(2002). A Study on relationship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family support and family function the mentally handicapped perceiv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60. Kim, G. S., Jeon, Y.S., & Lee, C. W.(2009). The influence of attachment 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Journal of Korean Family Therapy, 17(1), 209-224. 

  61. Lee, E.G., & park, S.Y.(2011).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dolescents' depressive experiences, depression, and self-esteem and the importance of self-identity status.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18(4), 101-123. 

  62. McDowell, I., & Newell, C.(1996). Psychological well-being. Measuring Health a Guide to Rating Scales and Questionnaires, 2, 177-237. 

  63. Millers, R(1980). Family focused care. Mc Grow-Hill Book Co. 

  64. Miranda, A. O., Estrada, D., Firpo-jimenez, M.(2000). Difference in family cohesion, adaptability, and environment among latino families in dissimilar stages of acculturation. The family Journal : Counseling and Therapy for Couples and Families, 8(4), 341-350. 

  65. Pang, K. Y. C.(1994). Understanding depression among elderly Korean immigrants through their fork illness. Medical Anthropology Quarterly, 8(2), 209-216. 

  66. Papalia, D. E., and S. W. Olds.(1992). Human development. McGrow-Hill KogaKusha. Ltd. Tokyo. 

  67. Oh, S. H.(1998). The relation among adolescent's attachment self esteem and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hesis, Seogang University, Seoul. 

  68. Pfeiffer, C. M.(1977). Old age in a changing society. New York-view point. 

  69. Rosenberg, M.(1965). Which significant other? American Behavior Scientist, 16, 829-860. 

  70. Rosenberg, M.(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NY : Basic Books. 

  71. Schwartz, S. J., pantin, H., Prado, G.,Sullivan, S., Szapocznic, J.(2005). Family functioning, identity, and problem behavior in hispanic immigrant early adolescents.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5(4), 392-420. 

  72. Shin, J. K.(2002). Help-seeking behaviors by Korean immigrants for depression.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23(5), 461-476. 

  73. Taft, I. B.(1985). Self-esteem in later life: A nursing perspective. Advances in Nursing Science, 8(1),77-84. 

  74. Tak, Y. R. and M. McCubbin.(2002). Family stres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following the diagnosis of a child's congenital heart disease. J. of Advansed Nursing, 39(2), 190-198. 

  75. Williams, C. L. & J. W. Berry.(1991). Primary prevention of acculturative stress. American Psychologist, 46(6), 632-641. 

  76. Yeh, C. I.(2003). Age, acculturation, cultural adjustment, and mental health symptoms of Chinese, Korean and Japanese immigrant youths. Cultural Diversity and Ethnic Minority Psychology, 9(1), 34-48. 

  77. Zastrow, C. and K. Kirst-Ashman.(2001). Understanding human behavior and the social environment. Nelson-Hall publisher, Chicago. 

  78.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and Farley, G. K.(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1), 30-41. 

  79. Zung, W. K.(1965).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rch Gen Psychiatry, 12(1), 63-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