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산층의 여가활동 특성 및 여가생활만족도와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012년 국민여가활동조사를 바탕으로
The Study on Leisure Activities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 Analysis of Leisure Satisfaction Between Happiness Level in Middle Classes. : Based on 2012 Survey on National Leisure Activity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19 no.3, 2015년, pp.121 - 142  

박민정 (대전대학교 아동교육상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olve the factors that affect happiness levels and leisure life satisfaction of middle-class and to find way to incorporate them into policy. In this study, a status analysis on leisure life and One-Way ANOVA conduct a study on leisure resource and income levels t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2년 국민여가활동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여가정책수립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중산층의 여가생활실태분석과 함께 여가생활만족도-행복수준에 영향을 주는 여가자원에 대한 분석과 중산층의 여가생활만족도와 행복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궁극적으로는 사회적-제도적으로 중산층의 건강성을 추구할 수 있는 여가생활의 정책적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경제 및 사회의 핵심계층으로 소비의 주축, 사회 안정의 근간, 국민생활의식을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중산층의 여가생활을 실태를 알아보고 여가생활만족도와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자원을 분석하여 정책적으로 지원방향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원자료에서 여가비용에 관련된 문항은 월평균 여가비용과 월평균 희망여가비용 그리고 여가비용의 충분도를 조사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추가로 희망여가비용과 월평균 여가비용의 차이에 대해서도 분석해 보았다(참고).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2년 국민여가활동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여가정책수립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중산층의 여가생활실태분석과 함께 여가생활만족도-행복수준에 영향을 주는 여가자원에 대한 분석과 중산층의 여가생활만족도와 행복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궁극적으로는 사회적-제도적으로 중산층의 건강성을 추구할 수 있는 여가생활의 정책적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 양극화 현상에 대한 통계수치는 어떠한가? 한국의 양극화 현상에 대한 통계수치를 살펴보면, 한국의 소득상위 1%(2012년 기준)의 연 소득은 3억1370만 원으로 중위소득자(전체 근로소득자 소득 순위 중 정중앙에 위치한 소득자·연 1660만원)의 19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의 종합소득 최상위 100명의 평균금액은 2007년 165억 원에서 2012년 238억8000만 원으로 44.8%나 증가했다. 차상위 900명의 소득 증가율(24.4%)과 상위 10만 명의 증가율(34.9%)을 훨씬 웃도는 수치다. 한국의 사회·경제적 격차가 얼마나 심각한지는 주요 선진국과 비교하면 금방 알 수 있는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2014년 통계연보에 따르면 한국의 ‘빈곤차이(빈곤갭)1)’ 비율은 39%로 스페인(42%)과 멕시코(41%)에 이어 OECD 회원국 중 세 번째였다(김상조, 2014).
싱글족이 그 어느 계층보다 다양하고 폭 넓은 여가 생활을 한다고 볼 수 있는 이유는? 싱글족인 미혼 독신자들은 기혼자들에 비해서 다른 가족 구성원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기 때문에 시간사용과 여가활용에 있어서 상당히 자유롭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미혼 독신자들은 자신의 경제적 능력으로 자유로운 여가 시간을 여가 생활을 즐길 수 있기에 그 어느 계층보다 다양하고 폭 넓은 여가 생활을 한다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이우람, 2013).
1997년 IMF 외환위기로 인해 기업 구조조정과 함께 고용없는 성장이 이루어지면서 나타난 문제점은? 소득불평등으로 인한 '양극화(polarization)'에 대한 문제는 우리 사회의 불평등을 상징하는 용어로 대두하여, 소득으로 인한 경제적 불평등과 함께, 교육-주거-소비-의식 등 사회 전 분야에서 그러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한국사회의 경우 1997년 IMF 외환위기로 인해 기업 구조조정과 함께 ‘고용없는 성장’이 이루어지면서 소득, 자산 불평등이 심화되었고, 정규직-비정규직의 노동시장 양극화는 불안정한 소득과 차별적 저임금을 양산하여 폭넓은 중산층 형성을 기대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경향신문(2013). 한국인 유급휴가 일수 연평균 10일로 최저. 2013. 12. 11. http://news.donga.com/3/all/20140903/66182517/1#. 

  2. 김맹선.이문주(2005). 전업주부의 여가형태에 따른 만족도 연구, 소비문화 연구, 8(3), 63-76. 

  3. 김상조 (2014). 국세청의 통합소득 자료를 이용한 소득분배 및 실효세율 추이 분석. 서울: 경제개혁연구소 

  4. 김승현 (2013). 여가활동 참여 대학생들의 여가정체성 및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김영태 (2006). 중산층의 투표행태: 1992년-2002년 대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중산층 역할과 사회발전 제2차 포럼, 58-75. 

  6. 김외숙 (1997). 도시기혼여성의 여가선호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 79-88. 

  7. 김정욱 (1996). 가족생활주기와 여가활동 참여의 관계.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종환 (1995). 생애주기에 따른 대도시 주민의 여가활동유형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김현수 (1996). 도시 중산층의 여가양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동아일보 (2014). 국가대혁신, '골든타임. 2014. 09. 03. http://bizn.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312111149451&code920401&medkhan. 

  11. 문숙재.윤소영.차경욱.천혜정 (2005). 여가문화와 가족. 서울: 신정 

  12. 박광주 (1985). 국가론을 통한 한국정치의 패러다임 모색 : 최근의 연구동향과 그 반성, 한국인문사회과학원, 9(2). 30-78. 

  13. 박민정.윤소영 (2013). 근로자의 주 40시간 근무제 시행 유무에 따른 여가자원 이용 및 여가활동 비교분석 : 2012년 국민여가활동조사 결과를 기초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4), 19-37. 

  14. 박민정.윤소영 (2013). 청소년의 여가활동 유형, 사회적 관계,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125-138. 

  15. 박성연.이기영 (2007). 주5일 근무제에 따른 직장인의 여가 만족,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4), 137-154. 

  16. 신인수 (2005). 가족여가 증진을 위한 가족공원 개념화 및 실행방안 연구 : 하남시 미사리 조정경기장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오혁제 (2009). 중산층에 대한 사회경제적 요인과 주관적 계층의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계층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유계숙.김수화.임정현.최혜림.채희화(2011). 가족여가활동.가족식사활동 빈도와 가족친밀도가 초등학생 자녀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3), 99-116. 

  19. 윤소영 (2006). 노인 여가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6(1), 187-202. 

  20. 이기숙 (1995). 중년기 여성의 사회활동. 한국가족학 연구회. 대한 어머니회 중앙연합회 제2회 심포지엄 자료집. 

  21. 이두희.박미석 (1998). 여가와 삶의 질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한국소비자학회, 9(4), 101-116. 

  22. 이연숙.김외숙.이기영.조희금.이승미.김하늬.한영선 (2012). 가족공유 여가시간 및 결정요인 : 부부, 미취학자녀, 그 외 가족 및 친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1), 199-227. 

  23. 이우람 (2013). 결혼적령기 전-후 미혼여성들의 여가권태 및 여가시간과 여가활동 유형의 영향요인: 평균초혼연령을 기준으로.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이윤정 (2003). 노인 여가의 기능과 여가자원에 관한 문헌고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7(2), 117-130. 

  25. 이정우 (1997). 중년기 기혼여성의 여가태도와 여가행동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 79-95. 

  26. 이정우.이윤미 (1999). 신세대 기혼여성의 여가시설선호 및 여가활동참여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3(2), 1-16. 

  27. 이정우.장병욱 (2001). 도시주부의 정보이용도와 여가자원에 따른 여가활동유형과 여가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5(2), 29-44. 

  28. 이준협 (2014). 당신은 중산층 입니까. 서울: 현대경제연구소. 

  29. 이지혜 (2011).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가족여가활성화를 위한 관련 변인 고찰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0. 이해욱 (2010), 노인의 행복한 여가생활을 위한 네트워크형 노인여가복지시설 공급방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집, 2010(1), 17-25. 

  31. 장연주.이기영.최현자 (2012). 여가시간과 시간압박감의 관계 : 성별에 따른 성역할 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4), 195-211. 

  32. 조동기 (2006). 중산층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주관적 계층의식, 한국인구학, 29(3), 89-109. 

  33. 조명희 (2006). 노년기 여가활동: 노년기 여가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6(1), 163-183. 

  34. 조민구 (2015). 여가정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여가활동 영향요인의 실증적 연구. 한국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5. 조택구.최진이 (2008). 각국의 여가정책에 관한 비교분석, 한국여가학회, 9(2), 61-91. 

  36. 지영숙.이태진.김선미.전희정.최보아 (1999). 가족여가의 생활적 의미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3(1), 83-94. 

  37. 진명훈 (2007). 중년기 남성의 여가활동유형과 인구사회학적특징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차승은 (2013). 중고령 남성의 시간-소득자원 확보와 건강증진행동의 관련성 : 가용이론의 적용,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173-194. 

  39. 채현미.이연숙 (2003). 초등학교 아동의 여가활동 참여와 여가인식: 아동과 어머니에 대한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7(2), 59-79. 

  40. 천혜정 (2004). 가족 여가 참여 동기 및 가족여가활동의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8(2), 1-13. 

  41. 홍두승 (2005). 한국의 중산층.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42. 홍두승.김병조 (2006), 한국사회발전과 중산층의 역할, 한국사회학회, 중산층 역할과 사회발전 제1차 포럼, 2-17. 

  43. 홍성희 (2006). 노인의 삶과 여가, 그리고 노인여가정책의 방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학술대회논집, 2006(1), 221-222. 

  44. 홍성희.곽인승 (2012). 베이비부머세대의 성공적 노화 : 중산층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4), 69-92. 

  45. Campbell, A., Converse, P. E., & Rodgers, W. L.(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New York : Russell Sage Foundation. 

  46. Iso-Ahola, S. E.(1980), The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and recreation. Dubuque, IA: Wm. C. Brown Company Publishers. 

  47. Kelly, J. R.(1983). Leisure identity and interactions. London: George Allen & Unwin. 

  48. Lansing, J. B. & Kish, L.(1957). Family Life cycl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merican Socialogical Reveiw 22(5/2-5/9) Oct. 

  49. OECD (2014). 'remains at historically high levels Insights from the OECD Social Expenditure database (SOCX)' http://www.oecd.org/els/soc/OECD2014-Social-Expenditure-Update-Nov2014-8pages.pdf 

  50. Rapoppt, R & R. N(1975. Rapopport. Leisure and the Family Life Cycle LondonL Routledge and Kegan. 

  51. Shaw, S. M.(1999). Propositive leisure : Examining parental discourse on family activities. In W. Stwart & D. Sandahi(Eds.), Abstracts from the 1999 Symposium on Leisure Research(p.7). Ashburn, VA : National Park and Recreation Association.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