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여성의 생식건강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 1995년 이후 연구에 대한 고찰
Trends in reproductive health-related research on women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of published studies since 1995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2 no.2, 2015년, pp.237 - 245  

이영란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주민선 (서울여자간호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methods, topics and trend in reproductive health on women in Korea. Method: We reviewed 102 studies from the electronic database of KISS, RISS, NDSL, and PubMed, and finally selected 13 studies based on relevant criteria. Result: W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우리나라의 가임여성의 생식건강에 대하여 분석한 연구를 고찰하여 우리나라의 생식건강관리의 주요영역과 내용 및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여성생식건강을 위한 추후의 연구방향을 모색하고,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여성생식보건서비스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1994년 WHO에 의해 생식건강에 대한 구체적 정의가 내려진 이후, 20년간의 여성의 생식건강 관련 연구를 고찰하였다.
  • 본 연구는 1994년 이후 20년간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생식건강 관련 연구를 고찰함으로써 여성 생식건강을 위한 추후의 연구방향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대상 연구 논문은 13편으로 연구방법, 연구주제, 연구내용 등을 고찰하였으며, 연구대상 논문의 주제를 생식건강 관련된 지식, 태도, 행동, 관련 요인, 건강상태의 5개 주제로 분류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한 생식건강에 관련 연구의 실태와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여성생식건강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여 연구방법, 연구주제와 여성 생식건강증진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방향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식건강이란?  생식건강(reproductive health)이란 생식기계통과 그 기능 및 변화과정에서 쇠약함이 없는 신체적·정신적 및 사회적으로 안녕한 상태이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생식건강은 개인 뿐 만 아니라 가족, 지역사회와 국가의 사회경제발전의 기반이며 평생건강의 핵심요소이다.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 추세는? 우리나라는 국제 및 국내의 인구·사회적 변화에 따라 생식건강 요구가 증가됨을 인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OECD국가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차지하고 있으며 세계에서 제일 빠르게 사회가 고령화되고 있다. 이러한 저출산 및 고령화 사회로의 전환은 미래 인적자원 확보와 평생건강의 기틀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을 높이고 있다(Hwang, 2008).
세계보건기구는 새천년개발목표의 목표달성을 위해 무엇을 포함시키고 있나? 유엔(United Nations:UN)은 2000년에 세계의 빈곤 퇴치와 개발을 위해 채택한 새천년개발목표(Millenium Development Goals: MDGs)를 발표하였고 MDGs 8개 중 ‘양성평등 및 여성능력의 고양’, ‘유아사망률의 감소’와 ‘모성보건 증진’은 생식건강분야에 해당한다. 세계보건기구는 MDGs의 목표달성을 위한 주요 생식건강사업에 전통적 모자보건사업인 임산부 산전 및 산후건강관리와 영유아 건강관리, 질 높은 가족계획서비스, 불안전한 인공유산의 예방, 에이즈 등 성접촉 매개질환의 퇴치, 불임 예방 및 치료 등 성 건강증진을 포함시키고 있다(Kwon et al,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S., Park, I., Han, J. S., Kim, T. I., Kwak, M. S., & Chung, H. S. (2008). Health behaviors, reproductive health history, and sexual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4(3), 205-212. 

  2. Baek, G. J. (2007). Relationship between Work stress and Women's Reproductive Health of Korea Army Nurse Officers. Korea Army Nurse Research, 25(2), 156-195. 

  3. Cho, M. O., & Kim, J. I. (2004). Relationship among sexual consciousness, reproductive health knowledge and sexual experience i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0(1), 59-65. 

  4. Choi, M. S., & Ha, N. S. (2004).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and experience in sex and sexual autonomy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0(4), 318-330. 

  5. Chung, H.-I. C. (2010). Child rearing experiences of foreign wives married to Korean husbands. Asian Nursing Research, 4(2), 75-89. doi:10.1016/S1976-1317(10)60008-4 

  6. Elun, K., & Kwon, T. (2002). Current Situation and Determinants of Induced Abortion in Korea.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25(1), 5-32. 

  7. Finer, L. B., & Henshaw, S. K. (2006). Disparities in rates of unintended pregnancy in the United States, 1994 and 2001. Perspectives on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38(2), 90-96. 

  8. Foss, G. F., Chantal, A. W., & Hendrickson, S. (2004). Maternal depression and anxiety and Infant development: A comparison of foreign­born and native­born mothers. Public Health Nursing, 21(3), 237-246. doi: 10.1111/j.0737-1209.2004.21306.x 

  9. Grunseit, A., Richters, J., Crawford, J., Song, A., & Kippax, S. (2005). Stability and change in sexual practices among first-year Australian university students (1990-1999). Archives of sexual behavior, 34(5), 557-568. doi:10.1007/s10508-005-6281-x 

  10. Hwang, N. M. (2007). A Study on the Reproductive Health Determinants of Fertility among Married Women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 27(2), 122-141. 

  11. Jeong, J. Y., & Shim, M. S. (2014). Immigrant Women"s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s and Health Care Utilizatio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8(2), 200-210. http://dx.doi.org/10.5932/JKPHN.2014.28.2.200 

  12. Kim, D.-H., Park, H.-S., & Bae, K. E. (2010). Obstetrical & gynecological health status and body composi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Pusan. Journal of Life Science, 20(6), 894-901. 

  13. Kim, H., & Hong, Y. S. (2013). Attitude to reproductive health, value of marriage and children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14(1), 13-24. 

  14. Kim, J., & Han, S. H. (2004). Health status, reproductive health problems, and the degree of prenatal management in married working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0(3), 226-234. 

  15. Kim, Y. S., Park, J. W., & Bang, K. S. (2003). Analysis on the effects of community based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pregnant wome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7(2), 192-202. 

  16. Kim, Y.-H., & Son, H.-M. (2010). Affecting Factors on Reproductive Health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4), 1935-1950. 

  17. Kwon, Y. S., Lee, M. S., Oh, J. J., Lee, Y. R., Lee, I. S., & Back, H. J. et al. (2014). Community health Nursing, Seoul; Shin-Kwang Pub. Com. 

  18. Lee, Y. R., Jaegal, J., Moon, W. H., & Lee, S. Y. (2014). Health education, Paju; Soomoom sa. 

  19. Ministry of Government Legistration (2009). Mother and Child Health Law.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Guide of family health services.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Guide of women and child health services. 

  22. Park, M. N., & Choi, S. Y. (2014). Development of reproductive health program and identification of effect for married women immigr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3), 248-258. http://dx.doi.org/10.4040/jkan.2014.44.3.248 

  23. Park, S. H. (1997). An Overview on the Induced Abortion and Reproductive Health in Wome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Association, 23(1), 66-78. 

  24. Shin, K. R., Park, H. J., & Hong, C. M. (2010).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about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on sexual knowledge and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from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2(4), 448-456. 

  25. Shin, K. R., Park, H. J., Bae, K. E., & Cha, C. (2010). Sexual Behavior, Health Risk Behaviors Related to Reproductive Health, and Sexual Experiences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2(6), 624-633. 

  26. Von Sadovszky, V., Kovar, C. K., Brown, C., & Armbruster, M. (2006). The need for sexual health information: perceptions and desires of young adults. MCN: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Child Nursing, 31(6), 373-380. 

  27.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 Family and community health : Annual progress report on achievements in the year 2000. 

  28. Yang, S. J., Chee, Y. K., An, J., Park, M. H., & Jung, S. I. (2014). Health Literacy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Korean-Chinese and Other Asian Immigrant Women in Korea.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8(2), 211-227. http://dx.doi.org/10.5932/JKPHN.2014.28.2.211 

  29. Youn, Y.-O., & Moon, I.-O. (2010). Associated factors on reproductive health of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Application of PRECEDE model.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4), 61-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