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 수행평가(GMPM)와 아동용 균형척도(PBS) 사이의 상관성 연구
The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Gross Motor Performance Measure and Pediatric Balance Scal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v.22 no.2, 2015년, pp.1 - 10  

김효원 (부산가톨릭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안소윤 (부산가톨릭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 This study verified a correlation between gross motor performance measure (GMPM) and pediatric balance scale (PBS) for children, which are most widely used for assessment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ethods : The study subjects are 20 children aged between five and 13 who were dia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명의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대동작 수행평가와 아동용 균형검사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GMPM과 PBS의 항목간, GMPM과 PBS의 총점과의 관계에서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GMPM의 항목 중 협동성과 체중이동은 PBS와 높은 상관관계(r<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성마비란 무엇인가? 뇌성마비는 태아 혹은 영아의 뇌에 발생한 비진행성 질환으로 활동제한을 초래하고 자세 및 운동 발달에 장애가 발생하는 증후군이다(Bax 등, 2005). 뇌성마비 아동의 대부분이 자세와 운동조절 장애뿐만 아니라 경련, 감각, 인지, 의사소통, 지각, 행동의 장애 등 복합적인 문제점이 동반될 수 있다(Hur, 1995).
뇌성마비 아동의 일상생활동작 평가도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일상생활동작 평가도구로는 일상생활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아동의 능력과 독립성을 평가하는 아동용 장애 평가 목록(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PEDI)과 아동의 건강발달상태, 교육 수준, 지역 사회 활동에서의 아동의 기능을 평가하는 아동용 기능적 독립성 측정(We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WeeFIM) 등이 있다. (Msall 등, 1994)
뇌성마비 아동의 보행 속도와 지구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인가? 뇌성마비 아동은 비정상적인 근 긴장도, 운동조절 결손으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다양하게 움직이기 위한 자세 안정성과 외부적 변화에 대하여 신체가 반응하는 균형조절능력이 부족해진다(Cohen 등, 1993). 또한 보행 중 굽힘근, 폄근의 동시수축으로 인해 발생하는 보상적 움직임이 보행 속도와 지구력에 영향을 미치므로 자세안정성을 감소시키며 근육의 변형과 단축으로 인해 숙련된 움직임을 하기가 어려워진다(Woollacott 등, 2005; Fowler 등, 2007). 자세안정성 저하로 인한 균형조절능력 부족과 작용근 대항근의 협동능력 부족은 동작 수행 시 넘어짐을 초래하거나 기능적인 활동에 제한을 주게 된다(고명숙 등,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고명숙, 이남현, 이정아, 전혜선. 한글판 아동 균형척도(Pediatric Balance Scale)의 측정자간 신뢰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8;15(1):86-95. 

  2. 고명숙, 정재훈, 전혜선. 뇌성마비 아동의 소아균형검사(PBS)와 대동작기능평가(GMFM)와의 상관관계. 대한물리의학회지 2010;5(2):281-288. 

  3. 고주연, 김기원. 일부뇌성마비 아동을대상으로 한아동 균형척도의 검사-재검사, 측정자간 및 내의 신뢰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0;22(4):43-48. 

  4. 김장곤, 김형렬, 신영일. 뇌성마비 아동의 사물조작능력과 기능적 수행능력과의 관련성.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11;19(1):83-91. 

  5. 박소연, 고명숙, 이충휘. 대동작 기능 평가도구, 대동작 수행능력 측정도구, 그리고 시공간적 보행변수와의 상관관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4;11(2):63-70. 

  6. 박은영.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손 기능 분류 체계와 기능적 수행도 평가 간의 상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09;9(7):248-256. 

  7. 박혜정, 이충휘, 조상현, 권혁철. 발달지연 아동 및 뇌성마비 아동의 평가실태와 물리치료사들의 평가에 대한 인식도 조사.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0;7(1):1-21. 

  8. 손성민. 선 자세에서 강제적인 체중이동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과 시공간적 보행 양상 및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9. 원종임. 뇌졸중 환자의 낙상 예측을위한 평가도구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4;21(2):37-47. 

  10. 이동진, 김성렬, 송창호. 뇌졸중 환자의 균형, 기능적 보행, 시지각, 일상생활 평가도구의 상관성.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9;21(2):39-45. 

  11. 이영정. 뇌졸중 환자에서 Fugl-Mayer 평가척도와 보행 속도, Time up&Go 검사와의 상관관계. 한국전 문물리치료학회지. 2004;11(1):1-17. 

  12. 이정림, 조상현, 권오윤, 이영희. 뇌성마비 아동에서 대동작기능평가와 보행의 시공간적 변수와의 관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1;8(1):20-34. 

  13. 이충휘, 박소연, 고명숙. 대동작 운동 수행능력 측정도구의 측정자간 신뢰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3;10(4):17-2. 

  14. 한지혜, 고주연. 전자게임을이용한 가상현실프로그램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균형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0;10(6):481-486. 

  15. Bartlett D, Birmingham 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pediatric reach test. Pediatr Phys Ther. 2003; 15(2):84-92. 

  16. Bax M, Goldstein M, Rosenbaum P, Leviton A, Paneth N, Dan B, Jacobsson B, Damiano D. Proposed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erebral palsy, April 2005. Developmental Medicine & Child Neurology. 2005;47(8):571-576. 

  17. Berg KO, Wood-Dauphinee SL, Williams JI, Maki B. Measuring balance in the elderly: validation of an instrument. Can J Public Health. 1992;83(2): 7-11. 

  18. Boyce WF, Gowland C, Rosenbaum P, Lane M, Plews N, Goldsmith C, Russell D, Wright V, Potter S, Harding D. The gross motor performance measure: validity and responsiveness of a measure of quality of movement. Phys Ther. 1995;75(7):603?613. 

  19. Boyce WF, Gowland C, Russel DJ, Goldsmith C, Rosenbaum P, Plews N, Lane M. Consensus methodology in the development and content validation of a gross motor performance measure. Physio Canada. 1993;45(2):94-100. 

  20. Cohen H, Blatchly CA, Gombash LL. A study of the clinical test of sensory interaction and balance. Phys Ther. 1993;3(6):346-351. 

  21. Damiano DL, Abel MF. Relation of gait analysis to gross motor function in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1996:38(5);389-396. 

  22. Drouin LM, Malouin F, Richards CL, Marcoux S. Correlation between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scores and gait spatiotemporal measures in children with neurological impairments. Dev Med Child Neurol. 1996:38(11);1007-1019. 

  23. Fowler EG, Brunstrom JE, Coster WJ, Damiano D, Henderson RC, Kolobe TH, Morgan DW, Pitetti KH, Rimmer JH, Rose J, Stevenson RD, Thorpe DE. Promotion of physical fitness and prevention of secondary condition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ection on pediatrics research summit proceedings. Phys Ther. 2007;87(11):1495-1510. 

  24. Franjoine MR, Darr N, Held SL, Kott K, Young BL. The performance of children developinng typically on the pediatric balance scale. Pediatr Phys Ther. 2010;22(4):350-359. 

  25. Franjoine MR, Gunther JS, Taylor MJ. Pediatric balance scale: a modified version of the berg balance scale for the school-age child with mild to moderate motor impairment. Pediatr Phys Ther. 2003;15(2):114-128. 

  26. Gowland C, Boyce WF, Goldsmith CH, Rosenbaum PL, Russell DJ, Wright V. Reliability of the gross motor performance measure. Phys Ther. 1995;75(7):597-602. 

  27. Hur JJ. Review of research on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cta Neurol Scand. 1995;91(6):423-432. 

  28. Katz-Leurer M, Keren O, Lewitus H, Meyer S, Rotem H. Functional balance tests for children with traumatic brain injury: within-session reliability. Pediatr Phys Ther.2008;20(3):254-258. 

  29. Keenan MA, Perry J, Jordan C. Factors Affecting Balance and Ambulation Following. Stroke Clin Orthop Relat Res. 1984;(182):165-171. 

  30. Ko JY, Kim MY.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K-GMFM-88 and the GMPM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n Rehabil Med. 2012;36(2):233-239. 

  31. Msall ME, Braun S, DiGaudio K, Duffy LC, Granger CV, LaForest S. WeeFIM normative sample of an instrument for tracking functional independence in children. Clin Pediatr(Phila). 1994;3(7):431-438. 

  32. Natalia de A. C. Duarte, Claudia Santos Oliveira, Luanda Andre Collange Grecco, Nelci Zanon, Renata Calhes Franco. Correlation between Pediatric Balance Scale and Functional Tes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 Phys. Ther. Sci. 2014;26(6):249-253. 

  33. O'Connell M, George K, Stock D. Postural sway and balance testing: a comparison of normal and anterior cruciate ligament deficient knees. Gait Posture. 1998;8(2):136-142. 

  34. O'Shea TM. Cerebral palsy. Semin Perinatol. 2008:32(1); 35-41. 

  35. Pavao SL, Barbosa KA, Rocha NA,Sato Tde O. Functional balance and gross motor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Res Dev Disabil. 2014;35(10):278-283. 

  36.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148. 

  37. Ries LG, Michaelsen SM, Monteiro VC, Soares PS. Allegretti KM.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reliability analysis of the Brazilian version of Pediatric Balance Scale. Rev Bras Fisioter. 2012;16(3):205-215. 

  38. Russell DJ Cadman DT, Rosenbaum PL, Gowland C, Hardy S, Jarvis S.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a mean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hysical therapy. Dev Med Child Neurol. 1989:31(3);341-352. 

  39. Sorsdahl AB, Moe-Nilssen R, Strand LI. Observer reliability of the gross motor performance measure and the quality of upper extremity skills test, based on video recordings. Dev Med Child Neurol. 2008;50(2):146-151. 

  40. Woollacott M, Hutchinson S, Ciol M, Kartin D, Price R, Shumway-Cook A. Effect of balance training on muscle activity used in recovery of sta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pilot study. Dev Med Child Neurol. 2005;47(7):45-61. 

  41. Whitney SL, Poole JL, Cass SP. A review of balance instruments for older adults. Am J Occup Ther 1998;52(8):666-67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