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만간격과 산차를 중심으로 한국 재래종인 한우의 번식능력 분석
Reproductive performance of Korean native cattle (Hanwoo) focusing on calving interval and parity 원문보기

Journal of embryo transfer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v.31 no.3, 2016년, pp.273 - 279  

조재성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부) ,  도창희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부) ,  최인철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과학부)

초록

한우는 한국 고유재래종으로 가장 많이 사육되고 있으나 번식성적에 대한 자료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총 163,613두의 번식성적에 대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산차 및 계절별로 분만 간격과 임신기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매년 분만간격이 증가하고 있었다. 또한 생시 체중이 23 kg 이었을 때 생애 번식성적이 가장 우수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n native cattle, Hanwoo, is the most popular breed of beef cattle in Korea. However,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data are limited although reproduction is one of the most economically and biologically important in beef produc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reprod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많은 수의 번식우가 낮은 번식능력을 보일시 바로 도태됨을 추정 할 수 있다. 따라서, 후보축을 선발하여 임신, 분만에 이르는 전 사양 과정에 번식능력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사양관리가 필요함을 본 연구는 제시한다.
  • 하지만 생시체중이 향후 생애 전체에 번식능력에 대한 효과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생시 체중이 번식능력중 산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보고 하였다. 23kg 생시 체중이 가장 많은 평균 산차를 나타냈는데 이는 후보축 생산을 위해 임신관리시 사양 관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 분만시 체중은 20kg 이하부터 35 kg 이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암소의 생시 체중이 생애기간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생시체중별 최종 산차 및 분만 간격을 조사하였다. 23kg 생시 체중시 평균 3.
  •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한우 암소의 번식 자료를 이용하여 한우의 분만간격과 산차를 중심으로 번식능력을 정량화하였다. 본 연구는 한우의 번식우 사양과 육종프로그램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향후 번식능력 향상 및 번식능력을 측정하는데 필요한 기준값을 제공하는데 큰 의미를 갖는다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번식능력 지표중 분만간격, 임신기간, 산차를 선택하여 이들지표와 계절, 분만시 생시 체중과 생애생산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우의 번식 능력에 관한 표준 기준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 장기간 다량의 자료를 이용한 본 연구는 한우의 번식능력을 정량화 및 기준 값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의 한우 암소의 산차별 분호, 산차별 번식능력, 년도별 분만간격 추이, 생시 체중이 생애 산차 및 분만간격에 미치는 영향을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일본 화우의 번식 성적에 관한 연구를 보면 지난 20년간 수태율이 저하되고 있으며 원인으로 육종 프로그램이 육질 향상에 주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육질향상과 수정능력과의 부의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Sato et al.
  • 장기간 다량의 자료를 이용한 본 연구는 한우의 번식능력을 정량화 및 기준 값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의 한우 암소의 산차별 분호, 산차별 번식능력, 년도별 분만간격 추이, 생시 체중이 생애 산차 및 분만간격에 미치는 영향을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번식능력에 영향 미치는 다양한 요소에 대한 이해는 농가에서의 경영 결정에 중요한 지표가 되는데 이러한 지표에는 무엇이 있는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경제적 측면을 고려시 육우생산에 있어 번식능력은 가장 중요한 형질로 인식되고 있으며 번식능력에 영향 미치는 다양한 요소에 대한 이해는 농가에서의 경영 결정에 중요한 지표가 되고 있다. 번식능력에 대한 지표로는 첫 분만연령, 분만간격 (calving interval), 수태당 수정횟수 (service per conception; SPC)등이 주로 쓰이고 일반적으로 육우의 경우 분만간격은 356일, 도태율 5%이하, 초산 연령 24개월, 우군내 80% 소가 42일 안에 분만하는 집중화 분만, 자우대체율은 16-18%, 번식능력, 분만능력, 이유시 송아지 체중등과 관련하여 경제적으로 중요한 형질의 유전능력 보유등을 목표치로 보고 하고 있다(Diskin and Kenny 2014). 한우에서도 역시 번식효율 향상을 위해 많은 연구가 수행 되었으며(한 등, 1989; 백 등, 1998; 김 등, 2002; 최 등, 2006), 기술적으로는 수태율 증진을 위한 호르몬 사용, 발정동기, 발정징후 발견등이 개발 되었다(임 등, 1997; 이 등, 2000; 이 등 2001; 박 등, 2003).
한우의 기원은? 한우는 기원전 부터 한반도에서 사육되어온 역용종으로 유럽원우와 인도원우의 혼혈종에서 기원한다. 특히, 북부중국및 만주를 거쳐 한반도에 이주한후 다른 품종과의 교유 없이 순종 번식한 것으로 보인다 (한광진 2002). 한육우 사육두수는 1996년 284만 마리를 기록한후 2001년 140만 6천여마리까지 감소하였다.
소의 임신수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신수정에 영향 미치는 것으로 요인으로는 종빈우, 정액주입방법, 종모우의 연령, 감염여부와 우군 관리상태를 고려시 기후, 계절, 우군의 크기, 우사 시스템등이 있다 (kruif 1978).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경제적 측면을 고려시 육우생산에 있어 번식능력은 가장 중요한 형질로 인식되고 있으며 번식능력에 영향 미치는 다양한 요소에 대한 이해는 농가에서의 경영 결정에 중요한 지표가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권응기 박병기 조영무 한만희 최창용 이명식. 2007. 한우 송아지 이유시기가 증체, 사료섭취량, 질병발생 및 어미소의 번식효율에 미치는 영향 J. Anim. Sci & Technol 49(2):239-244 

  2. 김의형, 정기용, 이승환, 유일선, 강희설. 2014. 한우 농장별 번식기록 분석을 통한 번식률 제고 사례 연구J. Emb. Trans. 29(1):7-12 

  3. 김학영, 송상현, 조현조. 2002. 한우 번식우 농가의 번식실태 및 번식 장애 치료에 관한 연구. J. Anim. Sci. 26(3): 291-298. 

  4. 박정준, 이명식, 박수봉, 임석기, 전기준, 정영훈, 우제석, 나기준, 고대환, 이규승. 2003. 한우에 Ov-synch 처리시 배란시 기와 수태율 구명에 관한 연구. J. Emb. Trans. 18 (3):187-193. 

  5. 백광수, 고응규, 성환후, 이명식, 최순호, 김영근. 1998. 사육규모에 따른 한우 번식 실태 조사. J. Anim. Sci. 22(4):367-373. 

  6. 여준모.이성훈.기광석.황진호.이성실.김완영. 2011. 한우 송아지 이유월령 실태 조사연구. J. Anim. Sci & Technol 53(5):497-502 

  7. 이명식, 최창용, 오운용, 조영무, 이지웅, 김영근, 성환후, 양화정, 손삼규, 나승환, 나기준. 2001. 한우의 계절번식과 다양 한 발정제어 효과에 관한 연구. J. Anim. Sci. 25(1): 29-33. 

  8. 이병천, 이강남, 이은송, 손창호, 류일선, 최상용, 노규진, 오성종, 정근기, 김상철, 김계성, 주식천, 임정묵, 장구, 황우석. 2000. 한우의 신속한 증식을 위한 번식기술 개발에 관한연구. I. 한우 번식실태 및 PGF2 ${\alpha}$ 의 난소실질 내 투여효과.J. Emb. Trans. 15(1): 77-83. 

  9. 임석기, 우제석, 윤상보, 전기준. 1997. 저수태 한우에 대한 성선자극 호르몬 방출호르몬 투여 효과. J. Emb. Trans. 12(1):117-122. 

  10. 조재성, 송우진, 이용건, 윤정현. 2014. 축산관측사업 정밀도 제고 및 정책연계 프로그램 구축 연구.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11. 조재성, 도창희, 송형준, 최인철. 2015. 한우의 번식실태평가 및 번식우 생산성 분석J. Emb. Trans. 30 (3): 189-193. 

  12. 최창용, 손동수, 최규찬, 송상현, 최창열, 최선호, 김현종, 조상래, 허창기, 강다원. 2006. 한우 번식우 사육 농가의 번식 장애 실태 조사. J. Emb. Trans. 21(4): 331-338. 

  13. 통계청(kosis.kr)-가축동향조사, 축산물 생산비조사 

  14. 한국종축개량협회(http://www.aiak.or.kr/) 

  15. 한광진. 2002. 한우의 번식형질에 대한 환경요인의 효과. 영향 J. Anim. Sci & Technol 442):191-200 

  16. 한찬규, 이남형, 박연진, 정영채. 1989. 한우의 번식실태 조사.J. Anim. Sci. 13(1): 1-6. 

  17. Inchaisri C, Jorritsma R, Vos PL, van der Weijden GC, Hogeveen H. 2010. Economic consequences of reproductive performance in dairy cattle. Theriogenology 74:835-846. 

  18. Chang YM, Gonzalez-Recio O, Weigel KA, Fricke PM. 2007. Genetic analysis of the twenty-one-day pregnancy rate in US Holsteins using an ordinal censored threshold model with unknown voluntary waiting period. J Dairy Sci. 90:1987-1997. 

  19. Diskin MG, Kenny DA.2014. Optimising reproductive performance of beef cows and replacement heifers. Animal. 8 Suppl 1:27-39. doi:10.1017/S175173111400086X 

  20. Fiems LO, Ampe B. 2015. Importance of dam BW change and calf birth weight in double-muscled Belgian Blue cattle and its relationship with parity and calving interval. Animal 9:94-103. 

  21. Funston RN, Deutscher GH. 2004. Comparison of target breeding weight and breeding date for replacement beef heifers and effects on subsequent reproduction and calf performance. J Anim Sci. 82:3094-3099. 

  22. Kanuya NL, Matiko MK, Nkya R, Bittegeko SBP, Mgasa MN, Reksen O, Ropstad E. 2006. Seasonal changes in nutritional status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of Zebu cows kept under a traditional agro-pastoral system in Tanzania. Tropical Animal Health and Production 38:511-519. 

  23. MacGregor RG, Casey NH. 2000. The effects of maternal calving date and calving interval on growth performance of beef calves. South African Journal of Animal Science 30:70-76. 

  24. Ramsey R, Doye DG, Ward CE, McGrann JM, Falconer L L, Bevers SJ.2005. Factors Affecting Beef Cow-Herd Costs, Production, and Profits. J. Agri. App. Econ. 37:91-99. 

  25. Sato K, Fujita T. 2010. Elucidation of genes involved in the conception rates of cows decrease. B Oita Pref Anim Ind Exp Sta. 39:17-19. 

  26. Sasaki Y, Uematsu M, Kitahara G, Osawa T. 2016. Repreoductive performance of Japanese black cattle: Association with herd size, season, and parity in commercial cow-calf operations. doi: 10.1016/j.theriogenology.2016.07.007. [Epub ahead of print] 

  27. Maas JA, Garnsworthy PC, Flint AP. 2009.Modelling responses to nutritional, endocrine and genetic strategies to increase fertility in the UK dairy herd. Vet J. 180:356-362. 

  28. VanRaden, P.M., A.H. Sanders, M.E. Tooker, R.H. Miller, H.D. Norman, M.T. Kuhn, and G.R. Wiggans. 2004. Development of a national genetic evaluation for cow fertility. J. Dairy Sci. 87:2285-2292. 

  29. Wathes DC, Pollott GE, Johnson KF, Richardson H, Cooke JS. 2014. Heifer fertility and carry over consequences for life time production in dairy and beef cattle. Animal 8:91-1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