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우의 번식형질에 대한 환경요인의 효과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Reproductive Traits in Korean Cattle 원문보기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2, 2002년, pp.191 - 200  

한광진 (농업협동조합중앙회 가축개량사업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1986년부터 1995년도 사이에 한우개량단지의 한우 암소에 대하여 조사된 번식성적에 근거하여 한우의 번식형질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균능력에서 초종부일령은 466.11${\pm}$5.72일, 초임일령은 480.10${\pm}$6.15일, 초산일령은 742.79 ${\pm}$7.48일, 분만후 초종부일령은 64.97${\pm}$1.42일, 공태일수는 72.06${\pm}$1.73일, 번식간격은 355.93 ${\pm}$1.92일, 임신기간은 285.38${\pm}$0.42일 및 수태당 종부회수는 1.21${\pm}$0.02회였다. 2) 지역별 각 형질에 대한 범위는 초종부일령은 447.62${\pm}$5.94-490.72${\pm}$5.94일, 초임일령은 464.27${\pm}$6.38-505.20${\pm}$6.39일, 초산일령은 721.91 ${\pm}$ 7.85-772.75${\pm}$7.80일, 분만 후 초종부일령은 62.27${\pm}$1.55~68.97${\pm}$1.74일, 공태일수는 69.74${\pm}$ 1.97-74.36${\pm}$2.27일, 번식간격은 352.71${\pm}$2.18-359.64${\pm}$2.09일, 임신기간은 284.52${\pm}$0.42-286.04 ${\pm}$0.47일 및 수태당 종부회수는 1.11${\pm}$0.02-1.30 ${\pm}$0.02회였다. 3) 초종부일령은 혈통등록우가 가장 길었고 상위등록일수록 일령이 빨라지는 경향이 있 었다. 수태당 종부회수는 상위등록우로 갈수록 종부회수가 많게 추정되었다. 4) 분만후 초종부일수는 2산차에서 가장 길었으며 산차가 진행될수록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수태당 종부회수는 산차가 진행될수록 적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5) 분만년도가 1987년부터 1995년까지 경과할수록 분만후 초종부일수, 공태일수 및 번식 간격이 길어지고 수태당 종부회수는 많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6) 분만후 초종부 일수, 공태일수 및 번식간격은 봄과 여름에 분만한 소들에서 가을과 겨울에 분만한 소들에 비하여 다소 짧게 추정되었다. 수태당 종부회수는 봄과 여름에 분만한 소들에 비하여 가을과 겨울에 분만한 소들에서 더 많은 경향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certain reproductive traits in Korean cattle on the basis of data from Korean Cattle Improvement Areas which were surveyed from 1986 to 1995.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Least square means of the repr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986년부터 1995년도 사이에 한우 개량단지의 한우 암소에 대하여 조사된 번식성적에 근거하여 한우의 번식형질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한우 개량을 위해 번식형질에 대한 환경요인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현장에서 조사된 자료를 가지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한우에 대해 한우개량단지에서 조사된 자료에 근거하여 한우의 번식형질에 대한 환경요인의 효과를 추정함으로서 한우의 개량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Becker, W. A. 1985. Manual of quantitative genetics, Washington State Univ., Pullman, Washington. 

  2. Bourdon, R. M. and Brinks, J. S. 1982. Genetic, environmental and phenotypic relationships among gestation length, birth weight, growth traits and age at 1st calving in beef cattle. J. Anim. Sci., 55:543. 

  3. Harvey, W. R. 1979. Least squares analysis of data with unequal subclass numbers. USDA, ARS 20-8. 

  4. Harvey, W. R. 1990. PC-2 version LSMLMW and MIXMDL with PARMCARD. USDA. 

  5. Henderson, C. R. 1953. Estimation of variance and covariance components. Biometrics. 9:226-253. 

  6. 김중계, 김문철, 김승찬. 1985. 제주한우의 사양관리와 번식상황이 격년분만에 미치는 영향. 한축지 27(5):270-275. 

  7. 김창엽. 1993. 한우의 주요 번식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원유석. 1994. 환경 및 유전효과가 개량단지 한우의 체중, 체척치 및 번식형질에 미치는 효과.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한찬규, 박전홍, 이남형, 박영일. 1987. 한우의 번식실태 조사. 한축지 29(12):566-5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