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도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가정기반 다요인 활동 프로그램(Home-based Multi-component Activities Program: Home-MAP)의 효과
Effect of Home-based Multi-Component Activity Program (Home-MAP) for mild Alzheimer's Disease Patients and Caregiver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9 no.3, 2015년, pp.255 - 266  

황윤정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의생명연구원) ,  정원미 (동남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  이동영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Home-based Multi-component Activity Program (Home-MAP) for the maintenanc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for patients with mild Alzheimer's disease (AD) and on caregiver burden for caregivers. Methods : Nine mild AD patients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하는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환자와 해당 환자 보호자 쌍을 대상으로 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기능을 유지·증진시키고, 보호자의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해 개발된 가 정기반 다요인 활동 프로그램(Home-based Multi-component Activities Program ; Home-MAP)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가정에서 환자-보호자의 대화, 보호자가 환자의 활동을 보조 하는 방법을 면밀히 관찰하여 환자의 인지기능 감소에 대한 보상으로 활동의 각 단계마다 언어로 자세하게 반복해서 표현하는 방법, 정신행동증상이 나타날 경우 보호자가 대처하고 해결하는 방법 등을 교육하였다. 또한 목표활동 이외의 의미 있는 활동을 치료사 없이도 보호자가 환자와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일반화를 위한 교육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가정방문을 통하여 보호자와 함께 활동을 진행함으로써 보호와 관련된 물리적 환경과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접근한 것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Home-MAP이 보호자에게 환자의 질병이나 정신행동증상에 대한 이해와 대처하는 방법, 의사소통기술, 문제해결 방법과 환경수정의 기술을 교육하였으므로 보호자 스스로의 변화에 대한 결과로 보인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하는 경도 치매환자와 보호자에게 Home-MAP을 적용하여 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기술, 정신생동증상과 우울수준, 보호자의 부담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된 예비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 Home-MAP은 인구학적으로,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인구집단인 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기술을 습관화시키고 욕구가 있는 활동을 중심으로 일과를 규칙화시킴으로써 정신행동증상과 보호자의 부담과 보호자의 부담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89점으로 감소하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치매환자의 일상생활을 예측할 수 있도록 규칙화시킴으로 정신행동증상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한 보호자의 부담 감소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본다.
  • 따라서 치매환자는 일상생활과 관련된 과제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제한점들은 지역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이나 기회에 영향을 줄 수 있다[3]. 이러한 제한점에 근거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치매환자의 작업치료는 지역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일상생활 과제에 필요한 기능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본 연구의 결과 Home-MAP은 인구학적으로,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인구집단인 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기술을 습관화시키고 욕구가 있는 활동을 중심으로 일과를 규칙화시킴으로써 정신행동증상과 보호자의 부담과 보호자의 부담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치매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가정방문을 통하여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Home-MAP을 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분석한 것에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고 본다. 추후 본격적인 연구를 통하여 반복적으로 검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앞으로 전문분야가 협력하여 치매환자의 중증도와 다양한 관련 요인을 고려한 작업 활동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서 치료효과를 입증하고 궁극적으로 치매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기를 바란다.

가설 설정

  • 가정은 치매환자가 늘 생활하는 장소이며, 응용 동작이나 지역사회 적응능력의 연습 장소이다. 늘 생활하는 익숙한 환경에서 반복적인 연습을 함으로써 실제 생활에서 자신감을 획득하고 적절하면서도 한층 더 적극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에서 생활하는 치매환자를 위한 비약물치료의 필요성이 높아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진출, 보호자의 고령화 등으로 노인이 중증치매가 된 경우 불가피하게 시설에 입소하여 돌봄을 받게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 지만 아직도 중등도 이하의 치매환자는 대부분 가정에서 생활하고 있다. 그러므로 병원이나 요양시설에 입소하고 있는 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비약물치료 접근 외에 가정에서 생활하고 있는 경도~중등도 치매환자를 위한 지역사회 중심의 비약물치료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알츠하이머병의 특징은 무엇인가 그 중 알츠하이머병은 전체 치매 원인의 약 60~70%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치매 원인 질환으로 언어, 지능, 기억, 판단력, 행동 등 인지기능 뿐 아니라 환자의 일상생활수행기술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치매환자는 일상생활과 관련된 과제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제한점들은 지역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이나 기회에 영향을 줄 수 있다[3].
치매 환자에게 가정은 어떤 공간인가 가정은 치매환자가 늘 생활하는 장소이며, 응용 동작이나 지역사회 적응능력의 연습 장소이다. 늘 생활하는 익숙한 환경에서 반복적인 연습을 함으로써 실제 생활에서 자신감을 획득하고 적절하면서도 한층 더 적극적인 생활을 영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2), http://www.m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286138&SEARCHKEYTITLE&SEARCHVALUEdementia. 

  2. J.H. Noh, E.J. Lim, J. Hur(2012), The factors influencing careworker's care performance for elders with dementia, The Korean J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6(3);75-84. 

  3. G. Kielhofner(2002), A model of Human Occupational: Theory and applica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p.13-25. 

  4. H.R. Ji, S.H. Choi, M.S. Cho, R.A. Ju(2004), The effects of the continuous dementi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in the communit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6(2);216-227. 

  5. A.E. Prick, J. de Lange, N. van't Leven, A.M. Pot(2014), Process evaluation of a multicomponent dyadic intervention study with exercise and support for people with dementia and their family caregivers, Trials, Vol.15;401-414. 

  6. L.N. Gitlin, W.W. Hauck, M.P. Dennis, L. Winter(2005), Maintenance of effects of the home environmental skill-building programme for family caregivers and individual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related disorders,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and Medical Science, Vol.60;369-374. 

  7. M.J. Graff(2009), Teaching and Supporting Clients with Dementia and Their Caregivers in Daily Functioning, Soderback I, International Handbook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Springer, pp.217-223. 

  8. K. Omstein, J.E. Gaugler(2012), The problem with "problem behaviors": a systemic review of the association between individual patient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and caregiver depression and burden within the dementia patient-caregiver dyad,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Vol.24(10);1536-1552. 

  9. A. Johannessen, F.K. Bruvik, S. Hauge(2015), Family carers' experiences of attending a multicomponent psychosocial intervention program for carers and persons with dementia, Journal of Multidisciplinary Healthcare, Vol.12(8);91-99. 

  10. K.S. Cheung, B.H. Lau, P.W. Wong, A.Y. Leung, V.W. Lou, G.M. Chan, R. Schilt(2015), Multicomponent intervention on enhancing dementia caregiver well-being and reducing behavioral problems among Hong Kong Chinese: a translational study based on REACH II,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30(5);460-469. 

  11. A.G. Fisher, L.A. Griswold(2013), Performance skills: Implementing performance analyses to evaluate quality of occupational performance. In B. B. Schell, G. Gillen, M. Scaffa, E. Cohn(eds.), Willard & Spackman's occupational therapy(12th ed.), Philadelphia: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p.249-264. 

  12. D.Y. Lee, K.U. Lee, J.H. Lee, K.W. Kim, J.H. Jhoo, J.C. Youn(2002), A normative study of th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in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Vol.41;508-525. 

  1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the 4th editio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p.191-200. 

  14. G.M. McKhann, D. Drachman, M. Folstein, R. Katzman, D. Price, E.M. Stadlan(1984), Clinical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Report of the NINCDS-ADRDA work group under the auspices of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ask force on Alzheimer's disease, Neurology, Vol.34;939-944. 

  15. C.P. Hughes, L. Berg, W.L. Danziger, L.A. Coben, R.L. Martin(1982), A new clinical scale for the staging of dementia,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40;566-572. 

  16. A.G. Fisher(2003),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5th ed.), Three StarPress, pp.20-24. 

  17. S.E. Doble, J.D. Fisk, K. Rockwood(1999), Assessing the ADL Functioning of Persons With Alzheimer's Disease: Comparison of Family Informants' Ratings and Performance-Based Assessment Findings,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Vol.11(4);399-410. 

  18. L. Teri, P. Truax, R. Logsdon, J. Uomoto, S. Zarit, P.P. Vitaliano(1992), Assessment of Behavioral Problems in Dementia: The Revised Memory and Behavior Problems Checklist, Psychology and Aging, Vol.7(4);622-631. 

  19. J.L. Cummings(1997), The Neuropsychiatric Inventory: Assessing psychopathology in dementia patients, Neurology, Vol.48(6);S10-S16 

  20. J.A. Yesavage, T.L. Brink, T.L. Rose, O. Lum, V. Huang, M. Adey, O. Von (198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Psychiatry Research, Vol.17(1);37-49. 

  21. M.J. Cho, J.N. Bae, G.H. Suh, B.J. Hahm, J.K. Kim, D.W. Lee, M.H. Kang(1999), Valid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GDS)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Vol.38(1);48-63. 

  22. W. Wood, J.M. Quinn, D.A. Kashy(2002), Habits in everyday life: Though, emotion, and a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3(6);1281-1297. 

  23. L.N. Gitlin H.C. Kales, C.G. Lyketsos(2012), Nonpharmacologic management of behavioral symptoms in dementia,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308(19);2020-2029. 

  24. S.G. Jo(2004), Factors related with caregiver burden for dementia patient(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17-18. 

  25. L.N. Gitlin, L. Winter, J. Burke, N. Chernett, M.P. Dennis, W.W. Hauck(2008), Tailored Activities to manage neuropsychiatric behaviors in persons with dementia and reduce caregiver burden: A randomized pilot study,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16(3);229-2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