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 설계 BIM 모델의 시공단계 활용성 향상을 위한 BIM 운영 방안 제시 - 시공전단계 BIM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
A Proposal for Using BIM Model Created in Design to Construction Phase - Case Study on preconstruction adopting BIM - 원문보기

Journal of KIBIM = 한국BIM학회논문집, v.5 no.4, 2015년, pp.1 - 10  

윤수원 (포스코건설 R&D센터) ,  김성아 (성균관대학교 미래도시융합공학과) ,  최종문 (포스코건설 R&D센터) ,  금대연 (포스코건설 건축설계그룹) ,  조찬원 (빌딩스마트협회 기술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apply the BIM technology effectively and efficiently during the life-cycle of project, it is important to deliver a accurate information on BIM from designer, and it should be used effectively at construction or maintenance stage. However, stakeholders have created a new BIM model at e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선 BIM 모델을 공종 또는 내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설계단계 또는 시공전 단계에 완성된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모델링 여부와 모델링 방식의 부합성, LOD의 적정성 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시공단계에 BIM 모델링이 필요한지 여부와 BIM 을 활용한 견적이 가능한지를 검토하였다. BIM 견적의 경우 모든 내역의 물량을 BIM 모델로부터 산출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BIM 모델 활용 여부와 견적 방식을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계 또는 시공 전 단계에서 생성된 BIM을 시공단계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 고찰을 비롯하여 국내 BIM 적용 사례를 검토하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시공단계에 요구되는 BIM과 설계단계 BIM 활용 범위를 도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계단계에 완성된 모델의 형상 정보 확인 및 부분적인 속성 정보를 시공단계에서 활용하는 수준(Table 3에서 제시한 2번 방식)으로 BIM을 활용하기 위해 BIM 모델 제공 시, BIM 모델 설명서(설명 정보)의 추가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단순한 BIM 모델의 전달이 아닌 BIM 모델의 상태를 후속 단계의 전달자가 이해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국내 건설 환경에서 설계 BIM 모델을 시공단계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2개 프로젝트의 사례 고찰과 국내외 문헌을 통해 시공 단계에서 설계 BIM 모델의 재활용 저하 원인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건설 환경을 고려하여 설계 또는 시공 전 단계에 생성된 BIM 모델을 시공단계에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 하기 위해 Figure 1과 같은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BIM이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국내외 발주지침, BIM 적용 가이드라인 등을 통해 BIM 데이터 정의 방법, 정보교환을 위한 노력들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시공단계에서의 재활용 저하 원인을 토대로 시공단계 이전에 작성된 BIM 모델의 활용을 보다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계약 방식 또는 업무 프로세스별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BIM 모델의 시공단계 재활용 향상 방안으로 제시된 BIM 모델 설명서 등을 토대로 시공전 단계에서 작성된 모델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검토할 수 있다.
  • 1과 2항에 해당하는 내용은 모델 작성의 일관성을 파악하기 위한 내용에 해당되며, 3과 4항은 모델의 완성도를 파악하기 위한 내용에 해당된다. 이러한 네가지 방안을 토대로 두가지 사례에서 작성된 BIM 모델을 검토함으로써 시공단계 이전에 완성된 BIM을 활용하기 어려운 한계를 실무관점에서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현행의 설계/시공 분리 방식에서 설계단계에 완성된 BIM의 시공단계 활용 문제는 계속적으로 발생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비하기 위하여 사례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시공단계 활용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계 또는 시공 전 단계에서 생성된 BIM을 시공단계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 고찰을 비롯하여 국내 BIM 적용 사례를 검토하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시공단계에 요구되는 BIM과 설계단계 BIM 활용 범위를 도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설계 및 시공단계 BIM 적용사업을 발주시 BIM 업무수행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효율적인 BIM 업무 수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대표적인 BIM 적용 지침인 펜실베니아 주립대학의 BIM 수행계획서에서는 BIM 적용 목적에 따라 적용 분야가 달라지고, BIM 적용 단계 마다 BIM 작성 수준이 달라진다고 언급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프로젝트 단계마다 다르게 정의되는 BIM의 작성 수준을 살펴보기 위해 LOD(Level of Development, Level of Detail)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LOD는 미국건축사협회(AIA)가 시설물 정보의 개발 수준에 따라 요구되는 객체의 작성 수준을 정의한 것으로, 프로젝트 단계마다 BIM 모델을 작성하는 대표적인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다(Kim 2015, Park and Kim 2014).

가설 설정

  • 이는 단순한 BIM 모델의 전달이 아닌 BIM 모델의 상태를 후속 단계의 전달자가 이해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단,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BIM 모델 설명서는 설계 단계에서 작성된 BIM 모델이 통제되지 않은 환경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시공사가 Table 3에 제시한 설계 BIM 모델의 활용 방안을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수준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하며, 모델의 BIM 모델용도, 객체의 표현 방식, 공종별 LOD 적용 수준, 모델링 방식, 입력 속성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Table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제 BIM 적용 시 설계 단계에서 BIM을 활용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실제 BIM 적용 사례를 살펴보면, 설계 단계에서부터 BIM으로 작성되고, 이를 시공 및 유지관리 단계에 활용하는 사례는 미흡하다(Kim 2013). 설계단계에서는 디자인을 중심으로 BIM을 검토하고, 시공단계에서는 시공성을 중심으로 검토하기 때문에 설계와 시공단계에서 요구되는 정보의 수준과 모델의 표현방식이 상이하다. 이에 건설사는 설계단계에 생성된 BIM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시공단계에 필요한 BIM을 새롭게 생성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Kim 2010). 현재 BIM 적용 프로젝트의 생애주기 동안 각각 생성되는 BIM 모델은 각 단계의 참여주체의 BIM 도입 목적과 정보 생성 방법에 특화되어 있고, 이로 인해 후속 단계에서 이전 단계의 BIM 모델을 재활용하기 보다는새로운 BIM 모델을 만들어 활용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BIM이란 무엇인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이하 BIM)은 건설 프로 젝트 전 생애주기 동안 모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3차원 모델 기반 정보 및 프로세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건설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다(Eastman 2008, Lee 2011). 국내 건설산업에서도 BIM을 적용하고 있으며, 일부 BIM 적용 사례를 통해 사전검토를 통한 재설계 및 시공과 같은 비용 낭비 예방 등의 효과가 드러나고 있다(Park et al.
BIM의 장점은 무엇인가? , 2014). BIM은 건설 프로젝트 전반적으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원활한 의사결정을 위한 근거로 사용 되며, 이전 단계에서 생성된 정보의 누락과 오류를 방지할 수있기 때문에, 설계단계에서 생성된 정보가 시공단계 또는 그 이후 단계로 원활하게 인계(Transition)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IM Forum (2013). Level of development specification for building information models version 2013. Available online: www.BIMforum.org/lod(2015.03.10.) 

  2. Bytheway, Andy (2014) Investing in Information: The Information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Geneva: Springer. 

  3. Eastman, C., Teicholz, P. Sacks, R. Liston, K. (2008). A Guide to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Owners, Managers, Designers, Engineers, and Contractors. John Wiley & Sons. 39-41. 

  4. Kim, J., Lee, M., Seo, J., Lee, K. & Lim, J. (2013). Ideality and Reality of BIM; A General Contractor's Perspective. Proceeding of Korea Institute of BIM, 3(1), 9-10. 

  5. Kim, J., & Ock, J.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Problem Improvement Directions in Enhancing BIM Data Interoperability through IFC.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0(6), 88-98. 

  6. Kim, K. & Yu, J. (2015). Integrated Information Management for Composite Object Properties in BIM.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6(2), 97-105. 

  7. Kim, Wahsung (2010) Revealing Issues and Prospects of Domestic Construction by Analysis of BIM Case Studie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54(1), p.65-69. 

  8. Lee, Gang (2011) 43가지 질문으로 읽는 BIM, Pixelhouse. 

  9. Monteiro, A. & Martins, J. (2013). A survey on modeling guidelines for quantity takeoff-oriented BIM-based design. Automation in Construction, 35, 238-253. 

  10. Park, K. H., Kang, M. L., Lee, B. H., Chin, S. Y., Choi, C. H. (2014) The analysis of the effect on BIM adoption and implementation : Korea Land Housing Corporation headquarter project, KBIM, pp.48-55. 

  11. Park, S. & Kim, I. (2014). OpenBIM-based Build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Information Leve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and Design Section, 30(12), 41-48. 

  12. Redmond, A., Hore, A., Alshwi, M., & West, R. (2012). Exploring how information exchanges can be enhanced through cloud BIM. Automation in construction, 24, 175-183. 

  13. Shin, J., Kwon, S., Lee, K., Choi, S. & Kim, J. (2015). A Study of the Establishment of Framework for Information Exchange based on IFC Model in Domestic Collaborative Design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6(1), 24-34. 

  14. Olofsson, T., Lee, G., Eastman, C., & Reed, D. (2007). Benefits and lessons learned of implementing building virtual design and construction (VDC) technologies for coordination of mechanical, electrical, and plumbi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